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 contamination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3초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of Shitalakhya River, Bangladesh

  • Al-Razee, A.N.M.;Abser, Md. Nurul;Mottalib, Md. Abdul;Rahman, Md. Sayadur;Cho, Namjun
    • 분석과학
    • /
    • 제32권5호
    • /
    • pp.210-216
    • /
    • 2019
  • Concentrations of Cu, Zn, Fe, Mn, Ni and Cr have been estimated in sediments of the Shitalakhya River at Polash-Ghorashal area, Narsingdi, Bangladesh. 36 samples of sediments from nine sampling point at different locations of Shitalakhya River we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Cu, Zn, Fe, Mn, Ni, Cr and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The level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ediments were found to decrease in the order of Fe > Mn > Zn > Ni > Cu > Cr, respectively.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 of Shitalakhya was below the recommended safe limits of heavy metals by WHO, FAO and other international standards. Contamination factor (CF) of Zn and Cu at sampling point Fsd2 show higher (> 1) values due to the influence of external discrete sources like wastage catalysts of ZnO and CuO. Geo-accumulation index values of the study indicate as non-contaminated to moderately contaminate.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의 용출법 사용시 용출액의 pH의 변화가 토양 오염 평가에 미치는 문제점 (The controversial points for the assessment of soil contamination related to the change of pH of extraction solution in using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in Korea)

  • 오창환;유연희;이평구;이영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4-297
    • /
    • 2000
  • Heavy metals are extracted from Chonju stream sediment, roadside soils and sediments along Honam expressway, soils and tailings from mining area using partial ectraction in Standard Method, partial ec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N of extraction solution and acid digestion. In samples having buffer capacity against acid, 0.1N of extraction solution can not be maintained and pH of extraction solution increases up to 8.0 when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is used. The averages and ranges of (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HPE)/(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N of extraction solution, HPEM) values are 0.506 and 0.145~1.126 in Cd, 0.534~ and 0.078~0.928 in Zn, 0.461 and 0.041~1.715 in Mn, 0.359 and 0.011~0.874 in Cu, 0.195 and 0.018~1.785 in Cr, 0.710 and 0.003~3.075 in Pb, and 0.088 and 1.73$\times$10$^{-5}$ ~0.303 in Fe.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PE and HPEM is big in the order of Fe, Cr, Cu, Mn, Cd, Zn and Pb. It is quite possible that the partial extraction method in Standard Method of soil in Korea is not adequate for an assessment of contamination in area where buffer capacity of soil will be decreased or lost after a long term exposure of soils to environmental damage.

  • PDF

Investigation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around landfill where slaughtered animals were buried

  • Bark, Jun-Jo;Jung, Hae-Sun;Woo, Jong-Tae;Lee, Sung-Sik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9-467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f there were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17 landfill where slaughtered animals were buried during the crisis of 2002 foot-and-mouth-disease (FMD) outbreaks in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to August 2005 groundwater was collected once a month from 17 sites, and examined with potential for hydrogen (pH), colour, turbidity, lead (Pb), arsenic (As), mercury (Hg), cadmium (Cd), copper (Cu), zinc (Zn) , iron (Fe), manganese (Mn) , aluminium (Al), nitrate-nitrogen $(NO_3-N)$, ammonia-nitrogen $(NH_3-N)$, microbial pathogen and Escherichia spp. In the examination of $NH_3-N$ which of the mean concentration was from not-detected (ND) to 0.05 mg/l. The range of $NH_3-N$ level was $0.3-24.1mg/{\ell}$. However, groundwater from four sites was to go beyond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DWQS), i.e., the mean concentration of those were $15.5mg/{\ell}\;(site\;1),\;20.7mg/{\ell}\;(site\;9),\;24.1mg/{\ell}\;(site\;13)\;and\;10.6mg/{\ell}\;(site\;17)$. In the investigation of pH, colour and turbidity, all of the pH were below of DWQS (pH 5.8-6.6), but one site in color test and four sites in turbidity test were over the standard level. Among 9 metal ions examined, Mn was in excess of DWQS, and its concentration was $2.4mg/{\ell}$. Pb, Cd, Hg and As were not traced. The contents of Cu, Zn, Fe and Al were $ND-0.22mg/{\ell},\;0.01-0.05mg/{\ell},\;ND-0.05mg/{\ell}\;and\;0.03-0.16mg/{\ell}$, respectively. Escherichiae spp were not identified, but bacterial colonies were detected at 3 groundwater including 2 sites over the DWQS at the level of $491CFU/m{\ell}\;(site\;4)\;and\;217CFU/m{\ell}\;(site\;15)$.

