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stuff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7초

호밀 건초 급여하의 By-pass 전지종실을 첨가한 알코올 발효사료의 in vitro 발효특성 (Effects of Supplementing Whole Oilseeds to Alcohol-Fermented Feedstuff Based on Rye Hay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 신종서;박병기;오진석;김병완;홍병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9-228
    • /
    • 2007
  • 본 연구는 호밀 건초를 급여하는 조건하에 알코올 발효사료에 대한 면실, 아마 및 대두종실의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전지종실을 첨가하지 않고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대조구: T1), 면실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면실 알코올 발효사료구(T2), 아마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3) 및 대두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4)의 4처리로 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pH는 면실 종실을 첨가한 T2구는 대조구에 비해 배양 6시간에서 12시간까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p<0.05), 대두종실을 첨가하는 T4구의 pH는 대조구보다 배양 3시간에서 12시간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아마종실을 첨가하는 T3구의 pH는 배양 초기부터 배양 9시간까지 대조구에 비해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액의 ammonia 농도는 T2구가 대조구에 비해 배양 6시간경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T4구의 ammonia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배양 6 및 9시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시간에 따른 반추위액 배양액의 휘발성 지방산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전지종실 처리구들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양 3시간경에서 면실, 아마 및 대두종실을 첨가하는 T2, T3 및 T4구의 acetate, butyrate 및 propionate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특히, 대두 종실을 첨가한 T4구의 휘발성지방산은 배양초기부터 12시간까지 전체 배양시간 동안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면실, 아마 및 대두의 전지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 배양액의 pH를 다소 감소시키며, ammonia 및 휘발성지방산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호밀 건초를 급여하는 조건에서 면실, 아마 및 대두 종실 처리하는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내 발효양상을 개선할 수 있는 처리임을 알 수 있었다.

Aspergilus Oyzae 혹은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가 반추위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wery Meal-Based Fermented Feedstuff Supple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Saccharomyces Cerevisiae on Ruminal Microorganism)

  • 박병기;라창식;김병완;오진석;신종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18
    • /
    • 2005
  • 본 연구는 Aspergillus oryzae(AO) 혹은 Saccharomyces cerevisiae(SC)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의 급여가 한우의 반추위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 2두를 이용하였다. 시험은 시판 배합사료 $715\%$ 및 corn silage $28.5\%$ 급여구(대조구), 시판 배합사료 $45.0\%$, AO 첨가 발효사료 $26.5\%$ 및 com silage $28.5\%$ 급여구(TAO)와 시판 배합사료 $45.0\%$, SC 첨가 발효사료 $26.5\%$ 및 corn silage $28.5\%$ 급여구(TSC)의 3처리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Total viable bacteria(p<0.05), 혐기성 곰팡이 및 protozoa(p<0.05)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에서 높았다. 단백질 분해 박테리아(p<0.05),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 및 xylan 이용 박테리아 수는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Protozoa의 건물회수율은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았다(p<0.05). 총 미생물 및 protozoa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및 TAO구에 비해 TSC구에서 높았다(p<0.05). 박테리아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았다(p<0.05). 총 미생물의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 및 TSC구에 비해 TAO구에서 높았으며 (p<0.05), protozoa 및 박테리아의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 및 TAO구에 비해 TSC구에서 높았다(p<0.05). 총 미생물의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TAO 및 TSC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높았다. 박테리아의 methionin 및 alanine 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AO 혹은 SC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의 급여는 반추위내 미생물 수 및 균체 조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MINO ACID DIGESTIBILITY TO PIGS IN VARIOUS FIBER SOURCES 2. TRUE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ILEAL DIGESTA AND FECES

  • Nongyao, A.;Han, In K.;Choi, Y.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3호
    • /
    • pp.211-218
    • /
    • 1991
  •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on true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by growing pigs were studied, using semi-purified diets formulated from alfalfa meal, cassava leaf meal, rubber seed meal and leucacna meal at 20% level. A protein-free diet including 5% cellulose was formulated for correcting the endogenous amino acid loss. Across all the diets, arginine was the most digestible while the least at ileal level was threonine; methionine and/or histidine at fecal level respectively. The true digestibility value of amino acids at ileal level were higher than at fecal level except control diet (cellulose). The true digestibility values at ileal level were similar for all diets but differed at fecal level in different magnitud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digestible compound in individual feedstuff might confound. True digestibility should be studied together for accurate diet formulation as apparent digestibility decreased when their amino acid concentration in the diet was reduced.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IN VIVO MEASUREMENT OF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PIGS - A REVIEW -

