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r and Anxiety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of Nursing Students)

  • 김경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17-424
    • /
    • 2020
  • 자신에 대한 타인의 평가에 대해서 긴장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처럼 타인의 평가가 예상되거나 실재할 때 느끼는 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이라고 한다. 간호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간호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B시와 C시에 소재한 4곳의 간호 대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67, p<.001),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56, p<.00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r=.4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β=.19, p<.00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β=.43, p<.001),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β=.34, p<.001)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이들 변수가 대상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58.1%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대학생들이 원만한 대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체계 제공과 긍정적,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을 줄이고 자기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접촉,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대학생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lderly Contact,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Death Anxiety on Aging Anxiety of College Students)

  • 김민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3호
    • /
    • pp.435-4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 소재 대학의 학부생 3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노화불안의 하위 차원 중 노인에 대한 두려움 차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접촉 질과 노인에 대한 태도였으며 심리적 불안정 차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접촉 질, 노인에 대한 태도, 죽음불안이었다. 신체/외모에 대한 걱정 차원의 경우, 노인접촉 질, 죽음불안, 성별이 영향을 주었고 상실의 공포 차원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전반적으로 죽음불안이 낮을수록, 접촉의 질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화불안이 낮았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노화에 따른 신체/외모에 대한 걱정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접촉 빈도와 노화에 대한 지식은 노화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의의,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Fear of Dementia of Aged in the Community)

  • 김민숙;김정선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179-196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대상은 전라남도 2개 소도시 지역에 거주하며 노인대학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총 258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치매두려움은 평균 58.97점(0-120점)이었고, 치매두려움은 성별(p<.001), 교육수준(p=.011), 종교 유무(p=.046), 현재 주관적인 건강상태(p=.004), 동년배비교 주관적 건강상태(p=.001), 치아상실 유무(p=.011), 보청기사용 유무(p<.001), 청력 수준(p=.009), 만성질환의 수(p=.040), 복용약물의 수(p=.048), 주변 치매 경험 유무(p<.001), 치매 돌봄 경험 유무(p<.001) 치매 관심도(p<.001), 치매 교육 여부(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치매두려움은 치매불안(p<.001), 노인불안(p<.001), 노인우울(p<.05)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치매불안, 노인불안, 치매 경험, 보청기 사용, 종교, 치매 관심도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7.2%이었으며, 영향 요인 중 치매불안이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차 보건의료현장에서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두려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매두려움 영향 요인에 대한 간호사정과 함께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한 다각적인 교육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노인유사체험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 on Aging Anxiety in Nursing Students)

  • 정혜선;한종숙;김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832-843
    • /
    • 2011
  • 간호대학생 56명에게 실시한 노인체험복 경험과 소감나누기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유사체험은 대체로 청년기의 대학생에서 노화불안을 구성하는 4개의 요인 점수를 상승시키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늙으면 주위의 친구들이 사라질까 두렵다는 항목에서 유일하게 노화불안 정도가 상승하였다. 체험 후의 소감나누기 활동은 노인에 대한 두려움 요인의 전체 점수와, 노인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한다는 항목과 나이가 많은 노인들을 위해 무엇인가 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항목에서 노화불안 감소를 보여 노화불안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inimal sedation using oral sedatives for multi-visit dental treatment in an adult patient with dental phobia

  • Song, Seung-Rye;You, Tae Mi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4호
    • /
    • pp.369-376
    • /
    • 2021
  • In adult patients with dental phobia, dental treatment may be difficult, or may not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level of fear or anxiety, non-pharmacological or pharmacologic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are used in the dental treatment of such patients. Among the pharmacologic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minimal sedation, that is, the lowest depth of sedation, can be easily obtained in adult patients using oral sedatives, does not require special equipment or tools, and does not affect ventilatory and cardiovascular function. Diazepam is an anxiolytic drug belonging to the benzodiazepine family that, in addition to relieving anxiety, produces muscle relaxation, and is a representative drug used in adult patients with fear of dental treatment.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 50-year-old woman with severe dental fear who successfully underwent long-term dental treatment in approximately 20 visits with minimal sedation using oral diazepam. In addition, we reviewed the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benzodiazepines for minimal sedation.

