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workforce policy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어업인의 노동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 김종천;이창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2호
    • /
    • pp.1-14
    • /
    • 2023
  • The sustainability of fishing villages is threatened by manpower shortages due to population aging and poor settlement conditions. In the reality of poor fishing villages, the importance of women's labor is more emphasized than that of the past because female workers are key workers in fishing labor, processing and sales of marine products. However, policy support for female fishermen is not sufficien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olicy makers did not properly recognize the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In fact, fishing villag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emale workforce as a slogan, but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estimate the labor value. There was not even a review of the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value of labor that was attempted in similar fields. As a result, the policy importance of female fishermen was underestimated for there was no attempt to evaluate their value even though women had been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the fishery from the past. Female fishermen's labor is under the dual labor structure of housework and fishing labor. Therefore, in this study, housework and fishing labor were estimated separately and the total labor value was calculated.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were obtained through a survey.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resent income method and the total replacement cost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tal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was about 4.4 trillion won, which is about half of the total fishery production of 9 trillion won in Korea.

신규 여성 박사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Explore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Recently Obtained Doctoral Degree in Education)

  • 김효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85-696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계열 전공 여성 박사의 학교와 직장의 진로성취과정에서 겪는 진로개발 및 진로장애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 5년 이내의 교육계열 전공 여성 박사 4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열 여성 박사들은 교수와의 학술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진로개발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었으며 둘째, 직장 내에서 유리창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라는 것이 기혼 및 미혼 여성 박사 모두 진로개발 시 장애요인이라고 인식했다. 기혼은 자신의 가정과 육아에 대한 책임감과 미혼은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경험들은 여성 박사들에게 진로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주변인의 지지와 자신의 자아실현에 대한 강한 목표의식은 진로장벽을 타계하는 방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 박사의 진로개발에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맥락이 여성의 진로개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여성 박사를 위한 진로지도는 학생들의 요구와 사회 변화에 따라 유동적이고 다각적인 방향에서 접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육 (Child Care in Korea : A Look to the Future)

  • 김선영;신나리;김향은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267-279
    • /
    • 2009
  • Child care in Korea has been officially institutionalized due to the legislation of the Child Care Act in 1991. Since then, the predominant social phenomena such as growing female workforce, more intensified female education, and the low birth rates have led the stronger demand for child care at the national level. Accordingly, the supply of child care services and the demand of families using the servic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producing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care via improved and extended laws and regulations. Such movements have arisen academic interests and policy issues to specific sectors with details including child care policies, curriculum and professional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need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program evaluations.

  • PDF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여군 장교의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활용 정도와 재직의도 영향요인 (Utilization of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tention Intention among Married Female Officers with Preschool Children)

  • 권조은;김광숙;박정옥;김수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9-34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utilization of the work-family support policy (WFSP) and factors affecting retention intention among Korean female military officer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urvey recruited 103 married female officers from the Korean Army, Navy, and Air force with preschool-aged children through convenience and snowball sampling. Via online surveys from June to November, 2018, the participants self-reported retention intention,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of the WFS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Retention intention ($22.29{\pm}5.98$) was reported at the mid-level, lower than scor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female workers. Work-family conflict ($32.51{\pm}5.29$) and job satisfaction ($63.10{\pm}7.45$) were above the midpoint levels. Use of maternity leave (100.0%) and parental leave (92.2%) was high, especially compared to the rates of child-care day off (20.4%) and parenting time (20.4%). 'Noticeable increases in childcare services within the army' (22.8%) was reported as the supportive measure needed the most by female military officers. Job satisfaction (${\beta}=.43$, $p{\leq}.001$), the use of parenting time (${\beta}=-0.29$, p=.002), living type (${\beta}=-.18$, p=.043), and service type (${\beta}=-.16$, p=.035) significantly influenced retention inten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priority areas of importance within the WFSP and suggest that a family-friendly culture can improve female officers' retention intention. Accordingly, policy changes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mproving the system to enhance a family-friendly culture in the military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retention intention of female officers and contribute to excellence in the military workforce.

개발도상국의 여성능력향상을 위한 ICT교육현황분석 및 정책 제언 - 인도네시아 UHP 대학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CT education status and Policy Proposals for the enhancement of female ab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ed on UHP in Indonesia)

  • 박화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85-292
    • /
    • 2018
  • 최신 ICT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향후 각종 산업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여전히 ICT기술의 격차가 빈부의 격차로 직결되며 그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개도국에서의 여성 ICT 역량 강화교육은 국가발전을 위한 양질의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기술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도국의 학생들에게 교육을 통해 ICT 기술을 보급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인도네시아의 UHP 대학의 인프라 및 ICT교육현황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에 근거하여 여대생들에게 적절한 ICT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연구인 Life 대학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교수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테러와의 전쟁 시기 영국군의 여성인력 활용정책 연구 (A Study of the British Armed Forces Policy Utilizing Female Personnel during the War on Terror)