  • Yin, Y.-L.;McGracken, Kelvin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5호
    • /
    • pp.495-502
    • /
    • 1996
  • Much recent research on protein and amino acid (AA) digestive physiology of pigs has been concerned with measurement of the ileal apparent and true digestion and absorption. For measurement of the ileal apparent digestibility of AA, the steered ileo-caecal valve cannulation (SICV) and the ileo-rectal anastomosis (IRA) techniques appear to be the more reliable and simple methods, when compared with any methods requiring use of a marker for calculation of digestibility, or with the complex techniques of ileo-caecal re-entrant cannula (ICRC) and the postvalve ileo-colic re-entrant cannula (IPVC). On the other hand, the peptide alimentation ultrafiltration methods might be a better choice for measurement of the ileal endogenous nitrogen (N) and AA flow in a routine feedstuff analysis, although the classical method of $^{15}N-isotope$ dilution method is still a standard method for N and AA nutrition research in pigs.

Recent advances in canola meal utilization in swine nutrition

  • Mejicanos, G.;Sanjayan, N.;Kim, I.H.;Nyachoti, C.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2호
    • /
    • pp.7.1-7.13
    • /
    • 2016
  • Canola meal is derived from the crushing of canola seed for oil extraction. Although it has been used in swine diets for a long time, its inclusion levels have been limited due to concerns regarding its nutritive value primarily arising from results of early studies showing negative effects of dietary canola meal inclusion in swine diets. Such effects were attributable to the presence of anti-nutritional factors (ANF; notably glucosinolates) in canola meal. However, due to advances in genetic improvements of canola that have led to production of cultivars with significantly lower ANF content and improved processing procedures, canola meal with a superior nutritive value for non-ruminant animals is now available.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cent studies in the use of canola meal as feedstuff for swine, the factors influencing its use and the strategies to overcome them. First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canola is provided.

친환경농업을 위한 생물비료로서의 아졸라의 이용 (Usage of Azolla spp. as a Biofertilizer on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 남기웅;윤덕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5-13
    • /
    • 2008
  • The aquatic fern Azolla spp. is of value as a bio-fertilizer for wetland paddy, and also can be used as an ideal feed for cattle, pigs and poultry. It is popular and cultivated widely in other countries like China, Vietnam, and the Philippines, but has yet to be taken up in Korea, in a big way. It fixes nitrogen as high as 3-5kg N per day, because it contains nitrogen fixing blue-green algae, Anabaena azollae. Azolla's ability to create a light-proof mat that suppresses other weeds has been used for centuries in rice production. Azolla spp. has also the capacity to take up the heavy metals ($75{\sim}100%$) and may be used as a bioaccumulator. Moreover, Azolla meal as an unconventional feed resource has a potential as a feedstuff for livestock.

  • PDF

Usage of Azolla spp. as a Biofertilizer on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 Nam, Ki-Woong;Yoon, Deok-H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0-235
    • /
    • 2008
  • The aquatic fern Azolla spp. is of value as a bio-fertilizer for wetland paddy. It is popular and cultivated widely in other countries like China, Vietnam, and the Philippines, but has yet to be taken up in Korea, in a big way. It fixes nitrogen as high as 3-5kg N per day, because it contains nitrogen fixing blue-green algae, Anabaena azollae. Azolla's ability to create a light-proof mat that suppresses other weeds has been used for centuries in rice production. Azolla spp. has also the capacity to take up the heavy metals such as Mercury and Chromium (75${\sim}$100%) and may be used as a bioaccumulator in the phytoremediation. Azolla meal also can be used as an unconventional feed resource has a potential as a feedstuff for livestock.

맥주박 발효사료 및 대두의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eedstuff with Wet Brewer’s Grain and Soybean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Grade in hanwoo Steers)