Tetramethylpyrazine reverses anxiety-like behaviors in a rat mod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Lee, Bombi;Shim, Insop;Lee, Hyejung;Hahm, Dae-H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5호
    • /
    • pp.525-538
    • /
    • 2018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a trauma-induced psychiatric disorder characterized by impaired fear extermination, hyperarousal, and anxiety that may involve the release of monoamines in the fear circuit. The reporte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etramethylpyrazine (TMP) include anti-cancer, anti-diabetic, anti-atherosclerotic, and neuropsychiatric activities. However, the anxiolytic-like effects of TMP and its mechanism of action in PTSD are unclear. This study measured several anxiety-related behavioral respons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MP on symptoms of anxiety in rats after single prolonged stress (SPS) exposure by reversing the serotonin (5-HT) and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dysfunction. Rats were given TMP (10, 20, or 40 mg/kg, i.p.) for 14 days after SPS exposure. Administration of TMP significantly reduced grooming behavior, increased the time spent and number of visits to the open arm in the elevated plus maze test,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central zone crossings in the open field test. TMP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freezing response to contextual fear conditioning and significantly restored the neurochemical abnormalities and the SPS-induced decrease in 5-HT tissue levels in the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The increased 5-HT concentration during TMP treatment might be partially attribute to the tryptophan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 mRNA level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of rats with PTSD. These findings support a role for reducing the altered serotonergic transmission in rats with PTSD. TMP simultaneously attenuated the HPA axis dysfunction. Therefore, TMP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an agent for treating psychiatric disorders, such those observed in patients with PTSD.

자기공명영상검사 시 폐쇄공포증 완화를 위한 굴절안경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Refraction Glasses to Reduce Claustrophobia Du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전병천;정성훈;이상현;손지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421-426
    • /
    • 2018
  • Unlike the traditional Radiological examin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oes not cause any harm and high levels of Radiation to the human body. Furthermore, MRI is widely used owing to its ability to adapt to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the MRI equipment creates noises from its mechanical parts, and its magnetic bore structure can cause anxiety and claustrophobia in patients. To relieve claustrophobia, commercial refraction glasses were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nd the changes in anxiety and claustrophobia were measured. The participants were 30 volunteers with claustrophobia. To measure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a Visual Analogue Scale (VAS) questionnaire. The physical markers of discomfort included perspiration on the forehead or hands (46.7%), mild frowning (30.3%), and leg shaking (40.1%). The subjective markers of discomfort included dizziness (2.85% in the men and 1.75% in the women). Although fear and anxiety levels were observed to be higher in the men,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ence, it was determined that both men and women felt discomfort (p >0.5). The fear coefficient was observed to decrease from 7.67 prior to wearing refraction glasses to 2.42 after wearing refraction glasses (p<0.000). In addition, use of refraction glass decreased MRI aversion from 1.97 to 1.03 (p<0.000). It can be inferred that refraction glasses are beneficial to patients undergoing MRI.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Oxytocin Levels and Social Anxiety Symptoms

  • Oh, Kang-Seob;Kim, Eun-Jin;Ha, Ju-Won;Woo, Hee-Yeon;Kwon, Min-Jung;Shin, Dong-Won;Shin, Young-Chul;Lim, Se-Won
    • Psychiatry investigation
    • /
    • 제15권11호
    • /
    • pp.1079-1086
    • /
    • 2018
  • Objective The pathophysiology of social anxiety disorder (SAD) is not yet well understood, but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oxytocin is associated with social behavior and may play a role in human anxiety states and anxiety-related trai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symptoms and plasma oxytocin levels. Methods Twenty-three male patients with SAD and 28 healthy male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using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and 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LSA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plasma oxytocin levels and SAD. Results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years of education, we found that higher oxytocin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total LSAS scores ($R^2=0.157$, coefficient=0.145, 95% CI=-0.0005-0.291, p=0.051) and fear subscale scores ($R^2=0.134$, coefficient=0.083, 95% CI=0.007-0.159, p=0.034) in the SAD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increased plasma oxytocin level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ocial anxiety symptoms among SAD patients, but not among controls. This might be because among SAD patients, higher oxytocin (OT) secretion is an insufficient compensatory attempt to reduce social anxiety symptom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ntal Fear Survey

  • Kim, Ah-Hyeon;Shim, Youn-Soo;Park, So-Young;Kim, Hee-Won;An, So-You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85-92
    • /
    • 2015
  • Background: Many people experience varying levels of discomfort when confronted with the prospect of dental treatment. Dental treatment can be a traumatic experience, especiall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ntal anxiety. In this age group, dental fear causes a significant problem in dental management and has been related to severe dental caries and dental pain. The Dental Fear Survey (DFS) is the most widely used measure of dental fea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DFS (K-DFS) and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K-DFS, which uses projective techniques to measure children's and adolescents' dental fear, was developed. The DFS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participants were selected via convenience sampling.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using data from a sample of 813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selected from the Self questionnaire survey. The K-DFS was administered twice to 102 adolescents aged 12-15 years. Results: The K-DFS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99.1%) but low test-retest reli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versions of the DFS have goo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ies and test-retest validities. However, we need to further examine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DFS and replicate the current study in different samples covering various age groups.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nd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 강민주;홍정순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333-35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사회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수행불안으로 구분하여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 불안은 모두 유의한 정적 관련을 보였다. 둘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가 매개할 때,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보다 유의하게 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할 때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 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