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oral condyl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연골결손에 대한 자가 골연골 이식 수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 after Osteochondral Autogenous Graft Transfer for the Chondral defect of the Knee)

  • 최남홍;곽호윤;송백용;배상욱;이인묵;김우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9-103
    • /
    • 2001
  • 목적 : 이번 전향적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의 연골 결손 환자의 치료로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이차 관절경을 시행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슬관절의 연골 결손의 치료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이 시행된 40명의 환자 중 14면에서 이차 관절경이 시행되었다. 환자들의 연령은 $17\~59$세로, 평균 연령은 34세였다. 수술 전 14명 중 11명에게서 자기 공명영상을 시행하여 9면에서 연골 결손이 관찰되었으나 관절경술상 전례에서 연골결손을 확인하였다. 연골 결손의 부위는 대퇴골 내과가 7명, 활차 부위가 4명, 대퇴골 외과가 3명이었다. 연골 결손의 크기는 평균 $13\times10mm$, 최소 $5\times10mm$, 최대 $22\times20mm$이었다. 사용된 골연골의 갯수는 1개를 사용한 경우 8명, 2개가 3명, 3개가 2명, 5개가 1명이었다. 결과 : 수술 후 추적 관찰은 평균 21개월이었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 후 6개월에 이차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시행한 환자의 $86\%$에서 이식된 연골의 경도가 주변의 연골과 같았으며, $93\%$의 환자에서 주변 연골과 잘 융화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자가 골연골 이식술은 슬관절의 연골결손의 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퇴골의 전장검사 시 stitching method의 적용에 관한 유용성 연구 (A Study on Useful Application of Stitching Method for Full-Length Examination of the Femur)

  • 노지숙;정지훈;김성길;정명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2호
    • /
    • pp.97-103
    • /
    • 2011
  • 대퇴골의 전장검사 시 조사야의 넓이와 필름이나 검출기 등의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를 잡는다 하여도 모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의 골첨부와 골단부가 포함되도록 두 번 촬영을 하여 얻어진 영상을 융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검사한 결과에 대한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8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광주지역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대퇴골 검사 시 고식적인 DR방식과 SM방식을 이용한 검사방법 모두를 시행한 경험이 있는 방사선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같은 기간에 대퇴골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영상의 질 평가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2명과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6명에 의해 대퇴경의 축소여부, 무릎관절의 회전여부, 대퇴골의 포함정도에 따라 20개의 영상을 평가하였다. 설문조사한 결과는 검사시간, 검사자수, 체력적 소모, 재 촬영률, 환자의 불편 등에 대한 항목에서 SM방식의 검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p < 0.001), 영상의 평가에서도 고식적인 DR방식보다 SM방식의 영상이 높은 평가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대퇴골 검사 시 SM방식이 고식적인 DR방식에 비하여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meniscus arrow를 이용한 봉합 (Meniscus Repair using Meniscus Arrow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조성도;박태우;황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6-160
    • /
    • 2002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의 파열에 대해 meniscus $arrow^{\circledR}$(BIONX, Tampere, Finland)를 이용한 봉합술의 치험예를 통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7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함께 meniscus arrow를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의 봉합술을 시행하고 추시가 가능하였던 17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8.5개월이었다. 손상 부위는 내측 12례, 외측 5례였고, 손상 형태는 전례에서 종 파열이었으며 red-rd 지역이 13례, red-white 지역이 4례였다. 술후 결과는 반월상 연골에 의한 증상(동통, 관절선 압통, 잠김, McMurray 검사)의 유무에 대해 알아보고 Marshall knee score를 이용하여 술전후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합병증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결과 : 술후 2례에서 경도의 관절선 압통을 보였으나 관절 운동이나 체중 부하시 특별한 동통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전례에서 잠김 증상이나 McMurray 검사는 음성이었다. 최종 추시점에서 Marshall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결과는 15례$(88\%)$에서 good 이상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1례에서 술후 능동적 관절운동시 슬관절의 내측에 걸리는 느낌의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술후 6주에 소실되었다. 다른 1례에서 반월상 연골 밖으로 돌출된 arrow의 T-Head에 의한 대퇴골 연골 손상이 있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 특히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각부 파열에 대해 meniscus arrow를 이용한 봉합술도 하나의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나 연부조직 자극으로 인한 통증과 대퇴골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슬관절 골관절염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대퇴 내과 관절 연골의 두께 측정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Articular Cartilage Thickness of Medial Femoral Condyle in Knee Osteoarthritis)

