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acids

검색결과 673건 처리시간 0.026초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ginseng seed oil based on bacterial strain and extraction method

  • Lee, Myung-Hee;Rhee, Young-Kyoung;Choi, Sang-Yoon;Cho, Chang-Won;Hong, Hee-Do;Kim, Kyung-Tac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428-433
    • /
    • 2017
  • Background: In this study, the fermentation of ginseng seeds was hypothesized to produce useful physiologically-active substances, similar to that observed for fermented ginseng root. Ginseng seed was fermented using Bacillus, Pediococcus, and Lactobacillus strains to extract ginseng seed oil, and the extraction yield, color, and quantity of phenolic compounds, fatty acids, and phytosterol were then analyzed. Methods: The ginseng seed was fermented inoculating 1% of each strain on sterilized ginseng seeds and incubating the seeds at $30^{\circ}C$ for 24 h. Oil was extracted from the fermented ginseng seeds using compression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Results and Conclusion: The color of the fermented ginseng seed oil did not differ greatly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r extraction method. The highest phenolic compound content recovered with the use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combined with fermentation using the Bacillus subtili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KFRI) 1127 stra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did not differ greatly according to fermentation strain and extraction method. The phytosterol content of ginseng seed oil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KFRI 1127 and extracted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method was highest at 983.58 mg/100 g.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ginseng seed oil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KFRI 1127 and extracted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method can yield a higher content of bioactive ingredients, such as phenolics, and phytosterols, without impacting the color or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product.

Wort Fermentation by Leuconostoc citreum Originated from Kimchi and Sensory Properties of Fermented Wort

  • Delgerzaya, Purev;Shin, Jin-Yeong;Kim, Kwang-Ok;Park, Jin-B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083-1090
    • /
    • 2009
  • Fermentation of wort was investigated with an ultimate goal to develop a fermented beverage rich in prebiotics and functional ingredients as well as desirable in flavors. Wort was fermented with Leuconostoc citreum HJ-P4 originated from kimchi and subjected to sensory descriptive analysis. L. citreum HJ-P4 produced various organic acids (e.g., lactic acid, acetic acid) as well as functional sugars (e.g., mannitol, panose) during wort fermentation. The concentration and ratio of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oasting conditions of malts used for wort preparation and aeration conditions during fermentation. The concentration of mannitol and panose varied depending on the sucrose content of wort and aeration conditions.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worts were clear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oasting conditions of malts used for wort preparation and aeration conditions during ferm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tabolite concentration of fermented wort and its sensory properties can be manipulated with roasting conditions of malt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AEDA법에 의한 한국한 젓갈류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2. 시판 새우젓의 Aroma-Active 성분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Korean Salt-Fermented Fishe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2.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박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9-325
    • /
    • 1999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rean salt 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 tometry(V SDE/GC/MS/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AEDA). A total of 32 volatile com 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18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S containing compounds(5), aldehydes(4), ketones(3), N containing compounds(3), ester(1), alcohol(1) and aromatic hydrocarbon(1). Predominant odorants(Log3FD$\geq$4) in salt fermented shrimp were 2,3 butanedione(sour/butter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dimethyl trisulfide(cooked cabbage /soy sauce like) and 2 acetylthiazole(grainy/nutty). Predominant free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sour and umami taste), arginine, methionine(bitter) and lysine(sweet and bitter) in evaluation of taste value.

  • PDF

Effects of Starter Cultur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 Yim, Dong-Gyun;Chung, Yi-Hyung;Nam, Ki-Chang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05-1112
    • /
    • 2017
  • Fermented sausages prepared by inoculation with different starter cultures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hree types of fermented sausages were processed separately, without starter culture (control), with a commercial culture mix, and culture mix plus Lactobacillus plantarum (LP). On proximate analysis, two inoculated sausages showed an increase in moisture and fat contents (p<0.05). The inoculated sausages showed lower hardness and gumminess values (p<0.05) than control. The combination of starter culture with LP displayed the lowest chewiness and cohesiveness values and showed a more intensive red color (p<0.05). Two inoculated batch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H values and water activity than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lactic acid bacteria (p<0.05). The inoculated sausages reduced the extent of lipid oxidation (p<0.05) and induced an increase in lauric acid, linoleic acid, eicosadienoic acid, and arachidonic acid, as well as they had a higher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ratio of n-6 and n-3 fatty acids (p<0.05). The addition of LP to the starter culture in a suitable combination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ttributes of fermented sausages.

