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O

검색결과 5,773건 처리시간 0.047초

NiSO4 Supported on FeO-promoted ZrO2 Catalyst for Ethylene Dimerization

  • Sohn, Jong-Rack;Kim, Young-Tae;Shin, Dong-Cheo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1호
    • /
    • pp.1749-1756
    • /
    • 2005
  • The $NiSO_4$ supported on FeO-promoted $ZrO_2$ catalysts were prepared by the impregnation method. FeOpromoted $ZrO_2$ was prepared by the coprecipitation method using a mixed aqueous solution of zirconium oxychloride and iron nitrate solution followed by adding an aqueous ammonia solution. The addition of nickel sulfate (or FeO) to $ZrO_2$ shifted the phase transition of $ZrO_2$ (from amorphous to tetragonal) to higher temperatures becau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nickel sulfate (or FeO) and $ZrO_2$. 10-$NiSO_4$/5-FeO-$ZrO_2$ containing 10 wt % $NiSO_4$ and 5 mol % FeO, and calcined at 500 ${^{\circ}C}$ exhibited a maximum catalytic activity for ethylene dimerization. $NiSO_4$/FeO-$ZrO_2$ catalysts was very effective for ethylene dimerization even at room temperature, but FeO-$ZrO_2$ without $NiSO_4$ did not exhibit any catalytic activity at all. The catalytic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acidity of catalysts measured by the ammonia chemisorption method. The addition of FeO up to 5 mol % enhanced the acidity, surface area, thermal property, and catalytic activities of catalysts graduall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FeO and $ZrO_2$ and due to consequent formation of Fe-O-Zr bond.

NiO 증착시의 Ar 압력 변화에 따른 Ni-Fe/NiO 이층막의 자기적특성과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gnet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of Ni-Fe/NiO Bilayers with Various Ar Presure in NiO Deposition)

  • 노재철;이두현;김용성;서수정;박경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369-37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법으로 제작한 Ni-Fe/NiO 이층 박에서, NiO 증착 중 Ar 압력에 따른 교환이 방성의 변화를 고찰하엿으며 이를 미세조작과 관련시켜 해석하고자 하였다. 낮은 Ar 압력에서 증착한 Ni-Fe/NiO 이층막은 우수한 교환이방성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Ar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교환이방성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낮은 Ar 압력에서 증착한 시편은 NiO와 Ni-Fe 계면에서 epitaxy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계면은 평범하고 그 경계는 두렷하게 구분하였다. 그러나 높은 Ar 압력에서 증착한 시편은 NiO와 Ni-Fe의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고 그 계면 또한 평활하지 않았다. 한편 NiO의 조성은 Ar압력의 증가에 따라 산소의 조성이 점점 증가하였다.

  • PDF

Compositional Change of MgO Barrier and Interface in CoFeB/MgO/CoFeB Tunnel Junction after Annealing

  • Bae, J.Y.;Lim, W.C.;Kim, H.J.;Kim, D.J.;Kim, K.W.;Kim, T.W.;Lee, T.D.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1권1호
    • /
    • pp.25-29
    • /
    • 2006
  • Recent experiments have demonstrated high TMR ratios in MTJs with the MgO barrier [1,2]. The CoFeB/MgO/CoFeB junctions showed better properties than the CoFe/MgO/CoFe junctions because the MgO layer had a good crystalline structure with (001) texture and smooth and sharp interface between CoFeB/MgO [3]. The amorphous CoFeB with 20 at%B starts the crystallization at $340^{\circ}C$ [4] and this crystallization of the CoFeB helps obtaining the high TMR ratio. In this work, the compositional changes in the MgO barrier and at the interface of CoFeB/MgO/CoFeB after the CoFeB crystallization were studied in annealed MTJs. XPS depth profiles were utilized. TEM analyses showed that the MgO barrier had (100) texture on CoFeB in the junctions. B in the bottom CoFeB layer diffused into the MgO barrier and B-oxide was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FeB/MgO/CoFeB after the CoFeB crystallization.