대불산업단지 도로먼지 내 중금속류 오염 특성: 입도와 자성에 따른 구분 (Characteristics for Heavy Metal Pollution in Road Dust from Daebul Industrial Complex: Classification by Particle Size and Magnetic Separation)

  • 정혜령;최진영;나공태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4호
    • /
    • pp.252-27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불산업단지 내 14개 지점에서 채취한 도로먼지의 입도, 중금속 성분, 자기특성 등 물리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오염도 평가를 통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시행하였다. 도로먼지 내 금속농도는 Fe>Zn>Cu>Pb>Cr>Ni>As>Cd>Hg 순이었으며, 중금속류 오염은 연구지역의 주요 산업 및 교통 활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먼지 내 중금속 원소와 입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Fe 및 모든 분석된 원소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입자크기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다(p<0.05). 그러나 큰 금속 입자들의 노면 유입으로 인해 일부 금속의 경우 >1000 ㎛의 입자의 중금속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분율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이 다른 입도분율보다 높았다. 도로먼지에서 자성입자의 분리 후 Cr, Ni, Cu, Zn, Cd, Pb의 농도 수준이 전체의 85(As)-22(Ni)%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지역 도로먼지의 평균 중금속 오염도는 3지역 토양환경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지점의 경우 Zn 농도 기준을 초과해 재 비산이나 비점오염유출 등을 통해 도로먼지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적 관리방법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팔봉광산 선광광미와 주변토양의 중금속 오염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ailings and Soils in the Vicinity of the Palbong Mine, Korea)

  • 이영엽;정재일;권영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3호
    • /
    • pp.271-281
    • /
    • 2001
  • 팔봉광산 주변 지역의 오염 특성을 밝히기 위해 선광광미와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지역의 토양은 일부 토양을 제외한 대부분의 토양이 롬 토양이었으며, 하천 주변 토양 일부도 상류 지역에서 하류쪽으로 가면서 로미 샌드_샌디 롬 토양에서 롬토양으로 점이한다. 토양 내의 유기물 함량은 평균 2% 정도로 낮았으며, 토양의 pH는 모든 시료에 걸쳐 약간 산성을 띄는 6.0$\pm$0.1이다. 연구 지역에서 분석된 암석, 일반토양, 광미 및 퇴적시료에서는 암석으로부터 기인된 일반토양에서는 중금속의 함량이 암석 자체에 포함된 농도보다 약간씩 낮아져 이들이 지표수나 지하수에 의해 침출되어 나감을 보여준다. 광석으로부터 분리된 광미 더미 시료에서는 납, 구리, 비소의 농도가 높다. 하천 퇴적시료에서도 정상적인 확산 특성을 보이나, 상류 시료에서 납, 구리의 농도는 광미 더미에서 보다 훨씬 높은 농도를 보이는 한편, 비소는 그 농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특성을 보인다. 카드뮴과 구리, 비소의 농도 변화는 운반 매체로서의 지표수 혹은 지하수의 매질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금속 농도 분포와 퇴적입자 크기는 카드뮴, 구리 및 납 등은 모래 및 실트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비소와 수은은 점토입자와는 상관관계가 높았다. 연구 지역에서 측정된 중금속의 거리별 확산 특성은 하천 주변 토양 중 표토 및 심토층에서는 광미 더미로부터 100m~200m에 구간에서 측정된 중금속 농도가 광미 더미에서 먼 다른 지역과는 현격하게 높은 농도를 보이는 점이다. 카드뮴과 구리, 납 및 수은의 농도가 차이가 많으며, 비소는 차이가 크지 않다. 육가 크롬은 전 구간에 걸쳐 검출되지 않는다. 중금속의 농축은 광산 개발지나 광미 더미로부터 기인되어, 물에 의해 이동, 침전되었을 것이다. 하천 주변 표토 및 심토층에서는 모든 중금속 농도가 광미 더미에서 하류쪽으로 이동한 600m~2000m 구간에서 상승하였다. 광미 확산 토양 시료에서는 중금속의 농도가 광미 더미로부터 멀어질수록 비교적 일정하게 감소한다. 600~2000m 거리구간에서의 각 중금속의 농도 상승은 지하수에 의해 이동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금속의 유동에는 유동 지하수의 pH, Eh 및 콜로이드 입자의 양, 산화망간 및 산화철의 존재에 따른 지하수의 상태 변화가 밀접하게 연관되었을 것이다. 지하수 조건은 3 정도의 비교적 낮은 pH와 +3~+5에 해당되는 산화 조건과 콜로이드는 적고 산화망간 및 산화철이 같이 유동하지 않은 상태였다. 중금속의 유동은 과거의 광산활동과 연관되었을 것이다. 연구지역에서는 오염 토양이 식생의 중금속 오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PDF

