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seful Application of Stitching Method for Full-Length Examination of the Femur

대퇴골의 전장검사 시 stitching method의 적용에 관한 유용성 연구

  • 노지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
  • 정지훈 (조선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김성길 (조선대학교 대학원) ;
  • 정명진 (조선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Received : 2010.09.28
  • Accepted : 2011.06.0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Full-length examination of the femur sometimes does not show all of the femur because of the limited width in collimator and size of detectors although it is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sefulness of the method of combining images which obtained from two radiographic images containing the femoral head and condyle respectively. Our group interviewed 30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used both palliative DR method and SM method in their examinations of the femur of patients who were carried to the emergency rooms in Gwang-ju city from August 2007 to November 2009. We evaluated twenty images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of femoral neck, turning of knee joints and inclusion of the femur. The examination were performed by two radiologists and six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have more than ten years of care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SM method was graded with higher score for examination time, number of examiners, emaciation, retake and patients' discomfort (p< 0.001) while the. SM method was scored higher than the palliative DR method in the palliative DR method for examination of long bone.

대퇴골의 전장검사 시 조사야의 넓이와 필름이나 검출기 등의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를 잡는다 하여도 모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의 골첨부와 골단부가 포함되도록 두 번 촬영을 하여 얻어진 영상을 융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검사한 결과에 대한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8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광주지역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대퇴골 검사 시 고식적인 DR방식과 SM방식을 이용한 검사방법 모두를 시행한 경험이 있는 방사선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같은 기간에 대퇴골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영상의 질 평가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2명과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6명에 의해 대퇴경의 축소여부, 무릎관절의 회전여부, 대퇴골의 포함정도에 따라 20개의 영상을 평가하였다. 설문조사한 결과는 검사시간, 검사자수, 체력적 소모, 재 촬영률, 환자의 불편 등에 대한 항목에서 SM방식의 검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p < 0.001), 영상의 평가에서도 고식적인 DR방식보다 SM방식의 영상이 높은 평가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대퇴골 검사 시 SM방식이 고식적인 DR방식에 비하여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Suk Se-Il, Chung Moon-sang, Cho Jae-lim 등: 정형외과학(Orthopaedics) 5th edition, 정형외과학회, 최신의학회, p.700-728, 1999
  2. 김승국, 전재두: CT scanogram과 고식적방법에 의한 대퇴골계측촬영의 비교분석, 한국방사선기술학회지, Vol. 24(2), 29-33, 2001
  3. 이광재, 고신관, 김욱동, 김시돈, 김형섭: Scannogram, Whole Spine image 획득에 관한 연구,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10(1), 35-40, 2008
  4. 김광희, 이경용: 대퇴골 골절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4, 435, 1979
  5. 윤형구, 정대은, 전호승, 박순용: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한 대퇴골 간부골절의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1, 490-498, 1996
  6. 홍문기, 장준섭, 박병문, 정인희: 대퇴골 간부골절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2, 447-459, 1977
  7. Connolly JF and King P: Closed reduction and early cast-brace ambulation in the treatment of fracture, II. Results in on hundred and forty-three fractures, J bone and Joint Surg, 55-A, 1581, 1973
  8. Creshaw AH: Campbell's Operative Orthopaedics, 8th ed. St. Louis, CV Mosby, 847-884, 1992
  9. 성열보, 권철수, 안종국, 김진혁, 김동수, 김성수: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적 고정술을 이용한 성인 대퇴골 골절의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2(7), 1733-1741, 1997
  10. 이한기, 이용덕, 조명제, 김계엽: 인체해부학, 현문사, p.146-252, 2003
  11. 강세식, 고성진, 고인호 등: TEXTBOOK OF Radiographic Positioning AND Clinical Diagnosis, 청구문화사, p.721-848,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