• 제목/요약/키워드: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1축 인장시 재료거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Behavior of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in Uniaxial Tension)

  • Lee, J.H.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3권8호
    • /
    • pp.96-101
    • /
    • 1996
  •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hold considerable promise for increased use in low cost high volume applications because of the potential for processing by solid phase forming. Unfortunately, because of the wide variety of such materials, inherent bariability in properties, and complex temperature and strain rate dependence, large strain behavior of these materials has not been well characterized. Of particular importance is failure during processing due to localized necking instability, and it is this phenomenon that is primary focus of this study. The strain rate and temperature dependence is used to predict limiting tensile strains, based on Mackinack imperfection theory. Excellent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theory and experiment,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limit strain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stain rate.

  • PDF

저온건조($-55^{\circ}C$) 및 고온다습 조건($108.3^{\circ}C$)의 기계적 체결 홀이 탄소섬유강화 복합재의 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Filled Hole on Strength Behavior of CFRP Composites at Cold Temperature Dry and Elevated Temperature Wet)

  • 김효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82-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노치 홀과 기계적 체결 홀이 탄소섬유강화 복합재의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도는 상온건조, 저온건조($-55^{\circ}C$)와 고온다습 조건($108.3^{\circ}C$)에서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계적 체결 홀에서 인장강도의 증가는 볼트에 의해서 가해진 구속으로 홀 주위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강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저온($-55^{\circ}C$)에서 인장강도의 증가는 섬유와 모재의 열팽창계수 거동의 특성에 따른 취성 증가의 요인이며, 고온다습 조건($108.3^{\circ}C$)에서 압축강도 감소는 침투만 수분에 의해 섬유와 모재의 층간 결합부의 물성이 저하한 것으로 사료된다.

냉각($-55^{\circ}C$) 및 고온다습 조건($82.2^{\circ}C$)이 탄소섬유강화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Cold Temperature Dry and Elevated Temperature We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FRP Composites)

  • 김효진;이시중;한상호;김상국;박성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60-65
    • /
    • 2009
  • 본 인구에서는 탄소섬유강화 복합재 구조물의 실제 사용조건인 환경에 따른 기계적 특성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0_6]_T$, $[90_{12}]_T$, $[0_{16}]_T$, $[{\pm}45]_{5S}$, $[0/9012/0]_T$, $[0/45/-45/45/-45/0]_{3S}$의 실험을 통해, 복합재의 강도와 강성을 측정 하였다. 실험 결과, 환경조건에서 복합재의 파손 거동을 파악하고 설계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였다. 저은 건조 조건에서 강도의 증가는 저온($-55^{\circ}C$)에서 섬유 촉은 모재의 취성 증가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고온다습 조건의 진단강도와 전단탄성계수 감소는 침투한 수분에 의해 섬유와 모재의 결합부의 물성이 저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응집 영역 요소를 이용한 고분자 접착 테이프의 박리거동 모사 (Numerical Simulation of the Delamination Behavior of Polymeric Adhesive Tapes Using Cohesive Zone Element)

  • 장진혁;성민창;유웅열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03-208
    • /
    • 2016
  • 금속/고분자 샌드위치 복합재는 경량성과 제진, 방음 등의 다기능성의 측면에서 기존의 스틸 강판을 대체할 후보 중 하나로서 연구되고 있다. 금속/고분자 복합재의 활용하기 위해서는 접착력을 바탕으로 한 박리 거동 예측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응집요소를 사용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접착제를 사용한 고분자 테이프의 박리거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응집요소의 특성은 박리시험과 역학 관계로부터 도출한 파괴인성을 통해 정의하였고 이를 해석에 적용하였다. 스틸 강판에서 고분자 테이프를 박리하는 시험을 모사하였고, 해석결과와 시험결과를 비교하여 박리 거동 모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Ar+ Ion Irradiation of Polymeric Fiber on Interfa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ementitious Composites

  • Seong, Jin-Wook;Lee, Seung-Hun;Kim, Ki-Hwan;Beag, Young-Whoan;Koh, Seok-Keun;Yoon, Ki-Hy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30-434
    • /
    • 2004
  • The values of fracture energy and mechanical flexural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Cement (FRC) with polypropylene (PP) fiber modified by Ion Assisted Reaction (JAR), by which functional groups were grafted on the surface of PP fiber, was improved about 2 times as those of fracture energy and flexural strength of cement reinforced by untreated PP fiber. PP fiber was irradiated in O$_2$ environment by Ar$\^$+/ ion. The contact angle of PP treated by IAR decreased largely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PP. From this result, we expected that surface energy and interfacial adhesion force of treated PP fiber increased. The strain hardening occurred in the strain-stress curve of FRC including PP treated by IAR when compared with that of FRC with untreated PP. These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might be due to strong interaction between hydrophilic group on modified PP fiber and hydroxyl group in cement matrix. This hydrophilic group on surface modified PP fiber was confirmed by XPS analysis. We clearly observed hydration products that were fixed at modified PP fiber due to the strong adhesion force of interface in cement reinforced modified PP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tudy.