코오지를 이용한 속성 저식염 멸치젓의 맛 특성 (Studies on the Taste Properties in Proces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 백승화;임미선;김동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8-403
    • /
    • 1996
  • 저식염 멸치젓을 속성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Asp. oryzae와 Bacillus sp. 코오지를 첨가하여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정미 성분과 색도 및 기호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발린, 이소루신, 프롤린, 알아닌, 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이었다. 코오지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262mg%로 가장 높았고 함량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멸치젓 숙성 후 비휘발성 유기산은 구연산과 젖산이 cd 비휘발성 유기산중 94.9~96.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유기산 함량은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아 Asp. oryzae 코오지에서 287.98mg%로 가장 높았다. 멸치젓의 색도는 숙성 중 a, b값은 나아지고 L값은 숙성 30~40일까지 낮아지나 이후 높아졌으며, a와 b값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가, L값은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60일 숙성시킨 멸치젓의 관능평가시 색과 맛은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 향은 Asp. oryzae와 Bacillus sp. 코오지 혼합구에서 양호하였으며 전체적인 관능치는 혼합구와 Asp. oryzae 코오지구에서 좋은 판정을 받았다.

  • PDF

엽삭액젓 숙성중의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 of the Fermented Youbsak Sauce during Fermentation)

  • 안양준;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5-400
    • /
    • 1994
  • 지금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왔던 엽삭액젓을 김치제조에 이용하게 할 목적으로 엽삭액젓의 주요 성분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일반성분중 조지방과 조단백질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장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분은 감소하고, 회분과 염도는 증가하였다. 2. pH는 발효 20일째 6.4를 나타낸 이후로 뼈국물을 넣은 후인 32일째에는 6.6으로 약간 증가하고, 발효 35일째에 6.5로 약간 감소한 이후에는 거의 일정한 pH를 보였다. 총 산도는 발효 20일째에 1,174.6 mg%를 보였고, 뼈국물을 넣은 후인 32일째에 674.2 mg%로 크게 감소 하였다가 발효 35일째에 922.7 mg%로 증가한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어류의 신선도의 척도라 할 수 있는 휘발성염기질소의 변화는 발효 20일째에 63.7 mg%에서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에 224.8 mg%까지 증가하였다. 4. 단백질의 분해산물로서의 아미노태질소의 변화는 발효 20일째 352.5 mg%를 보였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에 851.7 mg% 까지 증가하였다. 5. 지질의 산가의 변화는 발효초기인 20일째에 17.2를 보였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여 발효 70일째에 28.5를 나타내고 120일째에 38.6까지 증가한 후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6.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발효초기인 20일째에 포화지방산이 42.3%, 단일불포화지방산이 30.9%, 고도불포화지방산이 17.2%에서 숙성이 장기화됨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여 숙성 1년째는 포화지방산은 46.2%, 단일불포화지방산은 28.3%, 고도불포화지방산은 14.7%를 나타내었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21% 이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oleic acid, palmitoleic acid, myristic acid, eicosapentaenoic acid(EPA) 순으로 이들이 엽삭액젓 지방산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7. 총 유리아미노산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발효초기인 20일째에 1158.2 mg%에서 장기 숙성시킨 1년째는 2651.5 mg%까지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발효초기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valine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의 양이 증가하여 장기 숙성시킨 1년째는 glutamic acid, lysine, phenylalanine, arginine, alanine가 주된 아미노산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젓갈 및 젓갈대용 부재료 첨가 김치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 물질의 함량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Kimchi Prepared with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 박덕천;김은미;김은진;김영명;김선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69-776
    • /
    • 2003
  • 젓갈류(멸치액젓, 멸치육젓, 저염멸치액젓, 저염까나리액젓 및 새우젓)와 젓갈대용물(굴 가수분해물, 명태육 가수분해물 및 청각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20, 10 및 $4^{\circ}C$에서 숙성 중 pH, 총산도를 측정하고 pH 4.2와 산도 $0.6{\sim}0.8%$를 고려한 온도별 적숙기에서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물질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젓갈류 첨가 김치의 온도별 숙성 중 pH는 적숙기까지 대체로 빠른 감소를 보인 반면 산도는 빠른 증가를 보였다. 시험구별 적숙기에서 acetic acid와 lactic acid는 0일차 대비 대체로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alic acid는 $20^{\circ}C$에서, succinic acid는 $10^{\circ}C$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이었다. ATP, ADP 및 AMP는 0일차 대비 대체로 낮거나 비슷한 수준인 반면, IMP 및 HxR은 숙성에 따라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젓갈대용물 첨가 김치의 경우, pH 및 산도는 젓갈류 첨가 김치에서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시험구별 적숙기에서 acetic acid 및 lactic acid는 0일차 함량 대비 다소 높았고 malic acid는 증감하였으며 succinic acid는 0일차에서도 상당량 검출되었다. ATP 및 ADP는 굴 및 명태육 가수분해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다소 높은 반면 다른 시험구에서는 대체로 다소 낮은 함량이었다. AMP도 $20^{\circ}C$$10^{\circ}C$ 숙성에서 ATP 및 ADP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IMP는 대조구 및 청각추출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대체로 낮은 함량인 반면 굴 및 명태육 가수분해물 첨가구는 대체로 높았다. HxR은, 대조구와 젓갈류 첨가구 및 굴가수분해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대체로 높은 함량이었다. 결론적으로, 김치의 숙성시 숙성 온도와 젓갈류 및 젓갈대용물 등의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을 결정하는 주요 영향요인일 뿐만 아니라 김치의 정미성분으로서 유기산과 핵산관련물질의 함량패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속젓의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및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조성(組成) (Compositions in Amino Acids and Nucleotides of Fermented Entrails of Yellow Corvina)

