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6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in Commercial Broiler and Crossbred Village Chickens by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 Tan, B.K.;Foo, H.L.;Loh, Teck Chwen;Norhani, A.;Zulkifli,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2호
    • /
    • pp.1780-1785
    • /
    • 2005
  •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of commercial broiler (CB) and crossbred village chicken (AK) was purified using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FPLC). The fraction collected was then confirmed as VLDL using 4%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particle size of VLDL is 46.8${\pm}$8.6 nm. The VLDL fraction was then subfractionated and the apolipoprotein (apo) profile was studied by sodium dodecyl 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The CB and AK have almost similar types of apo in both subfractions 1 and 2. The AK showed the presence of apoAI, AIV, D and E whereas the CB had apo AIV, D, E and H. The apo AIV and apo E were present in both subfractions of AK and CB.

다양한 HPLC Column에서의 IgY(Immunoglobulin Yolk) 분리특성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IgY (Immunoglobulin Yolk) in Various HPLC Columns)

  • 송성문;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59-665
    • /
    • 2012
  • 동물 혈청 중의 IgG (Immunoglobulin G)에 해당되는 난황에 포함된 면역 단백질 IgY (Immunoglobulin Yolk)는 식품 단백질로 장내 면역 물질로 중요하다. IgY를 정제하기 위해 신선란의 노른자에 카리지난이나 아라빅검을 전처리 물질로 사용하였다. 전처리 후 FPLC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의 DEAE (Diethylaminoethyl) Sepharose 칼럼에서 이온교환법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IgY를 얻고, GF HPLC (Gel Filtra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IgY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표준 IgY와 비교하여 IgY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GF HPLC에서 IgY의 다양성을 발견하였고 IgY 단백질 군의 다양성을 IE HPLC (Ion Exchang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서 AX, CX, SCX 칼럼을 사용하여 pH, NaCl 농도를 바꾸어 조사하였다. AX를 사용하여 0.5M NaCl, pH=8 조건에서 3개의 IgY 피크를 분리하였고, SCX를 이용했을 때 0.5M NaCl, pH=5 조건에서도 3개의 IgY 피크를 분리할 수 있었다.

Isolation of a Calcium-binding Peptide from Chlorella Protein Hydrolysates

  • Jeon, So-Jeong;Lee, Ji-Hye;Song, Kyu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82-286
    • /
    • 2010
  • To isolate a calcium-binding peptide from chlorella protein hydrolysates, chlorella protein was extracted and hydrolyzed using Flavourzyme, a commercial protease. The degree of hydrolysis and calcium-binding capacity were determined using trinitrobenzenesulfonic acid and orthophenanthroline methods, respectively. The enzymatic hydrolysis of chlorella protein for 6 hr was sufficient for the preparation of chlorella protein hydrolysates. The hydrolysates of chlorella protein were then ultra-filtered under 5 kDa as molecular weight. The membrane-filtered solution was fractionated using ion exchange, reverse phase, normal phase chromatography, and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to identify a calcium-binding peptide. The purified calcium-binding peptide had a calcium binding activity of 0.166 mM and was determined to be 700.48 Da as molecular weight, and partially identified as a peptide containing Asn-Ser-Gly-Cys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um.

Purification of an ACE Inhibitory Peptide from Hydrolysates of Duck Meat Protein

  • Kim, So-youn;Kim, Sun-hye;Song, Kyu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66-69
    • /
    • 2003
  •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hydrolysates of duck meat protein. Duck meat protein was hydrolyzed using trypsin at 37$^{\circ}C$ for 2 hrs. An ACE inhibitory peptide was purified using membrane filtra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normal phase HPLC. The purified inhibitory peptide was identified to be a tetrapeptide, Glu-Asp-Leu-Glu having $IC_{50}$/ value of 85.9 $\mu$M.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의 분리 정제 (Purification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 이정희;신현길;김종배;김태종;윤화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0-786
    • /
    • 1988
  • 본 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로부터 생성되는 enterotoxin A의 분리를 위하여 각종 분리방법을 조사하였고 그 특성들을 상호 비교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mberlite 수지는 배지로부터 처음 toxin을 분리 하는 데에는 간편한 수지이나 정제도에 있어서는 약 70%수준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CM-cellu-lose수지는 0.2M phosphate buffer로 용출했을 때 75% 정도의 정제도를 가진 toxin을 분리할 수 있었으나 stepwise법으로 용출했을 때에는 80% 이상으로 정제도를 높일 수 있었고 Amberlite 수지와 함께 사용했을 때에는 90%정도의 toxin을 얻을 수 있었다. Amberlite나 CM-cellulose수지로 정제한 후 gel filtration을 실시하면 정제도를 더 높일 수 있었다. FPLC는 분리도와 정제도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FPLC의 결과에 따라 Amberlite 수지는 toxin 분획을 중심으로 앞의 분획을 그리고 CM-cellulose 수지는 뒤의 분획을 주로 제거 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위의 column중 하나만 사용한 후 FPLC를 사용하면 95%이상의 toxin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 PDF

Rhizoctonia solani가 생산하는 Trehal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rehalase from Rhizoctonia solani)

  • 오태광;서영배;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0
    • /
    • 1992
  • 벼 문고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체에서 비조절 trehalase을 초음파처리, gel filtration 및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를 통해서 분리하여 단일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trehalase는 분자량이 54000, pI가 5.1인 단백질로 최대 역가가 pH 5.4, $45^{\circ}C$에서 나타났다. Trehalase 에 대한 Km치는 3.11mM, Vmax는 105.$\mu mol min^{-1}\times mg^{-1}$로 나타났고 벼 문고병 농용항생제인 validamycin은 trehalase에 대해서 non-competitive inhibiton을 하였다.