크롬계 내화물에서 슬래그의 산화철 농도가 (Fe,Cr)3O4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2O3 Concentration in Coal Slag on the Formation of (Fe,Cr)3O4 in Chromia Refractory)

  • 박우성;오명숙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495-500
    • /
    • 2007
  • 석탄가스화기의 내벽은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내화물의 침식은 가스화기 내화물의 수명 및 교체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본 논문에서는 슬래그와의 반응에 의한 내화재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침식화합물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산화철 농도의 함수로 조사하였다. 산화철 농도가 낮은 KIDECO 탄 슬래그에 산화철을 첨가하여 정적 침식실험을 수행한 후 $(Fe,Cr)_3O_4$의 형성과 침투 슬래그에서의 Fe의 고갈 깊이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FactSage를 이용한 평형계산을 통하여 chromite 형성조건을 조사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고정된 온도인 $1550^{\circ}C$에서 약 10%의 산화철을 포함한 KIDECO 슬래그에서는 $(Fe,Cr)_3O_4$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산화철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Fe,Cr)_3O_4$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경계면의 $(Fe,Cr)_3O_4$ 층의 두께가 증가하였고, 산화철의 고갈 깊이도 증가하였다. 또한 산화철의 양이 많아질수록 화학적 침식이 증가하면서 슬래그와 내화물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슬래그-내화재 계의 평형계산은 슬래그의 산화철 농도가 증가할수록 가스화기 조업온도에서 chromite 형성 가능성이 높아짐을 보여주었다, 또한 내화물이 슬래그에 용해된 경우와 같이 $Cr_2O_3$가 낮은 농도로 존재할 때 chromite 형성이 가장 유리하였고, 산화철의 농도가 20% 이하에서는 슬래그와 내화물이 같은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chromite 형성에 가장 불리하였다.

Perovskite $Gd_{1-x}Sr_xFeO_{3-y}$ (X = 0.0, 0.5)의 Mossbauer연구 (Mossbauer Studies of Perovskite $Gd_{1-x}Sr_xFeO_{3-y}$ (X = 0.0, 0.5))

  • 엄영랑;김철성;서정철;오영제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7-73
    • /
    • 1998
  • perovskite Gd1-xSrxFeO3-y(x=0.0, 0.5) 시료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을 X-ray 회절과 Mossbauer 분광법 및 VSM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결정 구조는 모두 orthorhormcis 구조를 가지며 Gd0.5Sr0.5FeO3-y의 격자상수는 a0=5.53$\AA$, bo=5.608$\AA$, C0=7.724$\AA$이었다. Gd1-xSrxFeO3-y(x=0.0, 0.05,)의 Mossbauer 실험을 4.2K부터 690K 온도 영역에서 수행하였고 Neel 온도는 GdFeO3 는 690K로 Gd0.5Sr0.5FeO3-y는 515K로 결정 하였다. GdFeO3 시료의 이온 상태는 Fe3+임을 알 수 있었고 Brillouin 함수값S=5/2를 만족하며 팔면체 자리를 나타내고 있다. Mossbauer spectrum과 Mohrdua 분석에 의해 Gd0.5Sr0.5FeO3-y 시료는 Fe3+와 Fe4+이온이 공존하여 존재합을 알았다.

  • PDF

$LiCl-Li_2O_2$ 용융염계에서 오스테나이트계 합금의 부식거동 (Corrosion Behavior of Austenitic Alloys in the Molten Salts of $LiCl-Li_2O_2$)

  • 오승철;윤기석;임종호;조수행;박성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373-378
    • /
    • 2003
  • $LiCl-Li_2O_2$용융염계에서 용융염 취급장치의 구조재료를 위한 평가의 일환으로 오스테나이트 합금인 Fe-base 및 Ni-base 합금의 부식거동을 분위기온도; 650~$725^{\circ}C$, 부식시간: 24~168h, $Li_2O$농도; 3wt%, 혼합가스농도: Ar-10%$O_2$에서 조사하였다. $LiCl-Li_2O_2$ 용융염계에서 Ni-base 합금이 Fe-base 합금보다 높은 내부식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Fe-base 합금에서 Fe의 함량이 낮고 Ni의 함량이 높은 경우 부식저항성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Fe-base 합금의 부식생성물은 $Cr_2O_3$, $FeCr_2O_4$ Ni-base 합금에서는 $Cr_2O_3$, $NiFe_2O_4$로 나타났다.

