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rmented Fruit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5초

콜라겐 합성과 MMP-1 발현에 대한 생물전환 지실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Ponciri Fructus Extracts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on the Collagen Synthesis an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 이계원;박성민;유영춘;조영호
    • KSBB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106-114
    • /
    • 2013
  • Ponciri fructus, the unripe fruits of Poncirus trifoliata, are widely used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as a remedy for inflammation, gastritis, emesis, digestive ulcers, allergy, and dysentery. To study the anti-wrinkle effects of Ponciri fructus extract (PFE) containing flavanone glycosides, PFE was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mycelia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Ponciri fructus extracts fermented with G. lucidum (G-PFE), polyphenol content was $1,021.00{\pm}0.50{\mu}g/mL$ and flavonoid content was $589.41{\pm}0.21{\mu}g/mL$. G-PFE was found to scaveng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by a dose dependent manner, respectively. G-PFE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at of PFE. In addition, the photoprotective properties of G-PFE was tested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 exposed to UVA radiation. G-PFE inhibited the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nd showed a dose dependent de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G-PFE also increased collagen biosynthesis in HDF.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PFE could be useful as a potential cosmetic ingredient for anti-wrinkle.

Cyclophosphamide에 의한 면역저하 동물모델에서 블루베리 효모 발효 분말의 면역증강 효과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Blueberry Yeast Fermented Powder Against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ed Model)

  • 정도연;양희종;정수지;김민국;윤지영;이학용;이양희;신동엽;양예진;이해성;박영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8-55
    • /
    • 2019
  • Current studies have been reported that fruits such as berries may contain both antioxidant and antitumor polyphenols that may be important in this regard. We investigated the immunostimulatory effect of fermented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on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ion in animal model. Rats were administered blueberry yeast fermented powder (BYFP) at doses 30, 100, and 300 mg/kg for 4 weeks after cyclophosphamide (Cy) treatment, respectively.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BYFP were measured both in vitro and in vivo, and the changes of blood components were also analyzed. We found that BYFP recovered immunosuppression-mediated decreased liver, spleen, and thymus weights as well as up regulation of white blood cell, lymphocyte, and neutrophil in blood. Moreover, BYFP up-regulated IL-2, TNF-${\alpha}$, and IFN-${\gamma}$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compared to immune suppressed control group, respectively. According to histological studies, BYFP regenerated significantly on Cy-mediated injured spleen at the high doses (BYFP 300) comparison with Cy-treated groups (immunosuppression).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YFP may have the potential as a dietary immunostimulatory agent.

감 착즙액 첨가량과 가수량에 따른 감막걸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Makgeolli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And Persimmon Juice Added)

  • 권예슬;서예진;강주연;최현진;최한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4호
    • /
    • pp.158-164
    • /
    • 2024
  • With the steady growth in the scale of the domestic traditional liquor industry, the interest in makgeolli has also been increasing. As the demand for makgeolli increases, interest in manufacturing differentiated makgeolli by adding additional raw materials such as fruit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makgeolli with low storage persimmon juice was manufactured, and the sweet taste of persimmon was imparted without adding sweeteners. Unsweetened, high-quality persimmon makgeolli with an alcohol content of 15% or more was manufactured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Yeast was selected after producing fermented yeast by treating domestic isolated yeast and commercial yeast. Upon producing fermented yeast, persimmon makgeolli was manufactured by varying the amount of persimmon juice added to the fermented yea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makgeolli, the pH was 4.02-4.25, the total acid (citric acid, %) was 0.30-0.43, the amino acidity (glycine, %) range was 0.05-0.15, and the alcohol content (%) was 15.64-18.48.(p<0.05). Reducing sugar (%) was 1.82-12.68 and total sugar (%) was 1.41-10.42, exhibiting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reducing sugar and total sugar and the amount of juice added increased (p<0.05). Consider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 sample with 50% persimmon juice added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sidual sugar content, and the residual sugar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fore, 50% persimmon juice was added when making persimmon makgeolli. It is suitable for high-quality, non-sweetened persimmon makgeolli that preserves the taste of persimmon, which suits the consumers'taste.

