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temperature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on Microbial Communiti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Lee, Woojung;Choi, Hyo Ju;Zin, Hyunwoo;Kim, Eiseul;Yang, Seung-Min;Hwang, Jinhee;Kwak, Hyo-Sun;Kim, Soon Han;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1호
    • /
    • pp.1552-1558
    • /
    • 2021
  • The diverse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are dependent on fermentation period and temperature.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at two temperatures using high-throughput sequenc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H between the control group, samples not inoculated with ETEC, and the ETEC group, samples inoculated with ETEC MFDS 1009477. The pH of the two groups, which were fermented at 10 and 25℃, decreased rapidly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then reached pH 3.96 and pH 3.62. In both groups, the genera Lactobacillus, Leuconostoc, and Weissella were predominant. Our result suggests that microbial communiti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may be affected by the fermentation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and period, and not enterotoxigenic E. coli (ETEC).

시판 김치의 발효 온도별 성분과 미생물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 신동화;김문숙;한지숙;임대관;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7-145
    • /
    • 1996
  • 기업적으로 생산하는 공장의 김치를 시료로 하여 5, 15, $25^{\circ}C$에서 발효하면서 화학적 성분과 함께 젖산균과 효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발효온도에 따른 숙성김치의 적정 pH인 4.2에 도달하는 시간은 $25^{\circ}C$의 경우 2일, $15^{\circ}C$의 경우 3일, $5^{\circ}C$의 경우 23일 소요되었다. 젖산량으로 산출한 최적 산도는 pH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았다. 총균수는 발효온도 $25^{\circ}C$의 경우 2일, $15^{\circ}C$는 6일, $5^{\circ}C$는 12일에 최고 수준에 달하였다. 김치 발효동안 동정된 Lactobacilli 종은 L. brevis, L. plantarum, L. acidophilus와 3종의 미확인 균종이었다. L. brevis, L. plantarum은 $15^{\circ}C$, $25^{\circ}C$ 발효 온도에서 발효 시작에서부터 종결까지 일정수준을 유지하면서 나타났다. Leuconostoc종은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L.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발효 초기에는 균수가 증가하였다가 모든 발효온도에서 발효 후기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Pediococcus종은 P. pentosaceus와 1종의 미확인종으로 밝혀졌으며 발효 초기에는 증가하였다가 후에 감소하였다. 발효 중기에 나타난 Streptococcus faecium subsp. casseliflavus와 Aerococcus viridans 또한 김치 발효중에 동정된 균이다. Crytococcus laurenti는 모든 발효온도에서 동정되었고 발효초기에 나타난 후 사라졌다가 $25^{\circ}C$ 발효온도에서만 10일 후에 다시 나타났다.

  • PDF

발효전 포도 으깸이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와인 품질특성 (Wine Quality Properties with Reference to the Temperature of Grape-Must Prior to Fermentation)

  • 장은하;정석태;노정호;정성민;이한찬;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08-615
    • /
    • 2010
  • 본 연구는 포도 원료의 열처리 온도(50, 60 and $70^{\circ}C$)가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재료는 국내에서 주요 포도주용으로 생산되고 있는 품종중의 하나인 Muscat Bailey A를 이용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도 으깸이 중에 살아있는 세균, 효모, 곰팡이 수는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폴리페놀산화효소의 활성도 낮아졌다. 발효완료 후 포도주의 적색도나 총안토시아닌, 총폴리페놀, 탄닌 함량은 $70^{\circ}C$ 열처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특징을 보였다. 또한 항산화활성도 원료의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져, 높은 열처리 온도에서 폴리페놀성 물질 함량이 높고 폴리페놀산화효소의 활성이 낮은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발효 전 포도 원료의 열처리가 포도주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온도가 진양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김철암;정희종;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4-418
    • /
    • 2006
  • 서로 다른 발효온도로 14일간 발효한 후 진양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 15, 20, $25^{\circ}C$에서 제조된 진양주의 최종 pH는 각각 3.70, 3.73, 3.40, 3.26이었고 최종 총산도는 각각 1.04, 1.01, 1.39, 1.72이었다. 총당의 함량은 발효온도를 10, 15, 20, $25^{\circ}C$로 하여 제조된 진양주는 각각 6.43, 6.22, 5.91, 5.53%로 나타내었고 에탄올 함량은 각각 14.20, 14.17, 14.83, 15.4%로 나타내었다. 색도는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진양주 사이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통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15^{\circ}C$에서 발효를 한 진양주가 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10^{\circ}C$에서 발효한 진양주가 5.10로, $20^{\circ}C$가 4.40으로, $25^{\circ}C$가 4.30으로 나타났다. 진양주를 제조할 때 발효온도를 $10^{\circ}C$$15^{\circ}C$ 사이로 하는 것이 진양주의 품질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더욱 적합한 발효온도로 진양주를 제조하여 맛과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Microbial/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ersistence of Human Norovirus during Cabbage Kimchi Fermentation

