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 infiltra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7초

요추간판 수핵 탈출증 환자의 요부 척추 주위근 내 지방침윤 비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Fat Infiltration Ratio in Lumbar Paraspinal Muscle of Patient with Herniated Intervertebral Lumbar Disc)

  • 공봉준;이중호;용민식;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54-526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부위의 요부 추간판 탈출과 척추 주위 근 내 지방침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아울러 환자의 체질량지수(BMI)와 성별에 따른 요부 주위 근의 지방 침윤율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5월부터 2012년 5월까지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대상자는 30~50세 사이의 중증 추간판 탈출증 환자로 수술적 요법을 시행할 또는 실시한 환자 남녀 40인으로 구성하였고, 측정 및 방법은 환자의 신체계측을 통해 BMI를 산출하였으며, L2-S1까지 디스크 중앙 횡단면에서 요부 주위 근의 단면적과 지방 침윤 면적을 측정하여 근육 내 지방의 침윤율을 계산하였다. 연구 분석은 지방침윤의 남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시행하였고, 요추 레벨 간 지방침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하였다. 또한, BMI와 요부 전체 지방 침윤율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나이를 제어변수로 한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지방침윤의 남녀 차이는 상위요부(L2-L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을 뿐, 나머지 요부(L3-S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요부 레벨 간 지방침윤율의 변화는 요추3, 4에서 요추4, 5번에서 많이 증가하였다. 또한, 요부(L2-S1)주위 근의 지방 침윤과 체질량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 크리신 섭취와 유산소 운동이 대식세포 침윤과 지방분해 유전자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Chrysin Supplementation on Macrophage Infiltration and Lipolysis Genes of High-Fat Diet Mice)

  • 최도열;이영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399-405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유산소운동과 크리신섭취가 고지방식이동물의 간 조직에서 비만억제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집단은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고지방식이와 크리신섭취, 고지방식이와 유산소운동 4집단으로 하였다. 크리신은 체중당 50mg/kg을 구강투여 하였고, 유산소운동은 트레드밀운동으로 주5회 60분 16주간 실시하였다. SPSS(20.0)프로그램을 이용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하였고, 사후분석은 LSD로 하였다. 연구결과 간 조직에서 대식세포 마커 F480와 M1대식세포 마커 CD11c는 정상식이 그룹과 비교해 고지방식이, 크리신투여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했고 운동집단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방분해 마커 PRDM은 정상식이집단과 비교해 고지방식이, 크리신투여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운동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식이와 중강도 운동은 간 조직에서 발생되는 대사적불균형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지방식이와 크리신 섭취는 비만억제 기능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기능성식품을 이용한 비만개선 연구는 투여용량, 기간 등을 고려해 다양한 분자적 기전을 살펴보는 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급성 골다공증성 요추 골절 환자에서 척추 기립근 및 다열근의 지방침투율과 후만각 변형의 연관 관계 (Correlation of the Deformation of the Kyphotic Angle with the Fat Infiltration Rate of Multifidus and Erector Spinae in Patients with Acute Osteoporotic Fractures of the Lumbar Spine)

  • 전득수;백종민;백승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08-214
    • /
    • 2021
  • 목적: 급성 골다공증성 요추 골절 환자에서 척추 변형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여러 인자들 중 척추의 자기공명영상 촬영에서 척추 주변 근육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척추 기립근 및 다열근의 감소와 후만각의 변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2007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단일 분절의 급성 요추 골절로 진단되어 보존적 치료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열근 및 척추 기립근의 감소는 지방으로 변성된 비율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는 진단 당시 촬영한 요추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지방으로 변성된 비율은 총 지방 침윤율로 정의하였다. 1년 추적 관찰에서 요추의 측면 방사선 사진에 기초하여 추체 압박률, 콥스각 및 쐐기각을 측정하였다. 피어슨 상관 계수를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은 129명으로 30명은 남자, 99명은 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1.28±9.55세, 평균 BMD 점수는 -3.53±0.79 g/cm2, 평균 지방 침윤율은 15.20%±11.99%였다. 지방침투율은 수상 당시 나이(R=0.373, p<0.001)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지만, BMD 점수(R=-0.252, p=0.004)와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1년 후 추적관찰하여 확인한 결과에서 지방 침윤율은 추체 압박률(R=0.369, p<0.001) 및 콥스각(R=0.386, p<0.001)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요추 골절이 아래 분절로 내려 갈수록 추체 압박률(R=-0.191, p=0.030) 및 후만각(R=-0.428, p<0.001)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급성 골다공증 요추 골절 환자에서 지방 침윤율은 보존적 치료를 위한 중요한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다. 지방 침윤율이 높은 환자의 예후는 환자 교육 과정에서 설명을 해야 하며 단기 외래 환자 후속 조치를 통해 환자를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Blueberry, blackberry, and blackcurrant differentially affect plasma lipids and pro-inflammatory markers in diet-induced obesity mice