  • 김정만;김태형;임동선;강민구;이규조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4
    • /
    • 2011
  • 목적: 체중 부하 엑스선 상의 관절 간격과 초음파 검사상의 대퇴 연골 두께를 비교,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6월에서 2010년 9월까지 체중 부하 엑스선 검사와 함께 초음파 검사로 관절 연골의 두께를 측정한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측 35예, 좌측 20예, 양측 18예로 전체 91예였다. 엑스선 상 내측 관절 간격은 완전 신전 전후면 상과 $45^{\circ}$도 후전면 상(Rosenberg view)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앙와위에서 $30^{\circ}$ 굴곡 및 $130^{\circ}$ 굴곡 상태에서 관상 스캔을 실시하여 전방 1/3과 중간 1/3 사이 지점 및 중간 1/3과 후방 1/3 사이의 체중 부하부위에 해당되는 지점의 내측 대퇴 연골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엑스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상의 각각의 측정값을 Pearson correlation test과 Bland-Altman plot 통계학적 검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완전 신전 전후면 상에서 관찰된 전방부의 관절 간격과 초음파 상 30도 굴곡 위치에서 측정한 전방 1/3과 중간 1/3 사이 지점의 관절 연골 두께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졌고, 엑스선 상 $45^{\circ}$도 후전면 상에서 관찰된 후방부 관절 간격과 초음파 검사 상 $130^{\circ}$ 굴곡 위치에서 측정한 중간 1/3과 후방 1/3 사이 지점의 관절 연골 두께 측정치 사이에서도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SD{\pm}2$). 결론: 기립이나 체중 부하를 할 수 없는 골관절염 환자에서도 초음파 검사는 외래에서 손쉽게 슬관절 대퇴 관절 연골의 두께를 측정하고 연골 손상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어 진단 및 경과 관찰의 도구로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자가 연골세포 이식술 이후에 발생한 이식부의 골 형성 병변 - 증례 보고 - (Heterotophic Ossification in Recipient Site of the Knee after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 A Case Report -)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박지강;이형준;이옥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6-40
    • /
    • 2010
  • 연골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 방법 중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은 자신의 연골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이것을 다시 관절 내의 연골 결손 부위에 이식하여 증상이 있는 전층의 연골 또는 골 연골 손상을 치료하는 술식이다. 저자들은 자가연골 세포 이식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이식부의 골 형성 병변이 있는 1 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흡수성 반월상 연골나사를 사용한 얇은 골연골 골절의 치료 - 증례 보고 - (Biodegradable Meniscus Screw Fixation of Thin Flap Osteochondral Fracture - Two Case Report -)

  • 전재균;선두훈;송인수;김영우;정재용;이봉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4
    • /
    • 2010
  • 관절내 골연골 골절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 골관절염을 초래하여 통증과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골 연골 골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관혈적 정복 및 금속고정 수술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골편의 두께가 2mm 이하로 얇은 경우 튼튼한 고정력을 얻기 어려워 제거 하는 경우가 많았다. 저자들은 대퇴 내과에 발생한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와 슬개골 골절로 골편의 두께가 2mm이하인 환자에서 흡수성 반월상 연골나사를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증상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1예 보고 - (Symptomatic Abnormal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유재두;신상진;김태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49
    • /
    • 2007
  • 11세 여환의 증상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내원 4개월 전부터 지속된 좌측 슬관절의 동통을 주소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았으나, 치료에 반응이 없어 관절경 술식을 시행받았다. 관절경 소견상 환자의 내측 반월상 연골판 전각에서 기시하는 비정상적인 띠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이 띠는 전방십자인대 옆을 지나 대퇴골 과간 절흔으로 뻗어나가 대퇴골 내과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이 비정상적인 띠는 수술 전 시행한 슬관절 자기 공명 영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관절경 시행시 발견되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술 시행 후 술 전 호소하던 증상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

Outcomes Associated with Nasal Reconstruction Post-Rhinectomy: A Narrative Review