  • PDF

Capillar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as a Gel-free Strategy in Plasma Proteomics

  • Cho, Man-Ho;Wishnok, John S.;Tannenbaum, Steven R.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2호
    • /
    • pp.87-91
    • /
    • 2005
  • Although 2D-PAGE has been widely used as the primary method for protein separation, difficulties in displaying proteins with an extreme values of isoelectric paint (pI), molecular size and hydrophobicity limit the technique. In addition, time consuming steps involving protein transfer and extraction from the gel-pieces can result in sample loss. Here, we describe a novel protein separation technique with capillar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CSEC) for rapid protein identification from human plasma. The method includes protein fractionation along with molecular size followed by in-solution tryptic digestion and peptide analysis through reversed phase liquid chromatography (RPLC) coupled to nanoflow electrospray-tandem mass spectrometry (ESI-MS/MS). Tryptic peptides are applied an a $100\;{\mu}m\;i.d.{\times}10mm$ length pre-column and then separated on a $75\;{\mu}m{\times}200mm$ analytical column at -100 nL/min flaw rate. Proteins were identified over the wide ranges of pI (3.7-12.3) when this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1-2\;{\mu}L$ of human plasma. This gel-free system provides fast fractionation and may be considered a complementary technique to SDS-PAGE in proteomics.

FPLC에 의한 Staphylococcal Enterotoxin A와 C의 동시분리 (Simultaneous Purification of Enterotoxin A and C by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 이정희;김종배;신현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56-861
    • /
    • 1988
  • 본 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의 한 균주로부터 A와 C, 두 종류의 toxin이 동시에 생성될 때 이들의 동시분리를 위하여 각종 분리방법을 연구하였다. 혼합된 toxin A와 C는 CM-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pH-gradient법으로 용출했을 때 2개의 분획이 나타났으나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다량의 서로 다른 toxin이 함유되어 있었고 Sephadex G-75, Sephacryl S-300, 그리고 ultro gel을 사용한 gel filtration에서는 하나의 분획을 나타내 상호분리가 불가능 하였으며 정제도와 분리도에서 가장 뛰어난 gel column을 이용한 FPLC도 toxin A와 C를 상호분리할 수 없었다. 그러나 CM-column을 이용한 FPLC에서는 enterotoxin A는 pH 6.8에서 그리고 enterotoxin C는 pH 8.6에서 각각 분리되었으며, immunodiffusion test 결과 enterotoxin A의 분획에서는 toxin C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enterotoxin C의 분획에서도 toxin A가 검출되지 않았다. 용출방법에 있어서는 CM-column을 이용한 FPLC에서 pH-stepwise법이나 pH-gradient법으로 enterotoxin A와 C type을 쉽게 동시에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Staphylococcus aureus에서 생성된 Enterotoxin B의 분리 및 정제 (Purification of type B Staphylococcal enterotoxin)

  • 이정희;신현길;김종배;한재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5-81
    • /
    • 1988
  • 본 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 로부터 생성되는 enterotoxi B 의 분리 및 정제를 위하여 각종 분리방법을 비교 조사하였다. 배지로부터 Entrotoxin B를 추출하는 방법중 Amberlite CG-50 수지가 가장 간편하고 빠른 방법이었고 CM 수지는 Amberlite 수지에 비해 용출력이 떨어졌으며 분리할 수 있는 toxin의 양은 적었으나 정제도에 있어서는 약 75%로 toxin을 분리하는 처음 단계로서는 높은 편이었다. CM column을 Gradient 용출법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하나의 column을 사용해 분리한 분리물 중 정제도가 85%로 가장 높았고, 용출 buffer의 농도 폭을 넓히는 것이 정제도를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었다. 이 실험에 사용한 Sephadex G-50 , 75, 100, Sephacryl, Ultro gel 등의 gel filtration 방법 중 Ultro gel 에 의한 분리방법이 정제도에 있어서는 가장 우수했으며, 이온 교환 수지를 먼저 사용한 분리물에서는 모두 90% 이상의 toxin을 얻을수 있었지만, 한번의 분리도 거치지 않은 배지는 분리도와 정제도에서 현저히 떨어졌고, Sephadex G-50 은 gel colunm중 정제도가 가장 낮았다. FPLC는 위의 분리 ·정제 방법중 가장 빠른 방법이며, 적은 양의 시료로도 측정이 가증하였고, 정제도는 95% 이상이었다.

  • PDF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로부터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물질의 정제 및 이화학적 성질 (Pur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er from Capsella bursa-pastoris)

  • 곽재혁;권미향;나경수;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4-189
    • /
    • 1996
  •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로부터 산소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하여 소거작용을 하는 물질을 분리하고 이 물질의 이화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냉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용매분획과 각종 column chromatographies (Amberlite XAD-2, Sephadex LH-20, Bio gel P-2, ODS)를 통해 정제하였고, 최종적으로 FPLC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활성의 단일물질을 얻었다. 냉이 에탄올추출물 100 g으로부터 0.25 g의 정제물질을 얻었으며, superoxide anion radical을 50% 소거하는 농도$(IC_{50})$$0.58\;{\mu}g$이었다. 이 물질에 대해 각종 이화학적 성질을 검토한 결과 phenol성 화합물의 배당체로 추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