  • Kim, Bohkyung;Lee, Sang Gil;Park, Young-Ki;Ku, Chai Siah;Pham, Tho X.;Wegner, Casey J.;Yang, Yue;Koo, Sung I.;Chun, Ock K.;Lee, Ji-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5호
    • /
    • pp.494-500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Evidence indicates that berry anthocyanins are anti-atherogen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However, berries differ vastly in their anthocyanin composition and thus potentially in their biological and metabolic effects. The present study compared hypolipidem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blueberry (BB), blackberry (BK), and blackcurrant (BC) in a diet-induced obesity (DIO) mouse model. MATERIALS/METHODS: Male C57BL/6J mice were fed a high fat (HF; 35% fat, w/w) control diet or a HF diet supplemented with freeze-dried 5% BB, 6.3% BK or 5.7% BC for 12 weeks (10 mice/group) to achieve the same total anthocyanin content in each diet. Plasma lipids, antioxidant statu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measured.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antioxidant defense, inflammation, and lipid metabolism was determined in the liver, epididymal adipose tissue, proximal intestine, and skeletal muscle. Hist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crown-like structure (CLS) in epididymal fat pads to determine macrophage infiltration. RESULTS: No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control and any berry-fed groups in plasma levels of liver enzymes, insulin, glucos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superoxide dismutase,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However, BK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triglyceride compared with the HF control and other berries, whereas BC significantly reduced F4/80 mRNA and the number of CLS in the epididymal fat pad, indicative of less macrophage infiltr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BB, BK and BC with varying anthocyanin composition differentially affect plasma lipids and adipose macrophage infiltration in DIO mice, but with no differences in their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비만모델에서 중강도 운동에 의한 인플라마좀, 대식세포 침윤, 갈색지방 관련 바이오 마커의 개선 효과 (Moderate Intensity Exercise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Gene Expression of Inflammasome, M1, M2 Macrophage Infiltration and Brown Adipocyte Markers Compared to High Intensity Exercise in Subcutaneous Adipose of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김용안;피핏 피트리아니;박희근;이왕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3-310
    • /
    • 2019
  • 비만은 체내 과도한 지방 축적으로 인하여 지방세포 자체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로 인하여 세포의 기능을 약화시킨다. 규칙적인 운동은 지방분해와 갈색지방 증가로 인해 비만의 치료방법 중 핵심 전략으로 적용되고 있다. 고강도 운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근형질세망 스트레스 발생을 초래하여 지방대사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만모델에서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에 의한 인플라마좀, 대식세포 침윤, 갈색지방 관련 바이오 마커의 비교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강도 유산소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비교하여 인플라마좀(NLRP3, ASC), 대식세포 침윤인자 M1 (CD11c, CD86), M2 (CD206), 갈색지방($PGC1{\alpha}$, BMP7, PRDM, UCP1) 관련 변인에 우선적인 효과가 있는지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1) 정상식이 그룹(normal diet control, NC; n=10), 2) 60% 고지방식이 그룹(high-fat diet control, HC; n=10), 3) 중강도 운동 그룹(high fat diet with moderate intensity exercise, HME; n=10), 4) 고강도 운동그룹(high fat diet with high intensity exercise, HIE; n=10)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중강도 운동 그룹은 고지방식이 그룹과 비교하여 NLRP3, F480, CD11c, CD8의 발현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중강도 운동은 CD206, $PGC1{\alpha}$, BMP7, PRDM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강도 운동은 NLRP3, CD11c and CD86은 유의하게 감소한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고강도 운동은 $PGC1{\alpha}$, BMP7는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중강도 운동은 인플라마좀, 대식세포 M1, M2 침윤과 갈색지방 세포 관련 요인의 개선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UCP2 KO mice exhibit ameliorated obesity and inflammation induced by high-fat diet feeding