삼보광산 수계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Contaminatio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Stream Sediments Affected by Mine Drainage in the Sambo Mine Creek)

  • 정구복;권순익;홍성창;김민경;채미진;김원일;이종식;강기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2-128
    • /
    • 2012
  •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하류 수계의 환경오염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하류 수계 내 하천수질, 퇴적토양 및 인근 논토양에 대한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8~0.035 mg/L)는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0.01 mg/L)을 초과하였고, 미량성분 중 Zn, Fe 및 Mn 함량도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Zn 2.0, Fe 5.0, Mn 0.2 mg/L)를 초과 하였다. 광산 하류 논토양의 Pb, Zn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농경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Pb 200, Zn 300 mg/kg)을 초과 하였고, 중금속 오염지수 평균치는 상리가 1.2로 내리지역0.45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산 하류 수계 내 퇴적토의 Cd, Pb 및 Zn 함량은 우리나라 하천용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Cd 10, Pb 400, Zn 600 mg/kg)을 초과하였다. 또한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지수(PI)는 상리지역 0.98~7.32, 내리지역 0.34~5.27로 지점별 편차가 컸으며, 하류 1km 지점 합류지점(SN-1, SN-2)까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부화계수(EFc) 평균치는 Cd>Pb>Zn>As>Cu>Cr>Ni 순으로 지점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중금속별 지화학적농축계수(Igeo)는 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Zn>Cd>Pb>Cu>As>Cr>Ni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Zn의 경우 광산 침출수 영향을 받은 퇴적토에서 경보오염에서 위험오염(Igeo 3.1~6.2) 상태로 심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삼보광산 하류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를 종합해 볼 때 광산 침출수의 영향이 하류 수계 1 km 이상(SN-1, SN-2)까지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reptomyces subrutilus P5의 철 함유 Superoxide Dismutase의 중금속 격리에 의한 세균의 중금속 저항성 증가 (Iron Containing Superoxide Dismutase of Streptomyces subrutilus P5 Increases Bacterial Heavy Metal Resistance by Sequestration)

  • 김재헌;한광용;정호진;이정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79-184
    • /
    • 2014
  • Streptomyces subrutilus P5가 생산하는 철 함유 superoxide dismutase (FeSOD)에 의한 중금속 독성의 완화를 조사하였다. 0.1 mM의 납이온이 120분 처리되면 E. coli $DH5{\alpha}$의 생존율이 7%에 불과 하지만 $0.1{\mu}M$의 정제된 천연 FeSOD가 첨가되면 생존율이 39%로 높아졌다. 이러한 해독작용은 0.01 mM의 구리이온에 대해서도 나타나며(생존율이 6%에서 50%로 증가) 그 효과는 EDTA보다 강하였다. 6xHis-tagged FeSOD를 생산하는 재조합 E. coli M15[pREP4]는 0.1 mM의 납 이온이 60분 처리된 후의 생존율이 3%에서 19%로 증가하였다. 6xHis-tagged FeSOD는 분자당 123개의 납과 결합하였다. 따라서 FeSOD가 중금속을 세포와의 접촉으로부터 격리함으로써 중금속이 오염된 환경에서 세균의 생존력을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중 중금속 관련 오염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책 (The controversial points and a remedy on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soil in Korea.)

