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iscus Repair using Meniscus Arrow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meniscus arrow를 이용한 봉합

  • Cho Sung-D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Park Tae-W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Hwang Su-Ye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조성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박태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황수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results and usefulness of meniscal repair using meniscal arrows with ACL reconstruction. Material and Methods : Among cases of the simultaneous meniscal arrow fixation and ACL recontruction performed between May, 1997 and September, 2000, 17 cases could be evaluated. The average follow-up were 18.5 months. Twelve cases were medial meniscus, 5 cases, lateral meniscus. All cases were longitudinal tear. Meniscal tear were seen at red-red zone in 13 cases, red-white zone in 5 cas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pain, joint line tenderness, locking, McMurray test, the Marshall knee scoring scale and complications. Results : Postoperatively two patients had mild joint line tenderness without pain on joint motion or weight bearing. No patient had locking or positive McMurray test. At last follow-up, 15 cases $(88\%)$ were 'excellent' or 'good' according to the Marshall knee score scale. There were two complications which are soft tissue irritation sign on active knee motion and a femoral chondral injury due to protruded T-shaped head of meniscus arrow. Conclusion : Meniscus arrow can be one of the options in repairing the associated meniscus tear, especially the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during ACL reconstruction. However, surgeons using meniscus arrow should be aware of its potential complications such as pain due to soft tissue irritation and chondral damage of the femoral condyle.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의 파열에 대해 meniscus $arrow^{\circledR}$(BIONX, Tampere, Finland)를 이용한 봉합술의 치험예를 통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7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함께 meniscus arrow를 이용하여 반월상 연골의 봉합술을 시행하고 추시가 가능하였던 17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8.5개월이었다. 손상 부위는 내측 12례, 외측 5례였고, 손상 형태는 전례에서 종 파열이었으며 red-rd 지역이 13례, red-white 지역이 4례였다. 술후 결과는 반월상 연골에 의한 증상(동통, 관절선 압통, 잠김, McMurray 검사)의 유무에 대해 알아보고 Marshall knee score를 이용하여 술전후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합병증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결과 : 술후 2례에서 경도의 관절선 압통을 보였으나 관절 운동이나 체중 부하시 특별한 동통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전례에서 잠김 증상이나 McMurray 검사는 음성이었다. 최종 추시점에서 Marshall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결과는 15례$(88\%)$에서 good 이상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1례에서 술후 능동적 관절운동시 슬관절의 내측에 걸리는 느낌의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술후 6주에 소실되었다. 다른 1례에서 반월상 연골 밖으로 돌출된 arrow의 T-Head에 의한 대퇴골 연골 손상이 있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 특히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각부 파열에 대해 meniscus arrow를 이용한 봉합술도 하나의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나 연부조직 자극으로 인한 통증과 대퇴골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