  • Kim, Do Hyun;Kim, Hye Jin;Seong, Je Kyung
    • BMB Reports
    • /
    • 제55권10호
    • /
    • pp.500-505
    • /
    • 2022
  • Uncoupling protein 2 (Ucp2) was first introduced as a member of Uncoupling protein family and a regulator of ROS formation; however, its role in adipose tissue is not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role of Ucp2 against high-fat diet (HFD)-induced obesity in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eWAT) and browning of inguinal white adipose tissue (iWAT). Diet-induced obesity is closely related to macrophage infiltration and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Macrophages surround adipocytes and form a crown-like-structure (CLS). Some reports have suggested that CLS formation requires adipocyte apoptosis. After 12 weeks of HFD challenge, Ucp2 knockout (KO) mice maintained relatively lean phenotypes compared to wild-type (WT) mice. In eWAT, macrophage infiltration, CLS forma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s were reduced in HFD KO mice compared to HFD WT mice. Surprisingly, we found that apoptotic signals were also reduced in the Ucp2 KO mice. Our study suggests that Ucp2 deficiency may prevent diet-induced obesity by regulating adipocyte apoptosis. However, Ucp2 deficiency did not affect the browning capacity of iWAT.

Enhancement of Optic Nerve in Leukemic Patients: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versus Optic Neuritis

  • Ra, Yo Han;Park, Sun Young;Im, Soo Ah;Kim, Jee Young;Chung, Nak Gyun;Cho, B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3호
    • /
    • pp.167-174
    • /
    • 2016
  • Purpose: To identif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of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and optic neuritis in leukemic patients with emphasis of clinical findings as reference standard to differentiate them. Materials and Methods: MRI and clinical findings of 7 patients diagnosed as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n = 5) and optic neuritis (n = 2) in our institution between July 2006 and August 2015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particular, MR imaging findings involved perineural enhancement and thickening of optic nerve and its degree, signal intensity, laterality (unilateral/bilateral), intraconal fat infiltration and its degree, and associated central nervous system abnormalities. Results: Of 5 cases of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4 cases showed positive cerebrospinal fluid (CSF) study for leukemia relapse and 1 case was positive on bone marrow (BM) biopsy only. Moreover, of 5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2 cases showed the most specific MR findings for leukemic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including 1 prominent leptomeningeal enhancement and 1 chloroma. However, other MR imaging findings of the patients with leukemic infiltration or optic neuritis such as thickening and perineural enhancement of optic nerves are overlapped. Conclusion: Enhancement and thickening of optic nerve were overlapped MR findings in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and optic neuritis. Our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optic nerve thickening with associated central nervous system MR abnormality favors the diagnosis of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istory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However, CSF and BM study were required for differentiation between leukemic infiltration of optic nerve and optic neuritis.

심외막 지방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Epicardial fat)

  • 오중환;강청희;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33-236
    • /
    • 1995
  • Subepicardial space is one of the regions in which fat in moderate amount is normally deposited. When excess deposits of epicardial fat occur, penetration or infiltration of fat into the connective tissues between muscle bundles is observed. In some cases with very extensive involvement of epicardial fat,myocardial insufficiency and conduction system defect such as heart block have been implicated. More fat is deposited over the right ventricle than over left and the anterior surface contains more fat than dose the posterior surface. We studied 40 patients who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under the cardiopulmonary bypa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ercentage of the area of epicardial fat of the right ventricular anterior surface, which is more accessible area during the operative procedure. Other variables included thickness of subcutanous tissue of anterior chest wall, the ratio of waist to hip circumference, body weight and age. In conclusion, the amount of the epicardial fat correlates with thickness of the subcutaneous fat of the anterior chest wall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good correlation with body weight. Increased age results in large amount of epicardial fat.