  • PDF

Enhanced Reaction Kinetic of Fe3O4-graphite Nanofiber Composit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 Wang, Wan Lin;Park, Ju-Young;Gu, Hal-Bon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5권6호
    • /
    • pp.338-343
    • /
    • 2014
  • A $Fe_3O_4$-graphite nanofiber composite for use as an anode material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by calcining $Fe_3O_4$ and graphite nanofiber (GNF) together in a $N_2$ atmosphere. Using this $Fe_3O_4$-GNF composite in a lithium ion battery resulted in a higher lithium storage capacity than that obtained using $Fe_3O_4$-graphite ($Fe_3O_4$-G). The $Fe_3O_4$-GNF (10 wt%) electrode exhibited a higher lithium ion diffusion coefficient ($2.29{\times}10^{-9}cm^2s^{-1}$) than did the $Fe_3O_4$-G (10%) ($3.17{\times}10^{-10}cm^2s^{-1}$). At a current density of $100mA\;g^{-1}$, the $Fe_3O_4$-GNF (10 wt%) anode showed a higher reversible capacity ($1,031mAh\;g^{-1}$) than did the $Fe_3O_4$-G (10%) anode ($799mAh\;g^{-1}$). Moreover, the $Fe_3O_4GNF$ electrodes showed good cycling performance without the addition of a conductive material.

코발트 훼라이트 에피탁시얼 산화철의 생성과 자기특성(I) (Formation of Cobalt Ferrit Epitaxial Iron Oxide and Their Magnetic Properties(I))

  • 변태봉;김대영;이재영;손진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14
    • /
    • 1992
  • ${\gamma}-Fe_{2}O_{3}$ 입자의 보자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gamma}-Fe_{2}O_{3}$ 입자표면상에 코발트 훼라이트를 결정화시켜 코발트 에피탁시얼 ${\gamma}-Fe_{2}O_{3}$ 입자를 제조하 였다. 피착층인 $Co_{x}Fe_{3-x}O_{4}$의 보자력은 x=1인 조성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응 분위기를 초기 비산화성에서 산화성 분위기로 제어하여 제조한 시료의 자기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반응온도 $90^{\circ}C$에서 30분간 반응하면 ${\gamma}-Fe_{2}O_{3}$ 입자표면상에서의 코발트 훼라이트 피착 반응이 완료되었다.

  • PDF

Fe$_2O_3/(Al_2O_3+Ga_2O_3)$ 변화에 따른 $(EuBi)_3(FeAlGa)_5O_{12},(EuTbBi)_3(FeAlGa)_5O_{12}$ 가네트 단결정 후막의 성장과 자기적 특성 (Growth and Magnetic Properties $(EuBi)_3(FeAlGa)_5O_{12},(EuTbBi)_3(FeAlGa)_5O_{12}$ Garnet Single Crystal Thick Films by $Fe_2O_3/(Al_2O_3+Ga_2O_3)$ Molar Ratio)

  • 김근영;윤석규;이성문;윤대호
    • 한국세라믹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세라믹학회 2003년도 추계총회 및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44.1-144
    • /
    • 2003
  • PDF

Interface dependent magnetic anisotropy of Fe/BaTiO3(001): an ab initio study

  • 최희채;정용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4-314
    • /
    • 2011
  • Using first principles calculations, we investigated the interface structure effects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Fe/BaTiO3 system. On the BaO-terminated surface, a Fe monolayer is formed as two Fe atoms are adsorbed on the top sites of Ba and O in the ($1{\times}1$) surface unit and a Fe ML is formed on the TiO2-terminated surface as two Fe atoms are adsorbed on the two O top sites. The magnetic anisotropy energy of Fe was higher on the TiO2?-erminated surface (1.5 eV) than on the BaO-terminated surface (0.5 eV). The decomposed electron density of the states showed that the stronger hybridization of Fe with the TiO2 layer than with the BaO layer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higher magnetic anisotropy ener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