  • John, Jithin;Gupta, Rohun;Grossbauer, Anne;Chung, Michael;Sethna, Anita;Abboud, Michel;Cox, Eric;Hart, Justin;Folbe, Adam;Chaiyasate, Kongkrit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2호
    • /
    • pp.184-194
    • /
    • 2022
  • The face and the external nose define an individual's physical appearance. Nasal deformities can cause facial disfigurement along with unwanted psychological repercussions. Nasal deformities range in severity, with the most severe cases being indications for a rhinectomy,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nasal defect. According to published literature, there is no consensus among otolaryngologists and plastic surgeons on which technique or flap use is preferred in terms of complications, aesthetic outcome, or patient satisfac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ublished studies on nasal reconstruction following rhinectomy. Us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s guidelines for writing systematic review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Four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a search strategy. These articles were then imported into the COVIDENCE software and went screening and thorough article review. After screening 2,237 articles, 23 studies were then extracted for data collection analysis. We collected data from 12 case series, 4 case studies, 1 prospective case series, and 4 retrospective chart review studies. The most commonly reported flaps were forehead flaps, superior extended nasal myocutaneous island, forearm free flaps, anterolateral thigh (ALT) free flap, medial femoral condyle free flap (n = 8), and zygomaticus implants (n = 6), and retained nasal prosthesis. Although not specifically indicated by a certain number,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the rhinectomy was malignancy, followed by traumas, postsurgical complications, radionecrosis, and congenital nasal malformations.

A biodegradable magnesium alloy sample induced rat osteochondral defect repair through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 Zhao, Kexin;Chen, Yingqi;Yu, Fei;Jian, Weng;Zheng, Ming;Zeng, Hui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301-317
    • /
    • 2022
  •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Mg-Nd-Zn-Zr (abbreviated as JDBM) alloy has good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as well as promotion of cell adhesi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may play a unique role in joint tissue by controlling the function of chondrocytes, osteoblasts and synoviocytes.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JDBM alloy induces osteochondral repair through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This study aims to verify that JDBM alloy can repair osteochondral defects in rats, which is realized by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the osteochondral defect model of the right femoral condyle non-weight-bearing area in rats was establish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JDBM alloy implantation group and JDBM alloy implantation combined with signaling pathway inhibitor drug ICRT3 injection. It was found that after JDBM alloy implantation, the bone volume fraction (BVF) became larger, the bone trabeculae were increased, the relative expression of osteogenesis gene Runx2, Bmp2, Opn, Ocn and chondrogenesis gene Collagen II, Aggrecan were increased, and the tissue repair was obvious by HE and Masson staining, which could be inhibited by ICRT3.

High-Fidelity Perforator Visualization for Cadaver Dissection in Surgical Training

  • AllenWei Jiat Wong;Yee Onn Kok;Khong Yik Chew;Bien Keem Ta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6호
    • /
    • pp.621-626
    • /
    • 2023
  • In the first half of the third century B.C., Herophilus and Erasistratus performed the first systematic dissection of the human body. For subsequent centuries, these cadaveric dissections were key to the advancement of anatomical knowledge and surgical techniques. To this day, despit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cadaver dissection remained the best way for surgical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research through cadaveric dissection, our institution has developed a unique method of perforator-preserving cadaver injection, allowing us to achieve high-fidelity perforator visualization for dissection studies, at low cost and high efficacy. Ten full body cadavers were sectioned through the base of neck, bilateral shoulder, and hip joints. The key was to dissect multiple perfusing arteries and draining veins for each section, to increase "capture" of vascular territories. The vessels were carefully flushed, insufflated, and then filled with latex dye. Our injection dye comprised of liquid latex, formalin, and acrylic paint in the ratio of 1:2:1. Different endpoints were used to assess adequacy of injection, such as reconstitution of eyeball volume, skin turgor, visible dye in subcutaneous veins, and seepage of dye through stab incisions in digital pulps. Dissection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dye, outlining even the small osseous perforators of the medial femoral condyle flap and subconjunctival plexuses. Our technique emphasized atraumatic preparation, recreation of luminal space through insufflation, and finally careful injection of latex dye with adequate curing. This has allowed high-fidelity perforator visualization for dissectio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