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back-task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5초

The Influence of Safety Climate, Safety Leadership, Workload, and Accident Experiences on Risk Perception: A Study of Korean Manufacturing Workers

  • Oah, Shezeen;Na, Rudia;Moon, Kwangsu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4호
    • /
    • pp.427-433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workers' perceived workload, accident experiences, supervisors' safety leadership, and an organization's safety climate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isk perception. Methods: Six hundred and twenty employees in a variety of manufacturing organizations were asked to complete to a questionnaire. Among them, a total of 376 employees provided valid data for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program, version 23.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orkload and accident experiences have a positive influence and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climate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isk perception. Workload, safety leadership, and the safety climate influence perceived risk more than accident experience, especially for the emotional risk percep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ultilevel factors (organization, group, and individual) play a critical role in predicting individual risk percep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fore, to reduce risk perception related with unsafe behaviors and accidents, organizations need to conduct a variety of safety programs that enhance their safety climate beyond simple safety-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Simultaneously, it needs to seek ways to promote supervisors' safety leadership behaviors (e.g., site visits, feedback, safety communication, etc.).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work speed and amount and allocate task considering employees' skill and ability to reduce the workload for reducing risk perception.

COVID-19 상황에서 나타나는 재택근무자 테크노스트레스 모델에 관한 연구 (Confirmatory Study on Telecommuters TechnoStress Model Under COVID-19)

  • 김수형;이정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5-71
    • /
    • 2021
  • Technostress management is increasingly getting important as ICT advances and infiltrates every job and task.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COVID-19, workers had to switch to teleworking utilizing ICT extensive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explaining antecedents and their impacts on technostress in telecommuting context, especially under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echno-complexity, techno-invasion, and techno-overload are the dominant factors that affect the negative psychological responses in the COVID-19 situation. Among them, we found that techno-overload maintai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t is due to the lack of instant feedback on workload allocations in telework and the lack of adjustment period with the sudden shift to telecommuting. In the case of techno-complexity, employees seem to experience difficulty acquiring new technical skills. Finally, the techno-invasion came out significant, signifying the infiltration of working space by home-related activities. Th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had a moderating effect. In contrast, th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had no significant effect, indicating that an appropriate emotional coping strategy is more important for workers undergoing extreme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Subsequent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The Comparison of Muscle Contraction Time and Modulation Ratio during Reaching Tasks in Hemiparalysis, Elderly and Young Adults

  • Sun, Jeon;Park, Dae-S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45-153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lectromyography (EMG) of the upper limb during reaching tasks according to two heights in the sitting position. Design: Cross sectional design Methods: Fifteen hemiplegia, fifteen elderly, and fifteen healthy subjects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argets (90% length of the subject's arm) were located at the two heights (the eye and xiphoid process). We have recorded EMG signals of seven upper limb muscles (anterior deltoid (AD), posterior deltoid (PD), pectoralis major (Pec), infraspinatus (Inf), supraspinatus (Sup), biceps brachii (Bi), triceps brachii (Tri)).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vement time(s), modulation ratio, working ratio, and the co-contraction ratio of the hemiplegia, elderly, and healthy at the reaching task. Two-way repeated-measures ANOVA (2-heights) was analyzed with the LSD post hoc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vement time to the target during reaching movement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hemiplegia and elderly groups compared to the healthy group. (2) The modul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eye height than the xiphoid height in AD, PD, Pec, Inf, Bi muscles, and the hemiplegia group and elderly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ealthy group. Additionally, the modulation ratio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heights and groups.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variables using the muscle contraction characteristics, the evaluation method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lectromyography-based feedback method that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and quantified in clinical practice.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실증사례 연구 -팀 프로젝트와 스마트디바이스 앱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esign Classes using Blended Learning -Focused on Team Project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 김진희;김혜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1-284
    • /
    • 2021
  •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utility of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fter class by blending team project learning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methods. Qualitative analysis and surve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m project activities based on task resolution were conducted freely through detailed activities such as sharing roles, planning meetings, and coordinating opinions. Tea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with respect and consideration, team member bonding,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the smart device app is recognized as a medium for work and communication, and fast feedback has been made, making it highly impactful on classroom activities. Third, in terms of learning satisfaction, most learners showed an interest in the course and were satisfied with the project results. The smart device app was used as a learning and communication medium for personal and team activities and was analyzed as a blended method applicable to classes that conduct practical activities as an efficient tool to further activate project activities.