  • 박병기;길준민;김종복;홍병주;라창식;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97-408
    • /
    • 2003
  • 본 연구는 한우 거세 비육우에 맥주박을 이용하여 개발한 발효사료 및 분쇄대두의 급여가 육성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한우 사육농가에서 평균 체중 455$\pm$25.9㎏의 한우 거세 비육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 배합사료와 볏짚을 기본사료로 급여하였으며, 배합사료를 전량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T1(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60:40), T2(배합사료:분쇄대두=80:20), T3 (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50:40:10) 및 T4(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40: 40:20)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효율의 경우 대조구, T1, T2, T3 및 T4에서 각각 11.90, 8.25, 9.44, 6.69 및 7.71로 나타나 T2를 제외한 처리구들에서 대조구에 비해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혈중 BUN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반면에 혈중 creatinine 농도의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 0.05). 대조구, T1, T2, T3 및 T4의 혈중 glucose 농도는 각각 51.00, 59.39, 62.44, 62.17 및 54.00mg/$d\ell$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등지방두께의 경우 T3에서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다소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최장근단면적의 경우 T1, T3 및 T4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T1, T2 및 T4의 A등급 출현율은 각각 66, 33, 75 및 33%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맥주박 발효사료를 단독 급여하게 되면 사료단가는 낮추면서도 비육우의 증체율 및 도체등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대두와 맥주박 발효사료를 혼합 급여하게 되면 증체율 및 사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맥주박 발효사료와 적정 비율의 분쇄대두(농후사료 급여량의 10%)는 거세우를 위한 비육사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맥주박 발효사료 제조과정에서 사료에 대한 발효처리는 맥주박 발효사료의 저장성을 크게 높여주기 때문에 맥주박과 같이 고수분부산물을 가축의 사료자원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미하는 바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Amino Acid and Energy Utilization in Feedstuff for Swine and Poultry Diets

  • Kong, C.;Adeola, 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7호
    • /
    • pp.917-925
    • /
    • 2014
  • An accurate feed formulation is essential for optimizing feed efficiency and minimizing feed cost for swine and poultry production. Because energy and amino acid (AA) account for the major cost of swine and poultry diets, a precise determination of the availability of energy and AA in feedstuffs is essential for accurate diet formulations. Therefore, the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energy and AA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he total collection and index methods are 2 major procedures for estimating the availability of energy and AA in feedstuffs for swine and poultry diets. The total collection method is based on the laborious production of quantitative records of feed intake and output, whereas the index method can avoid the laborious work, but greatly relies on accurate chemical analysis of index compound. The direct method, in which the test feedstuff in a diet is the sole source of the component of interest, is widely used to determine the digestibility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feedstuffs. In some cases, however, it may be necessary to formulate a basal diet and a test diet in which a portion of the basal diet is replaced by the feed ingredient to be tested because of poor palatability and low level of the interested component in the test ingredients. For the digestibility of AA, due to the confounding effect on AA composition of protein in feces by microorganisms in the hind gut, ileal digestibility rather than fecal digestibility has been preferred as the reliable method for estimating AA digestibility. Depending on the contribution of ileal endogenous AA losses in the ileal digestibility calculation, ileal digestibility estimates can be expressed as apparent, standardized, and true ileal digestibility, and are usually determined using the ileal cannulation method for pigs and the slaughter method for poultry. Among these digestibility estimates, the standardized ileal AA digestibility that corrects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for basal endogenous AA losses,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for the formulation of swine and poultry diets. The total quantity of energy in feedstuffs can be partitioned into different components including gross energy (GE), digestible energy (DE), metabolizable energy (ME), and net energ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sequential energy losses during digestion and metabolism from GE in feeds. For swine, the total collection method is suggested for determining DE and ME in feedstuffs whereas for poultry the classical ME assay and the precision-fed method are applicable. Further investigation for the utilization of ME may be conducted by measuring either heat production or energy retention using indirect calorimetry or comparative slaughter method, respectively. This review provides information on the methodology used to determine accurate estimates of AA and energy availability for formulating swine and poultry diets.

스팀 고속건조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Feedstuff of Food Garbage by the Rapid Steam Drying)

  • 김남천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2호
    • /
    • pp.69-78
    • /
    • 1995
  • 함수율이 77.8~82.8%되는 종합병원의 음식물쓰레기만을 스팀건조공법에 의해 4시간동안 건조시켰을때 1.3%의 함수율로 80%의 감량을 보였으며, 소비전력은 2.4kw였다. 건조물은 갈색의 페렛트 상태로서, 조단백질은 27.77%, 조섬유는 3.19%고, 양돈용 사료로서의 조지방과 조회분함량은 약간 부족했으나 보조사료로서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5%비율로 분쇄왕겨를 혼합해서 건조시켰을때 1시간이 단축되었고, 76%의 감량율에 전력소모도 약 42% 정도 절약할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약 2배 정도 증가되었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에 분쇄왕겨를 3.4% 비율로 혼합해서 건조시키고, 그 건조물에 새로운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해서 연속적으로 건조기를 운전했을때 감량율은 점점 적어졌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증가되는 반면에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점점 감소되었다. 한편, 부페식 음식쓰레기는 건조시간도 빠르면서 전력소비도 적었고, 사료화 성분에서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양돈용 배합사료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