착과방법이 참외의 착과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lination Method on Fruit Setting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박소득;김주환;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3-88
    • /
    • 2005
  • 참외 착과 생력화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사계절꿀참외에 성주토좌호박을 합접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와 착과제 처리구를 비교하였다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 비하여 착과제 처리구에서 과중이 무겁고 과육두께가 두꺼운 경향이었으나 당도 및 경도는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의 착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95\%$에 비하여 꿀벌은 $46\%$, 호박벌은 $45\%$로 착과율이 낮았으나, 3월 중순부터는 꿀벌, 호박벌 방사구 및 착과제 처리구 공히 착과율이 $98\%$이상으로 높아 참외 시설재배시 벌을 이용한 착과 시기는 3월 중순이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과실의 색도는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우수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a값이 높았다. 발효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28.1\%$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95\%,\;9.1\%$천 매우 낮았으며, 백립중은 착과제 처리구의 0.08g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0.17g, 0.15g으로 무거워 백립중이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발효과율이 감소하였다. 기형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상품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62.5\%$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82\%$$80.3\%$로 높았다. 과실의 감모율을 조사한 결과,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수확한 과실의 감모율이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꿀벌 및 호박벌의 도입으로 참외 착과 생력화가 가능하고 품질향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포장재 종류별로 포장재가 두꺼울수록 greening의 진행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Greening을 수치화 할 수 있는 엽록소 함량은 역시 저장온도가 낮은 $1^{\circ}C$$10^{\circ}C$보다 낮았고, 역시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높았던 50um LDPE필름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는데 포장재 내부의 이산화탄소 함량과 총 엽록소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상관계수(r)가 $1^{\circ}C$에서 0.926 $10^{\circ}C$에서는 0.997로 고도의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reening을 제외한 외관상 품질은 저온인 $1^{\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포장재별로는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필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도 저온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필름종류별로는 25um와 50um LDPE 필름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콘의 저장 및 유통시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 필름이 포장재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약간의 빛으로 greening이 급격히 진행되므로 판매과정에서 암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따라서 우리나라 집단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자들이 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조사에 참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lderberry Wine 제조(製造)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Elderberry Wine)

  • 노홍균;김동석;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2-253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Elderberry를 이용(利用)한 양조학적(釀造學的) 가능성(可能性)을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균주별(菌株別), 저장(貯藏) 장태별(狀態別), 착즙(搾汁) 시기별(時期別)로 시험(試驗) 발효(醱酵)를 행(行)하였으며, 시험(試驗) 발효(醱酵)로 얻은 wine의 분석(分析) 및 관능(官能) 검사(檢査) 통(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Elderberry 열매의 일반(一般) 성분(成分)은 수분(水分) 82. 8%, 조지방(粗脂肪) 0. 82%, 조단백질(粗蛋白質) 3.73%, 조회분(粗灰分)은 0.83%이었다. 2. 과즙(果汁) 비율(比率)은 61.4%이었으며 과즙(果汁)은 당도(糖度) 9. 2%, 초산(醋酸) 0.62%, pH 4.46%이었다. 3.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montrachet를 사용(使用)한 균주별(菌株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알콜 생성능(生成能)이 높고 휘발산(揮發酸) 생성(生成)이 낮은 균주(菌株)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가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를 사용(使用)한 저장(貯藏) 상태별(狀態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건과(乾果)가 냉과(冷果)보다 발효(醱酵) 시기(時期)에는 알콜생성(生成) 및 당(糖)의 분해(分解)가 다소 빠른 편이었으나 발효(醱酵) 2일(日)부터는 냉과(冷果)가 건과(乾果)보다 훨씬 빨랐다. 시료(試料)의 전처리(前處理) 및 색깔 등을 고려할 때에 건과(乾果)보다 냉과(冷果)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양조상(釀造上) 유리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5.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를 사용(使用)한 착즙(窄汁) 시기별(時期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성분(成分) 변화(變化) 및 색깔에 별차(別差)가 없었다. 6. 과실(果實) 및 wine의 유기산(有機酸)은 냉과(冷果)에 있어서는 citric acid가, 건과(乾果)에 있어서는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wine 제조시(製造時)에는 모두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7. 관능(官能) 검사(檢査) 결과(結果) 3일(日)째 착즙(窄汁)한 wine이 가장 좋았으며 건과(乾果)로 제조(製造)한 wine이 가장 나빴다.

  • PDF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초산균을 이용한 꾸지뽕 열매 발효식초 제조 및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vinegar produced by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임은정;조승화;이은실;박해석;류명선;엄태붕;김현영;조성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8-118
    • /
    • 2015
  • 꾸지뽕 열매의 부가가치를 증대하기 위해 꾸지뽕 발효식초를 제조하고 그의 발효조건을 확립하였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초산내성, 초산 고생산능, ethanol 내성 및 아황산 내성이 우수한 49종의 초산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의 해독 결과, Acetobacter indonesiensis, A. cerevisiae, A. orientalis, A. tropicalis, A. fabarum, A. pasteurianus 및 A. syzygii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GRAS 균주인 A. pasteurianus SCMA5와 SCMA6를 발효 균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적 발효는 꾸지뽕 열매 함량이 40%(v/v)인 즙액과 5%(v/v) ethanol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72시간 발효가 가장 적절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SCMA06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의 선호도가 SCMA05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보다 높았다. SCMA06 균주를 사용한 발효식초에서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53.02{\pm}0.78%$이상 높게 나타났고, 항당뇨 능력을 측정하는 AGI활성은 발효 72시간에 $91.40{\pm}2.43%$ 저해능을 보여 시판중인 acarbose보다 활성이 높았다. 이번 연구는 꾸지뽕 열매를 활용한 발효식초 제조를 위한 산업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포도 식초 첨가 건강음료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ape Vinegar Added Drink Grape Vinegar)