  • 조상근;김인찬;홍명숙;유선영;전소민;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203-208
    • /
    • 2022
  • 영국은 테러와의 전쟁 시기 출산율 저하로 병역 가능자원이 감소하고 모병율이 저하되었으나, IS와 러시아로부터 발생하는 복합적인 안보위협이 점차 가중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영국군은 이와 같은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방책의 하나로 기존의 사회적 보수성을 타파하고 여성인력을 근접전투 직위에 보직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영국군은 여군 활용 사례 발굴, 종단연구, 전투실험 등을 통해 군내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이후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전략적 소통을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근접전투를 수행하는 전투원이라면 누구나 통과해야 할 전투체력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정책의 신뢰성을 증진시켰다. 우리나라도 미중 패권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역 가능자원의 감소로 안보위협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영국군 사례는 우리에게 적지 않은 시사점과 향후 여성인력 정책 수립에 필요한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From Miracle to Mediocrity? Explaining the Growth Slowdown of the Korean Economy

  • DUYONG KANG;SUNGKEUN PAR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5권4호
    • /
    • pp.23-56
    • /
    • 2023
  •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Korea's growth slowdown over the past thirty years, we estimate the contributions of major developmental factors, including i) demographic factors (changes in population growth and workforce age due to the demographic transition), ii) quality-of-life-related choice factors (changes in working hours, education, and the female employment rate), iii) structural change, and iv) the effects of productivity catch-up. Our estimates show that these four groups of factors account for approximately 90 percent of the growth slowdown, with demographic factors contributing approximately 30 percent and the other three groups of factors each contributing about 20 percent. We also show that the same factors explain most of Korea's high growth in the 1980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s growth slowdown is basically a consequence of its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and that the high growth and subsequent slowdown can be regarded as a single process. In addition, given that the factors examined here exhibit similar patterns of change in the course of economic development of most countries, we think that our estimation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s in economic growth trends could have more general implications that go beyond Korea's experience.

선진국의 역사적 사례에 기초한 여성경제활동인구 변화 전망 :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인력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 (Projecting Future Change in the Female Labor Force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s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Implications for the Effects of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 on the Size of the Workforce)

  • 이철희;김규연
    • 노동경제논집
    • /
    • 제42권4호
    • /
    • pp.1-29
    • /
    • 2019
  • 이 연구는 장래의 우리나라 여성(25~54세) 경제활동참가율이 미국이나 일본의 역사적 경험을 따라 변화하는 경우 최근(2018년)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유지되는 경우에 비해 2065년까지 여성경제활동인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정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미국이나 일본의 역사적 사례에 기초한 시나리오가 실현되는 경우 25~54세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2042년까지 각각 약 14%(약 797,000명) 및 15%(약 831,000명)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재 경력단절현상이 심한 30대와 40대 초반 여성경제활동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교적 가까운 장래에 인구변화로 인한 전체경제활동인구 감소효과가 크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본의 사례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여성 경제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인구구조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칠 것으로 우려되는 잠재적인 영향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가까운 장래에 있어서는 장년고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PDF

동일업종 그룹 계열사의 사업장 규모 및 작업형태별 안전문화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Culture by Workplace Size and Work Type in the Group Company)

  • 권효승;이근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5-130
    • /
    • 2017
  • The government operates autonomou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regulated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On the other side, companies are promoting safety management in the workplace, such as improving the safety level of the safety system, but the major reason for the accidents is safety ignorance in the event of big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afety culture level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afety culture among six workplace sites in the manufacture of food products and drawing the improvement point. The main result is as follows. In order to enhance the safety level of the safety system,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number of systems to be implemented, and to strengthen the small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at workers participate directly in the workforce, and the incentive policy for the promo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hould be coordinated by each group.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female workers, the proportion of female workers should b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afety of women, thereby improving safety culture levels and improving safety awareness through customized safety education. By learning work procedures through theory and practice, the level of safety culture should be increased. Employees voluntary safety participation activities should increase the level of mutual safety culture. Depending on spontaneous safety participation activities, one should promote safety culture enhancement activities by enhancing the safety level of the safety culture and enhance safety culture through safety awareness, and promote safety culture and procedures for improving safety culture.

승진장벽(Glass Ceiling)의 유발요인과 지각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방의료원과 민간의료원의 종사자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Glass Ceiling Induced Factors and Perception on Job Commit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Local Medical Practitioners and Private Medical Practitioners)

  • 서경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225-232
    • /
    • 2016
  • 본 연구는 조직 내에 존재하는 승진장벽 유발요인과 승진장벽 지각에 대한 직무몰입의 제고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조직성과를 지방의료원과 민간의료원 종사자에 따른 영향효과 차이분석을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각 요인별 영향관계 규명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공공과 민간의료원 종사자들 간 영향관계 차이분석을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승진장벽 유발요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서 고정관념과 조직문화에 따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의 크기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의료원의 종사자들은 승진장벽 유발요인이 지각된 승진, 보직배치, 교육훈련, 포상, 근무평정 모두가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몰입는 승진장벽의 지각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에 있어서 민간의료원의 종사자들만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분야의 여성종사자들이 고위 관리직에 더 많이 진출 할 수 있는 인사 및 제도개선을 위해 승진장벽 현상 인식 및 지위개선에 대한 정책방안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