  • 정승용;성낙주;이영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5-290
    • /
    • 1984
  • 특유(特有)한 풍미(風味)를 가진 조기속젓의 맛성분(成分)을 알기 위해 조기속젓 숙성중(熟成中)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과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원료(原料)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을 보면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alanine, glutamic acid, serine, lysine, leucine이며, 함량(含量)이 적은 것은 arginine, aspartic acid, cystine이었고 tyrosine은 흔적량에 불과(不過)하였다. 젓갈 숙성중(熟成中)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는 있었으나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고 원료(原料)에 많았던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이 젓갈 제품(製品)에도 많았다. 조기속젓 숙성중(熟成中) ATP, ADP, AMP 및 IMP는 감소(減少)하고 hypoxanthine은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30일후(日後)에는 $21.82\;{\mu}mnle/g$으로서 원료(原料)에 비하여 5배(倍)나 증가(增加)하였다. 엑스분질소(分窒素)에 대한 유리(遊離)아미노산질소(酸窒素)의 비율은 30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이 약(約) 71%로서 가장 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들로 볼 때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valine, leuc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과 hypoxanthine 등의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등이 조기속젓의 맛에 중요(重要)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

시판 현미식초의 주정첨가 유무의 발효방식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 김귀란;윤성란;이지현;여수환;김태영;정용진;윤경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93-899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정첨가 유무에 따라 발효된 시판 현미식초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소비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3종)과 주정첨가 현미식초(3종)에 대하여 pH, 총 산도, 당도, 환원당, 갈색도, 탁도,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의 pH와 총 산도는 주정첨가 유무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당도,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은 주정 첨가 발효 현미식초가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갈색도, 탁도 및 색도는 주정 무첨가 발효된 현미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유기산에 대한 acetic acid의 비율(A/T)은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에서 0.94~0.96, 주정첨가 발효 현미식초에서 0.97~1.00으로 주정 첨가 발효 현미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주정 무첨가 발효 현미식초는 93.07~509.48 ppm, 주정첨가 발효 현미식초는 25.14~264.52 ppm으로 나타났다. 현미의 생리활성물질인 $\gamma$-aminobutyric acid(GABA)는 주정 무첨가 발효된 현미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미식초의 발효방식에 따라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차이가 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야생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 발효 특성 (Characterization of Ethanol Fermentation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 백성열;이유정;김명동;이재형;문지영;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5
    • /
    • 2015
  •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 12 균주의 주류 제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코올 발효에 관여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및 당 내성을 조사한 후, 당화액을 제조하여 pH, 고형분 함량, 적정산도, 아미노산도, 알코올, 유기산 및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S. cerevisiae 효모의 알코올 내성은 10%에서 보였으나 non-Saccharomyces 효모는 P. kudriavzevii N77-4를 제외하고 내성이 낮았다. 당 내성은 H. opuntiae HP1-2, C. tropicalis Y447을 제외한 효모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야생 효모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액의 pH는 3.01−3.61, 고형분 함량은 8.73−13.10°Brix로 S. cerevisiae보다 non-Saccharomyces가 높았다. 적정산도는 0.25−0.33%로, 아미노산도는 1.61−2.61 g/100 ml으로 non-Saccharomyces 효모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함량은 2.25−8.5%로 S. cerevisiae에 비해 non-Saccharomyces 효모가 매우 낮았다. 야생 효모로 알코올 발효시 유기산은 사과산, 초산, 호박산 등이 증가하였고, 그 중 P. kudriavzevii N77-4는 낮은 초산 함량과 높은 사과산 및 호박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당화액을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DF1의 오른쪽 범주에 속했으며, 효모 발효액은 DF1의 왼쪽 범주에 속하여 발효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non-Saccharomyces 효모에서 ethyl acetate가, S. cerevisiae 효모는 ethanol 화합물이 높은 향기성분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