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itrothion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초

Fenitrothion과 Tebuconazole의 입상 활성탄 및 차콜에 의한 흡착과 용탈에 관한 연구 (Sorption and Leaching Studies of Fenitrothion and Tebuconazole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Charcoal)

  • 이동익;천소을;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5
    • /
    • 2006
  • 본 실험은 농약 흡착제(adsorbent)로서 입상 활성탄(활성탄 I 및 활성탄 II) 및 차콜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흡착질(adsorbate)로 현재 골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살충제인 스미치온(Fenitrothion)과 살균제인 호리쿠어(Tebuconazole)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착실험에서는 스미치온 및 호리쿠어의 처리 농도별 흡착에 미치는 영향과 흡착제의 입자크기가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흡착실험에서는 흡착제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흡착율을 보였으며, 활성탄이 차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흡착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스미치온의 탈착(desorption)에 관한 실험에서는 활성탄 및 차콜 모두 1200mm 이상의 강우량에서도 스미치온이 용탈되지 않았으므로, 차콜 또한 활성탄과 함께 골프장 농약 흡착제로서의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Degradation of 3-Methyl-4-nitrophenol, a Main Product of the Insecticide Fenitrothion, by Burkholderia sp. SH-1 Isolated from Earthworm (Eisenia fetida) Intestine

  • Kim, Seon-Hwa;Park, Myung-Ryeol;Han, Song-Ih;Whang, Kyung-Sook;Shim, Jae-Han;Kim, In-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1-287
    • /
    • 2007
  •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earthworm intestine and examined for their ability to degrade 3-methyl-4-nitrophenol (MNP), a main degradation product of the insecticide fenitrothion. An isolate that showed the best degradation of MNP was selected for further study. The 16S rRNA analysis showed that the isolate belongs to the genus of Burkholderia, close to phenanthrene-degrading Burkholderia sp. S4.9, and is named Burkholderia sp. SH-1. When time-course degradation of MNP by SH-1 was exa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almost complete degradation of MNP was observed within 26 h. Colony forming unit value assays indicated that the isolate SH-1 was capable of utilizing MNP as a sole carbon source. SH-1 could also degrade p-nitrophenol (PNP) but could not degrade ortho-substituted nitroaromatics such as 2,4-, 2,6- and 2,5-dinitrophenol. Catechol was detected as the main degration product of MNP and PNP. SH-1 was also found in the soil from which earthworms were obtain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persal of Burkholderia sp. SH-1 into different environment with the aid of earthworms is likely to play a role in bioremediation of the soil contaminated with MNP.

Comparison of QuEChERS and Solid Phase Extraction for Accurate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Kimchi Cabbage and Strawberry using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 Seonghee Ahn;Kebede Gebeyehu Mekete;Byungjoo Kim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4권4호
    • /
    • pp.178-185
    • /
    • 2023
  • QuEChERS is used worldwide as a universal sample preparation method with many benefits, such as being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QuEChERS can be employed in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ID-MS) for accurate analysis of pesticides in food. The ratios of fortified values and measured values of malathion and fenitrothion using the QuEChERS method were compared with those using the solid phase extract (SPE) method which was previously used in this laboratory. The separations of the two pesticides on DB-5MS and VF-1701MS columns were compared. Malathion and fenitrothion were fortified into kimchi cabbage and pretreated with the QuEChERS method and the SPE method.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DB-5MS column varied according to the sample preparation method, column and pesticide level. Using the VF-1701 column, ratios were 98-102% by both QuEChERS and Carb/NH2 SPE method for all fortification level. Malathion and fenitrothion were fortified into strawberry samples for comparison with kimchi cabbage. The results for the strawberry samples indicated that the ratios were not influenced by the sample preparation methods or GC column. The QuEChERS method could be acceptable in the ID-MS method for pesticide residue analysis in food, however other condition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accurate determination, such as the column, amount of analyte and food matrix.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주용탈과 대류이동성 모형에 의한 이동성 예측 (Leaching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Soil Column and Prediction of Their Mobility Using the Convective Mobility Test Model in Soils)