  • PDF

CT에 의한 신세포암의 신주위 지방층 침윤의 평가 (Assessment of Perirenal Fat Infiltration in Renal Cell Carcinoma by CT)

  • 조대현;조재호;장재천;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75-182
    • /
    • 1997
  • 본원에서 신종양으로 근치적 신절제술을 시행하여 신세포암으로 확진된 4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CT소견의 분석에 있어 종양의 크기와 종양변연의 분엽성 여부 및 신주위강으로의 신전여부를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병리학적 소견상 전신병기와는 관계없이 종양병기 I기가 33예(78.5%)였고, 신주위공간으로 신전된 II기가 9예(21.5%) 였다. 대상환자들의 연령분포는 14세에서 72세로 평균 51.9세였고 남자 25명, 여자 17명이었으며 우측 신장암이 22예이고 좌측 신장암이 20예였다. 종양의 크기는 2-15 cm으로 평균 7.4 cm이었고 병기 I기인 경우 2-15 cm으로 평균 6.6 cm이었고 II기는 6-15cm으로 평균 10.3cm이었고 II기 종양이 I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31). I기 33예 중 25예는 종양의 경계가 매끈하게 관찰되었고(76%) 분엽성의 경계를 보인 것이 8예(24%), Gerota막의 비후를 보인 것이 7예(21%), 신주위 지방층에 줄음영이 관찰된 것이 14예(42%)였다. 그러나 17예는 매끈한 종양경계를 가지며 Geroat 막의 비후나 신주위 지방층의 줄음영 등의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I기 종양중 Gerota 막의 비후만을 보인 예는 8예, 신주위 지방층의 줄음영만을 보인 예는 14예이고 이 두 가지 소견을 모두 보인 예는 7예(21%)였다. 종양병기 II기 9예 중 매끈한 종양 경계를 보인 것이 3예(34%)이고 분엽성 경계를 보인 것이 6예(66%)였으며 Gerota 막의 비후를 보인 것이 5예(55%)이고, 신주위 지방층의 줄음영은 9예(100%) 전 예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신주위 지방층의 줄음영은 종양병기 II기가 종양 I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010). II기 종양 중 Gerota 막의 비후만을 보인 예는 5예, 신주위 지방층의 줄음영만을 보인 예는 9예이고 이 두 가지 소견을 모두 보인 예는 5예(55%)였다. 병기에 따른 종양변연의 분엽성 여부, Gerota 막의 비후 및 신주위 지방층의 줄음영의 세 가지 소견의 중복성도 I기 종양은 한 가지 소견만을 보인 것이 7예(21%)이며 두 가지 소견을 보인 것이 6예(18%), 세 가지 소견을 모두 보인 것은 3예(9%)이고 세 가지 소견이 전혀 관찰되지 않은 경우는 17예(51%)였다. II기 종양 9예 중 한 가지 소견만을 보인 것이 2예(22%)이며 두 가지 소견을 보인 것이 3예(33%), 세 가지 소견을 모두 보인 것이 4예(44%)였고 세 가지 소견 중 한 가지 소견도 보이지 않은 경우는 없었다. 이 중 세 가지 소견을 모두 보인 경우는 종양 I기보다 II기종양이 통계적으로 더 많았다. 종양의 크기, 분엽성 종양경계, Gerota 막의 비후, 신주위 지방층의 줄음영 중 한 가지 소견만으로는 신주위공간으로의 신전을 진단하는 것은 어려우나 여러 가지 소견이 함께 관찰되는 경우 올바른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고지방식이가 쥐의 Type-I 근육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fat Diet on Type-I Muscle Loss in Rats)

  • 백경완;차희재;박정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09-1515
    • /
    • 2013
  • '지질독성'이라는 용어는 근육과 같은 지방세포가 아닌 조직에서 여분의 지질 축적이 어떻게 세포의 기능저하와 괴사를 유도하는지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고지방을 투여한 근세포 배양에서 지질독성이 확인된 바는 있지만, 생체 내 시험에서, 특히 지질독성에 의해 대사적으로 영향을 받는 Type-I 근육에서 이러한 결과가 확인된 바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식이가 쥐의 Type-I 근육의 형태학적 변화와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6주간 고지방식이와 일반식이를 섭취한 쥐의 Type-I 근육 내 지질축적, 염증반응, 핵 침윤현상, cleaved PARP 단백질 발현을 각각 Oil Red O staining, H & E staining, Western blot 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6주 후 고지방식이 집단에서 지질축적, 염증반응, 핵 침윤현상, cleaved PARP 단백질 발현이 일반식이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ype-I 근육량은 일반식이 집단에 비해서 고지방식이 집단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지방 식이가 지질독성에 의해 Type-I 근육의 세포괴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고지방 섭취가 직접적으로 근 감소증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