  • 오창환;유연희;이평구;박성원;이영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8-301
    • /
    • 2000
  • Heavy metals are extracted from stream sediments, roadside soils and sediments and soils and tailings from mining area using partial extraction, acid digestion and HF-digestion. Compared to amounts of 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those extracted using acid digestion are higher by 2.0∼220.9 times in Cu, 2.4∼2806.1 times in Pb, 1.3∼121 times in Cd, 14.1∼1300885 times in Fe, 1.2∼271.5 times in Mn, 1.3∼372.5 times in Zn, 2.2∼1734.5 times in Cr. Although partial extraction, which extracts less amounts of heavy metals from soil compared to acid digestion, is used in domestic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soil, domestic soil standard for heavy metals in non-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is higher than soil standard in foreign countries which use acid digestion, For improvement of the domestic standard method for assessment of soil, it is suggested to lower the domestic soil standard for heavy metals or to change pretreatment method for extracting heavy metals from partial extraction to acid digestion with modifying the soil standard.

  • PDF

서울지역 지하수의 오염도와 성분별 相關性 檢討 (Studies on the Water Quality of Ground Water in Seoul Area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ir Contaminants)

  • Ahn, Soo-Mi;Oh, Soo-Kyoung;Park, Sung-Bae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1-62
    • /
    • 1989
  • This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ntamination degree and significance in each item of 406 samples of ground water, which was collected in Seoul area from Jan. to Dec. 198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unsuitable rate of ground water investigated was 69.7%(32.4% in only bacteria, 23.6% in both bacteria and physico-chemistry and 13.6% in only physico-chemical contamination). 2. The unsuitable rate in each item was the highest(54.2%) in standard plate countland 29.8% in coliform, 12.8% in turbidity, 11.3% in Zn, and 10.8% in Mn. 3. The total mean concentrations in each item were lower than standard except standard plate count, coliform, and Fe. 4. In the analysis of corelation, among items, both total hardness and residual solids were showed very high correlationship (P < 0.01) with other items, and both S.P.C. and coliform showed very highly significant (P < 0.01) with NH$_3$-N.

  • PDF

퇴적물 오염기준을 이용한 금강 하구역 표층 퇴적물내 유기물 및 미량금속 오염 평가 (Evalua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Geum River Estuary using Sediment Quality Guidelines)

  • 황동운;이인석;최민규;김숙양;최희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30-940
    • /
    • 2013
  • We evaluated contamination with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by analyzing grain size,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cid volatile sulfide (AVS), and trace metals (Al, Fe, Cu, Pb, Zn, Cd, Ni, Cr, Mn, Hg, and As) in surface sediments at 28 stations around the Geum River estuary in July 2008.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estuary were mainly composed of coarse sediment (sand and muddy sand), with mean grain size (Mz) ranging between $2-4{\O}$. The high concentrations of IL, COD, and trace metals were mainly found at stations in front of the Gusan outer port and industrial complex, and near the Seocheon coast with relatively fine sediments.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s of IL and all trace metals, except Pb and As, showed goo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z, indicating that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were mainly dependent on sediment grain size. The concentrations of COD, AVS, and trace metals in most sediments did not exceed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 (SQGs). Although the sediments in the study region are not polluted with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there are many point sources of pollutants, such as Gusan port and industrial complex, Janghang refinery, and a thermoelectric power plant around the Geum River estuary. Thus, the management of coastal environments through periodic monitoring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s requir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