극저온 환경에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의 인장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nsile Properties of CFRP Composites under Cryogenic Environment)

  • 김명곤;강상국;김천곤;공철원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6호
    • /
    • pp.52-5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환경 챔버를 이용한 극저온 환경에서, 열.하중 사이클에 따른 탄소섬유강화 복합재의 인장 물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Graphite/epoxy 일방향 복합재 시편에 대하여 시편 상온파손하중의 절반을 가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50^{\circ}C$, $-100^{\circ}C$, 그리고 $-150^{\circ}C$ 까지 각각 3회, 6회, 그리고 10회의 열-하중 사이클을 수행한 후 복합재의 인장 강도와 강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온도가 낮아질수록 복합재의 인장 강성은 증가한 반면, 인장 강도는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복합재의 인장 강성은 저온 사이클 횟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인장 강도는 사이클을 수행하지 않았을 때 보다 오히려 저온 사이클 수행 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결과의 고찰을 위해 저온에서 복합재 시편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였고,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통해 섬유와 모재의 계면을 분석하였다.

탄소섬유 표면에의 고분자 전착과 복합재료 물성 (II) - MVEMA 및 EMA 계면상을 갖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 (Electrodeposition onto the Surface of Carbon Fiber and Its Application to Composites (II) - CFRC with MVEMA and EMA Interphase -)

  • 김민영;김지홍;배종우;김원호;황병선;최영선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336-342
    • /
    • 1999
  •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계면강도 증가를 위하여 탄소섬유의 표면처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기존의 상업적인 표면처리의 경우 탄소 섬유 표면 산화처리 후 수분산성 에폭시계 유기화합물을 코팅 (사이징처리)하여 탄소섬유에 에폭시 기지와의 상용성과 취급 용이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재료로 제조된 탄소섬유 복합재료는 높은 층간 전단 강도를 나타내나 충격강도는 다소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표면 산화 처리 후 기존의 사이징 처리 대신에 반응성과 유연성이 있는 계면상 (interphase)을 도입하여 복합재료의 층간전단강도와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탄소섬유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이온화가능하고 연성을 가진 고분자인 MVEMA (poly (methyl vinyl ether-co-maIeic anhydride))와 EMA (poly (ethylene-co-maleic anhydride))를 수용액상에서 탄소섬유 표면에 전착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착에 의해 MVEMA 또는 EMA가 $0.1{\sim}0.2{\mu}m$ 두께로 얇게 코팅된 탄소섬유, 상용의 탄소섬유, 사이징처리를 하지 않은 탄소섬유로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물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계면상의 두께가 얇을수록 층간전단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충격강도는 감소하였는데, 계면상의 최적두께는 $0.1{\mu}m$ 정도였다. MVEMA 계면상을 도입한 경우가 상업적으로 표면처리 한 경우보다 층간전단강도의 경우 약 20% 정도 증가하였고 Izod 충격강도의 경우 약 50% 정도 증가하였다. MVEMA 계면상을 도입한 경우 복합재료의 흡습률이 높았다.

  • PDF

항공기용 복합소재의 개발 및 연구동향 (Recent Trends in Composite Materials for Aircrafts)

  • 김득주;오대윤;정문기;남상용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252-258
    • /
    • 2016
  • 중량의 감소 및 향상된 기계적 특성은 항공 우주 산업으로의 적용을 위한 재료의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주요한 인자이다. 복합소재는 가벼운 무게와 탁월한 물성으로 항공기와 타 교통수단용 소재로써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경우 금속을 대신할 소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금속과 고분자 소재보다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복합소재는 비행기의 구조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리뷰에서는 항공기에 적용된 복합소재의 장점과 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소재 소재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극저온 환경에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수지조성변화에 따른 인장 물성 측정 (Tensile Properties of CERP Composite with Different Resin Composition under Cryogenic Temperature)

  • 김명곤;강상국;공철원;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1-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조합에 따른 탄소섬유강화 복합재 프리프레그 제작 및 극저온 인장시험을 통해 극저온에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복합재 수지조합을 제시하였다. 환경챔버를 이용하여 상온으로부터 $-150^{\circ}C$ 까지 6회의 열-하중 사이클을 수행한 일방향 복합재 시편에 대하여 $-150^{\circ}C$에서 복합재의 인장강도와 강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150^{\circ}C$에서 복합재의 섬유수직방향 인장물성 및 면내 전단물성과 같은 모재 지배적인 물성 측정을 통해 수지조성변화가 섬유와 모재의 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bisphenol-A 형의 에폭시와 CTBN 고무 변성 형 필러를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한 수지조성을 갖는 복합재 시편이 극저온에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Investigating the deflection of GLARE and CARALL laminates under low-velocity impact test, experimentally and FEM simulation

  • Meisam Mohammadi;Mohammad Javad Ramezani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7권3호
    • /
    • pp.395-403
    • /
    • 202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different fiber metal laminates subjected to low velocity impact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via finite element method (FEM). Hence, two different fiber metal laminate (FML) samples (GLARE/CARALL) are made of 7075-T6 aluminum sheets and polymeric composites reinforced by E-glass/carbon fibers. In order to study the responses to the low velocity impacts, samples are tested by drop weight machine. The projectiles are released from 1- and 1.5-meters height were the speed reaches to 4.42 and5.42 meter per second and the impact energies are measured as 6.7 and 10 Joules. In addition to experimental study, finite element simulation is done and results are compared. Finally, a detailed study on the maximum deflection, delamination and damages in laminates and geometry's effect of projectiles on the laminate response is done. Results show that maximum deflection caused by spherical projectile for GLARE samples is more apparent in comparison with the CARALL samples. Moreover, the maximum deflection of GLARE samples subjected to spherical projectile with 6.7 Joules impact energy, 127% increases in comparison with the CARALL samples in spite of different total thic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