  • 김찬섭;임양빈;이희동;오병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0-357
    • /
    • 2005
  • 농약별 수직이동 양상을 파악하고, 흡착계수와 토양관련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대류이동성 모형(Convective mobility test model)으로 예측한 용탈 속도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강서통(논), 중동통(밭), 예산통(산림토양) 및 신엄통(화산회토)을 사용하여 카바메이트계 농약 metolcarb, molinate, fenobucarb 및 dimepiperate와 유기인계 농약 isazofos, diazinon,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의 도주용탈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농약을 $50{\mu}g/cm^2$ 수준으로 토주 상단에 처리하였을 때 토심 10 cm 이동 후 용탈되는 농약별 최대용탈(peak) 농도는 화산회토를 제외한 3종 토양의 경우 metolcarb $6.5{\sim}12.6mg/L$, molinate $2.6{\sim}5.0mg/L$, fenobucarb $4.5{\sim}7.8mg/L$, dimepiperate $0.39{\sim}1.36mg/L$ isazofos $1.1{\sim}4.6mg/L$, diazinon $0.01{\sim}0.14mg/L$, fenitrothion 0.01 mg/L 미만${\sim}0.70mg/L$ 및 parathion 0.01 mg/L 미만${\sim}0.44mg/L$ 수준이었고 chloipyrifos-methyl은 네 토양 모두에서 용탈되지 않았다. Peak 농도 출현까지 소요된 용탈수량은 metolcarb $1.1{\sim}2.1$ pore volume(PV), molinate $1.6{\sim}3.3$ PV, fenobucarb $1.6{\sim}3.3$ PV, isazofos $2.1{\sim}4.4$ PV, diazinon $6{\sim}15$ PV 및 dimepiperate $8{\sim}21$ PV 수준이었다. 대류이동성 모형에 의한 예측결과는 대부분의 토양-농약 조합에서 토주용탈 양상과 일치하였고 표준조건(water flux 1 cm/일)에서 예측된 이동소요시간에 따라 metolcarb는 most mobile, molinate와 fenobucarb, isazofos는 mobile내지 most mobile, dimepiperate는 moderately mobile이나 mobile, diazinon은 mobile, fenitrothion과 parathion은 slightly mobile 또는 mobile, chloipyrifos-methyl은 immobile이나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원에서 사과면충과 사과면충좀벌의 발생동태 및 살충제 실내검정 (Population Dynamics of Eriosoma lanigerum (Hemiptera: Aphididae) and Aphelinus mali (Hymenoptera: Aphelinidae) in Apple Orchards and Screening Effective Insecticides in the Laboratory)

  • 김동순;양창열;전흥용;최경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9-325
    • /
    • 2009
  • 사과면충은 지하부 대목부 및 흡지에서 성충 및 약충 상태로 월동하였고, 약제를 살포하지 않은 사과원의 주간부에서 콜로니는 4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 1차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그 후 감소하였다가 7월 하순 2차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9월 하순에도 1차 발생최성기 규모의 발생량을 보였다. 발생량은 주 당 3.5개를 넘지 않았으며, 연간 2개 내외로 유지되었다. 사과면충좀벌 기생률은 지제부 보다는 지상부에서 기생률이 높았고, 사과면충 발생농가 조사결과 기생률이 최고 70% 이상이었다. 사과면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검정 결과 fenitrothion, dichlorphos, machine oil, methidathion, thiacloprid, imidacloprid 등 약제의 살충률은 각각 97.8, 96.8, 95.4, 91.5, 26.7 및 7.8% 이었다. 또한 동일한 약제에 대한 사과면충좀벌 머미의 성충으로 우화율은 각각 51.2, 72.6, 14.2, 3.5, 72.2 및 85.4% 이었다. 최근 많이 사용하는 진딧물 적용약제들의 살충률은 낮았으며, fenitrothion 및 dichlorphos는 사과면충에 대한 살충률이 높고 천적에 비교적 저독성이어서 종합관리 시 동시방제 약제로 적당하였다.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양흡착성과 간이선발모형을 이용한 용탈 잠재성 평가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Four Soils and the Evaluation for Their Leaching Potential Using Two Screening Models)