Mental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Academicians during Online Distance Learning: An Empirical Study from Malaysia

  • bdul Kadir, OTHMAN;Jaafar, PYEMAN;Azuati, MAHMUD;Siti Nooraini, MOHD TOBI;Zahariah, SAHUD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2호
    • /
    • pp.1-1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os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 faced by academicians during online learning by means of emplo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selected academicians were interviewed, and their feedback was transcribed and used to develop the survey instru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was later used to determine the most plau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 that could be obtained and implemented by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 to academicians at a public univers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work-life conflict and lack of support are the main contributors to academicians' mental and emotional health issues. The study's major findings help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raft appropriate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by providing the necessary support to the academician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academicians should separate work and family requirements to concentrate on their job. Furthermore, the immediate supervisor must be considerate in determining the number of tasks, the deadlines, and the assistance required to complete the task. Lastly, academicians must equip themselve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to cope with stressors.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for Patient Safety on Self-Leadership, Patient Safety Competencies, and Reflective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 Park, Jung-Ha;Yun, Ji-Ah;Park, Kyoung-Duc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2호
    • /
    • pp.194-204
    • /
    • 2022
  • This study i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for patient safety on self-leadership, patient safety competencies, and reflective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 to April 15, 2022, in which 5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PBL for patient safety was examined in a total of 8 sessions in the order of motivation, problem identification, task performance planning, problem-solving methods, summary and solut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topics of patient safety were selected for each team: nursing records, high-alert medication, medication error and intravenous fluid regulation, blood transfusion care, fall, bedsore, infection control, and pain management. We provided feedback on the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leadersh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xpectations (t=2.60, p=0.01), goal setting (t=2.84, p<0.01), self-reward (t=3.32, p<0.01), and self-criticism (t=2.32, p=0.02). Patient safety competenc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knowledge (t=13.05, p<0.001) and patient safety skills (t=4.87, p<0.001) but not in reflective thinking. The results prove that PBL for patient safety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improve self-leadership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Future studies must develop and validate specific and long-term teaching-learning methods to improve reflective thinking.

계좌 이용 과정과 결과의 투명성이 온라인 뱅킹 이용자의 보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Control Transparency and Outcome Feedback on Security Protection in Online Banking)