  • Lee, Hee-Min;Lee, Ji-Hyun;Kim, Sung Hyun;Yoon, So-Ra;Lee, Jae Yong;Ha, Ji-H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1호
    • /
    • pp.2019-2027
    • /
    • 2017
  • Recently, cabbage kimchi has occasionally been associated with the foodborne diseases of enteric viruses such as human norovirus (HuNoV).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bial/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ersistence of HuNoV in experimentally contaminated cabbage kimchi fermented and stored at $4^{\circ}C$ or $10^{\circ}C$ for 28 days. Changes in organic acid content, lactic acid bacteria (LAB), acidity, pH, and salinity were analyzed. The recovery of structurally intact HuNoV was examined for up to 28 days post-inoculation, using a NoV GII.4 monoclonal antibody-conjugated immuno-magnetic separation method combined with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On day 0, LAB loads were $4.70log_{10}$ colony forming units/g and HuNoV GII.4 titers were $2.57log_{10}\;genomic\;copies/{\mu}l$, at both temperatures. After 28 days, intact HuNoV titers decreased to 1.58 ($4^{\circ}C$) and $1.04(10^{\circ}C)log_{10}\;genomic\;copies/{\mu}l$, whereas the LAB density increased. This correlated with a gradual increase in lactic acid and acetic acid at both temperatures. Our findings support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recovery of structurally intact HuNoV GII.4. Moreover, we determined that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and low pH could affect HuNoV GII.4 titers i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However, HuNoV GII.4 was not completely eliminated by microbial/physicochemical factors during fermentation, although HuNoV GII.4 was reduced. Based on this, we speculate that the persistence of HuNoV GII.4 may be affected by the continually changing conditions during kimchi fermentation.

발효온도에 따른 보리와 밀 혼합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Makgeolli with Barley and Wheat by Fermentation Temperature)

  • 신동선;정석태;심은영;이석기;김현주;우관식;오세관;김시주;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1
    • /
    • 2017
  • 보리와 밀의 혼합막걸리 제조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효온도(20, 25, $30^{\circ}C$)및 시간(3, 6, 9일)을 달리하여 제조한 혼합막걸리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pH와 당도는 발효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산은 발효온도와 시간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환원당과 알코올 함량은 발효온도 $20^{\circ}C$$25^{\circ}C$에서는 발효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환원당은 감소하고, 알코올은 증가하는 반면, 발효온도 $30^{\circ}C$에서는 발효 6일에 알코올 함량이 감소하였다. 색도는 L값은 대부분 발효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과 b값은 발효 9일차에 발효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보리와 밀 혼합막걸리의 미생물수를 측정한 결과, 효모수는 발효 3일차에 발효온도 $20^{\circ}C$, $25^{\circ}C$$30^{\circ}C$에서 각각 8.14, 7.93 및 7.67 Log(CFU/mL)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발효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것은 발효온도와 상관없이 총균수와 유산균수가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유기산 조성은 citric acid와 lact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그 외 malic acid와 pyruvic acid도 일부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보리와 밀 혼합막걸리의 최적 발효조건은 발효온도 $20{\sim}25^{\circ}C$에서 6일간 발효했을 때 우수한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맥주박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의 최적 발효조건 규명 (Determination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for Alcohol-Fermented Feeds with Wet Brewer's Grains)

  • 김창혁;박병기;오상집;성경일;김현숙;홍병주;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07-614
    • /
    • 2005
  • 본 시험은 맥주박의 알코올 발효가 발효특성 및 사료의 영양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한 시험사료는 맥주박과 파쇄 옥수수를 50:50(풍건상태)의 비율로 혼합하여 혐기 발효에 의하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다. 발효 조건은 당밀 첨가 수준(0, 2 및 5%), yeast 첨가 수준(0, 0.1, 0.5, 1.0 및 2.0%) 및 발효 온도(4, 10, 30, 40 및 50$^{\circ}C$)에 따른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각 조건에 의한 알코올 함량, live yeast cell number (LYCN) 및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당밀 첨가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게 생성되었다. 발효 24시간 동안에 yeast 0.1, 0.5, 1.0 및 2.0% 첨가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각각 1.9, 2.4, 3.1 및 3.1%로 나타나, yeast 첨가수준 1% 까지는 yeast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시험사료중의 알코올 생성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yeast 첨가수준 1.0 이상에서는 일정한 양의 알코올 이 생성되었다. 발효 초기의 LYCN은 yeast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P<0.05), 발효 48시간 후의 LNCN은 0.1% 이하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발효 온도에 따른 알코올 생성량은 발효 온도 30 및 40$^{\circ}C$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30$^{\circ}C$와 40$^{\circ}C$ 간의 알코올 생성량은 30$^{\circ}C$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발효 온도에 따른 pH는 발효 온도가 낮을수록 발효 24시간까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맥주박의 사료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yeast의 첨가량, 당밀(발효기질), 발효온도 및 발효시간 등의 요인을 고려하였을 경우, 본 시험의 조건하에서 원활한 알코올 발효와 발효사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정 발효조건은 당밀 5%와 yeast 1%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Homolactic Bacterial Inoculant Alone or Combined with an Anionic Surfactant on Fermentation, Aerobic Stability and In situ Ruminal Degradability of Barley Silage