  • 김찬섭;박병준;임양빈;류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9
    • /
    • 2005
  • 유기인계 농약 5종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4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이온성 농약인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diazinon, fenitrothion, isazofos, parathion과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fenobucarb(BPMC)와 metolcarb 및 카바메이트게 제초제 dimepiperate와 molinate를 대상농약으로 하였고, 논, 밭, 산림토양 및 제주도 화산회토를 시험토양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metolcarb, molinate, 및 fenobucarb는 mobile, isazofos를 포함하는 6종 농약은 토양에 따라 moderately mobile 또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그리고 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한 용탈잠재성은 metolcarb, fenobucarb 및 molinate는 용탈 가능성이 있고 isazofos, dimepiperate 및 diazinon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변형하여 Koc값 대신에 Kd값으로 평가하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제주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낫은 다른 토양에 비하여 농악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하나 농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래해충인 담배가루이의 약제감수성 (Susceptibility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 Aleyrod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길하;이영수;이인환;안기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58
    • /
    • 2000
  • 본 연구는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B. biotype)의 방제약제를 선발하는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43종의 살충제에 대한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과 kiflubenzuron이 95%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이 95%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diazinon, fenitrothion, methidathion, pirimiphos-methyl, neonicotinoid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ethofenprox, cartap hydrochloride+buprofezin, fenpropathrin+fenitrothio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spinosad 등이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성충에 대해서 잔효 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성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acetamiprid+ethofenprox 은 처리후 1일째, pyriproxyfen은 처리후 7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담배가루이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resistanc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Kangwon alpine vegetable croplands)

  • 조준모;김경주;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5
    • /
    • 2001
  •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는 동일한 살충제가 매년 수회씩 연용되고 있으며, 여러 살충제의 혼용살포로도 배추좀나방 방재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강원도 계촌, 장평, 태백, 춘천, 홍천의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한 배추좀나방을 채집하여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 diazinon, fenitrothion, profenofos, phenthoate, flupyrazofos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인 carbofuran, befuracarb, furathiocrb에 대한 $LC_{50}$을 감수성종과 비교하여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정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216.9 ppm과 589.0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인 6.25 ppm과 비교하여 각각 35배와 94배 높았고, fenitrothion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각각 240.3 ppm과 960.1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3.9 ppm과 비교하여 70배와 254배 높았으며, profenofos에 대한 춘천종의 $LC_{50}$ 39.2 ppm은 감수성종의 $LC_{50}$ 1.1 ppm과 비교하여 37배 높았다. 그러나 diazinon, phenthoate, flupyrazofos에 대한 감수성종과 포장종의 $LC_{50}$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경우 befuracarb에 대해서만 저항성이 나타났는데, befuracarb에 대한 춘천중의 $LC_{50}$은 257.8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13.34 ppm과 비교하여 19배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약제간, 지역간차이는 있었으나 강원도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이 일부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유통 수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rom Traditional Markets)

  • 노현호;이재윤;박효경;정혜림;이정우;진미지;최황;윤상순;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29
    • /
    • 2016
  • 국내산 유통 수삼 중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국 15개 지역의 45개 재래시장 상점에서 45점의 시료를 채취한 후 GC-MS/MS와 LC-MS/MS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을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으며, 검출된 농약은 GC-ECD/NPD를 이용한 개별분석으로 수삼 중 잔류농약을 정량하였다. 잔류농약 분석 결과 총 45점의 시료에서 cypermethrin, fenitrothion, fludioxonil, thifluzamide, tolclofos-methyl이 검출되었으며, 검출율은 35.6%이었다. Tolclofos-methyl이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인삼에 대한 안전사용기준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fenitrothion이 검출되었다. 수삼에서 검출된 농약은 모두 잔류허용기준 미만이었다. 수삼 중 검출된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섭취추정량은 0.03-16.67%이었다.

밀의 제분에 따른 밀가루 중 농약 가공계수 산출 연구 (Studies for the Processing Factors of Pesticides during the Milling of Wheat Grain)

  • 박소영;박건상;임무혁;최훈;장문익;권찬혁;김선구;이효구;홍무기;심재한;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0-78
    • /
    • 2009
  • 밀가루의 농약잔류허용기준설정에 필수자료인 밀의 제분공정에 따른 농약의 가공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위해 밀에 대한 농약 연간사용량과 검출이력이 있는 azinphos-methyl, chlorpyrifu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malathion, trichlorfon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다. 밀에 이들 농약을 밀의 잔류허용기준 수준 정도로 침투시키기 위하여 농약을 첨가된 침지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제분은 pilot plant system에서 수행하였다. 가공계수는 가공 전 밀과 가공 후의 밀가루 및 부산물의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여 각 농약 잔류량을 나누어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밀가루의 가공계수는 각각 azinphos-methyl 0.05, chlorpyrifos 0.06, chlorpyrifos-methyl 0.05, fenitrothion 0.07, malathion 0.07, trichlorfon 0.06이었다. 또한,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회수율은 $93.2{\sim}98.6%$, 표준편차는 $0.1{\sim}0.9%$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