  • 이은곤;최지은;이호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75-97
    • /
    • 2012
  • 온라인 뱅킹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용 고객의 신뢰를 제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인터넷 뱅킹 이용자들의 신뢰를 제고하는 보안 메커니즘으로 공인인증 서비스가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공인인증서를 통한 보안 메커니즘은 해커 등 악의적인 사용자의 침입에 취약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뱅킹 보안 메커니즘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대안으로 공인인증서 사용과 관련된 과정의 투명성과 결과 피드백의 투명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제안하였다. 과정의 투명성은 거래과정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거래 과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 피드백은 거래결과를 이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이용자가 거래가 의도한 대로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보의 투명성에 관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거래과정과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투명성을 제고하면 정보시스템 이용자의 의사결정 품질이 제고된다. 거래과정에 대한 정보의 투명성이 확보되면, 정보시스템 이용자들은 거래가 원활하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거래 과정과 결과를 자신이 의도한 대로 통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거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조기반 신뢰" 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정보시스템 이용자들은 자신들이 성공적으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요소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을 보다 신뢰하는 속성이 있다. 거래과정과 거래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의 투명성은 정보시스템 이용자가 거래를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는 구조적 기반을 제공하므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는 증가하게 된다. 거래 위험이 감소하고 신뢰가 증가되면, 이용자들은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보다 만족하게 되고,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 충성도가 제고되거나 서비스에 대해 지불 의사를 가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실험을 통해 연구 가설 및 연구 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설계는 과정의 투명성과 결과의 투명성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 따라 $2{\times}2$ 집단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공인인증서 사용과 관련된 과정의 투명성과 결과 피드백 요소가 현재 온라인 뱅킹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상의 온라인 뱅킹 사이트를 구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138개의 유효한 자료를 실험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PLS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과정의 투명성은 온라인 뱅킹 거래의 위험을 줄이고 온라인 뱅킹 사이트에 대한 신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피드백은 온라인 뱅킹 사이트에 대한 신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증가된 신뢰와 감소된 거래위험은 서비스 만족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온라인 뱅킹 서비스 이용 고객의 서비스에 대한 지불의도와 온라인 뱅킹 사이트에 대한 충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뱅킹 서비스의 보안이라는 주제에 대해 정보의 투명성이 보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자료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보안 메커니즘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구현이 가능한 보안 메커니즘에 대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실무적 측면에서의 동헌도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형태초점교수활동, 학습자의 인식도, 그리고 제2언어습득 (Form-Focused Instruction, Learners' Perception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황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475-648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형태초점 교수법과 오류수정 피드백이 영어 구문 학습에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필수과목인 영어회화 강좌를 수강하는 8개 분반의 초급수준의 대학교 1학년 학생 122명이다. 이들 여덟 개 분반을 무작위로 세 그룹 즉 시각적 입력강화 집단(TIE group), 출력강화 집단(DICT group)과 통제집단(CG group)으로 나누어 사전 사후 평가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1.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형태초점 교수법과 오류수정 피드백의 효과와 학생들의 영어수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활용된 형태초점 교수활동인 입력강화 및 출력강화 활동과 오류수정 피드백 모두가 학생들이 문법형태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 모두가 형태초점 교수법과 오류수정 피드백에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보였고, 실험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이 짝 활동(pair work)을 선호하였다. 또한, 통제집단(CG group)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각적 입력강화 집단(TIE group)과 출력강화 집단(DICT group) 학생들은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과 흥미를 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의거하여, 한국의 EFL 학습 환경에 있는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개인적인 선호도를 고려하여 짝 활동 (pair work)의 형태로 목표문법형태 학습에 적절한 형태초점 교수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제2 언어학습자의 주목 및 영어 글쓰기에 대한 모델글과 재구성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Models and Reformulations in L2 Learners' Noticing and Their English Writing)

  • 황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26-43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피드백으로서의 모델글과 재구성글이 제2 언어학습자의 주목과 영어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92명의 대학생으로 모델글을 비교하는 집단, 재구성글을 비교하는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3단계로 구성된 글쓰기 활동을 하였다. 1단계에서는 모든 집단이 1차 작문하면서 어려움에 관해 기록하였고, 2단계에서는 모델글 집단은 피드백으로서 제공된 모델글과 자신의 글을 비교하였고, 재구성글 집단은 재구성글과 자신의 글과 비교하였다. 이들 실험집단은 피드백으로서 제공된 글을 비교하면서 자신들이 주목한 요소를 필기하였다. 그리고 통제집단은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글을 읽기만 하였다. 3단계에서는 모든 집단이 1차 작문을 수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1차 작문 시 어려움 중 어휘표현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으며, 모델글과 재구성글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1차 작문 시 보고한 어려움보다 더 많은 요소를 주목하였고, 이를 수정 작문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피드백으로 제공된 모델글과 재구성글은 학습자의 글쓰기 향상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델글과 재구성글이 더 좋은 글을 쓰는데 기여하도록 영어 작문 수업에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 결정요인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Determinants of Social Workers' Career Commitment and the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on Job Attitude)

  • 강종수;류기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201-227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조직별 경력몰입 수준과 차이를 비교하며 경력몰입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는 부산 경남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관 및 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6명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직무특성모형과 경력특성모형, 역할특성모형, 조직공정성모형 그리고 종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다만 상대적으로 전담공무원이 낮았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1급보다는 2급이, 대졸보다는 고졸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몰입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가 중요하고 완결된 과업정체성을 갖고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수록, 그리고 사회복지직 경력을 만족하고 역할갈등이 적고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높을수록 경력몰입하고, 오히려 다양한 실천기술을 활용하는 직무일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결정요인은 사회복지조직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은 경력변경의도에 높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그리고 내재적 직무만족에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몰입 증진을 위한 조직별 차별화된 접근과 체계적 대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