  • Baah, J.;Addah, W.;Okine, E.K.;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369-378
    • /
    • 2011
  • The effect of a homolactic inoculant containing a blend of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and Enterococcus faecium or, the anionic surfactant, sodium dodecyl sulphate (SDS), alone or in combin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erobic stability and in situ DM, OM and NDF degradability of barley silage was investigated. Barley (Hordeum vulgare, L.) was harvested (45% DM), chopped and treated with water at 24 ml/kg forage (Control), inoculant at $1.09{\times}10^5$ cfu/g forage (I), SDS at 0.125% (wt/wt) of forage (S) or with the inoculant ($1.09{\times}10^5$ cfu/g) plus SDS (0.125% wt/wt; I+S). The treated forages were ensiled in triplicate mini silos and opened for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on d 1, 2, 3, 7, 14, 42 and 77. Silage samples from d 77 were opened and aerobically exposed for 7 d. The in situ rumen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of silage DM, OM and NDF were also determined. The terminal concentration of NDF in S and I+S was lower (p<0.001) than in other treatments. Lactate concentration was higher (p<0.001) and the rate and extent of pH decline were greater (p<0.001) in I and I+S than S and Control silages. A homolactic pathway of fermentation in I and I+S was evidenced by reduced (p<0.001) water-soluble carbohydrates concentration, higher lactate (p<0.01), lower acetate (p<0.01) and lower pH values (p<0.001) than in S and Control silages. All silages remained stable over 7 d of exposure to air as indicated by lower temperatures and moulds, and by non-detectable yeast populations. The treated silages had lower DM and OM degradability than in the Control but NDF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I+S were improved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It is concluded that the inoculant alone improv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hereas the combination of the inoculant with SDS improved both fermentation and NDF degradability of barley silage.

포기김치와 맛김치의 온도별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ole and Sliced Kimchi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 박우포;안덕순;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84-789
    • /
    • 1997
  • 같은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김치를 담글 때에 배추의 형태가 다른 포기김치와 맛김치의 발효중에 일어나는 품질특성의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맛김치는 포기김치에 비하여 $20^{\circ}C$에서는 2일 정도, $5^{\circ}C$에서는 10일 정도 발효가 빨리 일어났다. 김치를 $20^{\circ}C$에서 발효시킬 때에는 포장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3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산소의 농도는 3일 이후에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김치 즙액의 색도는 발효 온도에 관계없이 L, a 및 b값 모두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시킨 맛김치의 젖산균수는 포기김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았다. $5^{\circ}C$에서 발효시킨 맛김치는 20일까지 포기김치에 비하여 젖산균수가 많았으나 그 이후에는 포기김치의 값이 높았다. 관능검사에서는 냄새, 색 및 맛에서 두 김치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발효 온도에 따른 맥주의 퓨린 함량 분석 (Analysis of purine content in beer according to fermentation temperature)

  • 곽희재;김수경;이병섭;리시후이;이준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79-383
    • /
    • 2018
  • 맥주는 가장 대중적인 알코올 발효주이지만 퓨린(purine) 함량이 높아 고요산혈증 및 통풍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맥주 발효 온도를 달리함으로써 맥주의 퓨린 함량을 낮출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맥주 제조의 주된 발효법인 상면 발효와 하면 발효에서 주로 사용되는 $20^{\circ}C$$10^{\circ}C$ 온도에서 맥주를 발효한 후, 각각에서 대표적 퓨린 화합물인 adenine, guanine 그리고 xanthine들의 함량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circ}C$ 발효 맥주가 $20^{\circ}C$ 발효 맥주에 비해 총 퓨린 함량이 낮았으며, 특히 adenine의 함량이 의미있게 낮아져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