  • 최남순;박홍주;전혜경;김미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37
    • /
    • 2002
  • To develop the processing methods of grape and increase the use of poor fruits, we researched the health drink made with them after making grape juice and vinegar. The grape heated at $80^{\circ}C$ during 30min was followed by filtration. Grape vinegar was prepared by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of grape. Optimum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was 6-8%. Acetic acid fermentation of grape vinegar manufactured in onggi took 9 days and was faster than any other type of utensil.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grape vinegar fermented in the various ratio of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 the redness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and the score of sensory evaluation were higher in vinegar made with 100% 'Campbell Early'. The drink manufactured by adding grape vinegar was developed and adding 10% of grape vinegar to volume of grape juice and water mixture(1:1) was best in sensory evaluation. In this mixture, sugar content was $14^{\circ}$Bx.

  • PDF

오매 추출물들의 항산화 및 세포 활성 (Antioxidant and Cell Activity Using Extracts of Mume Fructus)

  • 배유경;최태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88-394
    • /
    • 2011
  • Mume fructus is the roasted fruits of Prunus mume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is study, mume fructus extracts were prepar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hot water extract (sample1), fermentation extract using Lactobacillus (Sample2-LP and sample-LA) and ethanol extract (sample3).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fermentation process, compared to water extract. Sample 3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DPPH radical scavenging. The cytotoxicity of the sample 2-LP was in the range of 83.3% cell viability at $300{\mu}g/m{\ell}$ concentration. Mume fructus extra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hibited melanogenesis and NO synthesis was inhibited. Specifically, the extracts fermented by L. plantarum (sample2-LP)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than other extracts. It suggests that sample 2-LP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materials for functional cosmetics.

Comparative analyses of susceptibility to chemicals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between Drosophila melanogaster and Drosophila suzukii

  • KIM, YiSeul;LEE, Sungho;KIM, Yeong Ho;KIM, Young Ho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514-521
    • /
    • 2018
  • Drosophila melanogaster Meigen and Drosophila suzukii Matsumura are taxonomically close Drosophila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Drosophilidae and melanogaster group. D. melanogaster is thought to be evolutionarily adapted to overripe, decaying, and fermented fruits, in which large amounts of chemicals such as ethanol, acetic acid, and 2-phenylethanol are produced, whereas, D. suzukii is attracted to fresh ripening fruit. Considering the distinct habitats of the two flies, D. suzukii is hypothesized to exhibit higher susceptibility to these chemicals than D. melanogast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rate of the flies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three chemicals (2-phenlyethanol, acetic acid, and ethanol) and calculated the lethal concentration (LC) values to compare the tolerance and susceptibility of D. melanogaster and D. suzukii to the chemicals. Our results revealed that D. melanogaster exhibited higher tolerance than D. suzukii to all chemicals,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different evolutionary adaptations to distinct habitats of the two flies.

시판젓갈류와 채소류중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함량 (Nitrate and Nitrite Content of Some Fermented Sea Foods and Vegetables)

  • 이응호;김세권;전중균;정숙현;차용준;김수현;김경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7-153
    • /
    • 1982
  •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젓갈류 및 채소류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젓갈류에 있어서 절신염의 함량은 $0.74\sim13.81\;ppm$으로서 종류에 따라 차이가 많았다. 아질산염 함량은 자리돔젓, 새우젓, 꼴뚜기젓, 멸치젓 및 명란젓에서는 소량 검출되었고 갈치젓과 창란젓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채소류에 있어서 엽채류의 질신염 함량은 근채류, 과채류에 비해 그 함량이 많았고 특히 상치는$1,320\sim1,412\;ppm$, 배추는 1,572.5 ppm으로서 가장 높았고 부추, 파 및 들깨잎등은 $5\sim219\;ppm$으로서 함량이 낮았다. 과채류의 질산염함량은 가지가 $109.1\sim373.1\;ppm$으로서 다소 높았으나 마늘, 고추 및 토마토에서는 각각 35.1 ppm, 4.09 ppm 및 $4.2\sim7.1\;ppm$으로서 채소류중 그 함량이 낮았다. 아질산염함량은 양배추3.8ppm, 상치 $2.5\sim2.9\;ppm$으로서 비교적 높았으나 배추, 고추, 들깨잎, 마늘 및 우엉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채소류의 부위별 질산염함량은 배추가 속부분이 210ppm, 겉부분이 682ppm으로서 녹색이 진한 겉부분에 그 함량이 많았으며 미나리는 줄기부분이, 파는 잎부분이 질산염함량이 많았는데 채소류의 증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질산염함량은 4일간 저장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저온저장과 정온저장한 것을 비교해 보면 상치, 호박 및 시금치등은 저온에서 저장한 것이 높았으며가지, 파등은 상온저장한 것이 함량이 높았다. 본 연구는 부산수산대학 부설 수산식품연구소 1981등도 사업의 일부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