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3초

움직임 예측과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Motion Vector Prediction and Neural Network)

  • 최정현;이경환;이법기;정원식;김경규;김덕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A호
    • /
    • pp.1411-141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예측과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려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인적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들로 예측하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움직임 벡터의 공간적 상관성이 높다는 점을 고였다. 학습 시간이 빠르고 2차원 적응적 특성의 KSFM(Kohonen self-organizing feature map) 신경망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의 코드북(codebook)을 설계하였다. 2차원 코드북상에서 서로 비슷한 코드벡터들(codevectors)은 가까이 위치하므로, 예측 코드벡터로부터 코드북상에서 점진적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적은 계산량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움직임 추정 능동 방사선 기반 고속 객체 추적 (Motion-Estimated Active Rays-Based Fast Moving Object Tracking)

  • 라정중;서경석;최흥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3호
    • /
    • pp.15-22
    • /
    • 2005
  • 객체 중심점에서 움직임을 추정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객체의 윤곽선을 추적 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방사상 표현(radial representation) 방식을 적용하여 객체 중심점에서만 블록정합 (block matching) 알고리듬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여 적은 계산량으로 객체 움직임을 추정함으로써 객체 윤곽선을 추적하였다.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함으로써 프레임 간 객체의 움직임이 객체 중심에서 윤곽까지 거리 이상 빠르게 이동하는 객체도 추적할 수 있다. 에너지 수렴 과정에서 기울기 영상과 차영상(difference image)을 에너지 함수로 함께 사용함으로 복잡한 배경 등에도 강건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움직임이 빠른 객체와 복잡한 배경 속의 객체도 실시간으로 강건하게 추적함을 확인하였다.

비트패턴을 이용한 고속 워핑 예측 (Fast Warping Prediction using Bit-Pattern for Motion Estimation)

  • 강봉구;안재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390-39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비트패턴을 이용한 고속 워핑 예측을 제안한다. 워핑 예측은 이웃한 노드들의 움직임 벡터에서 움직임 정보를 가져오는 공간적인 의존성 때문에 최적의 움직임을 찾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탐색을 요구한다. 반복적인 탐색에 의해 발생하는 연산량의 증가는 워핑 예측의 사용을 저해하는 큰 이유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비트패턴을 이용해서 움직임 여부를 판단한다 움직임이 없는 영역에서의 의미없는 움직임 예측을 제거하고, 움직임이 있는 영역에서만 워핑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빠른 움직임 예측이 가능하게 된다.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워핑 예측을 수행했을 때보다 성능은 근접하면서도 연산량이 75% 이상 감소하였다

  • PDF

투영 기법을 이용한 고속 오브젝트 추적 알고리즘 (Fast Object-Tracking Algorithm using Projection Method)

  • 박동권;임재혁;원치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7-600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object-tracking algorithm in a moving picture. The proposed object-tracking algorithm is based on a projection scheme. More specifically, to alleviate the computational complexities of the previous motion estimation methods, we propose to use the projected row and column 1-D image data to extract the motion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the motion of an object fairly well with reduced computational time.

  • PDF

개선된 크로스-육각 패턴을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A Fast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Algorithm by using the Enhanced Cross-Hexagonal Search Pattern)

  • 남현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77-85
    • /
    • 2006
  • 동영상 프레임의 블록 정합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블록들 사이에는 공간적 상관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벡터의 중심 지향적 특성과 동영상 내의 공간적 상관성을 이용한 개선된 고속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현재 프레임의 인접한 매크로 블록들에서 예측된 움직임 벡터와 크로스-육각 탐색 패턴을 이용하여 정확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예측 탐색 알고리즘 (NNS)과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즘 (CHS)에 비해 탐색 속도와 화질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때 탐색 속도 측면에서는 약 $0.1{\sim}38%$ 정도의 향상을 보였고, 화질 측면에서도 PSNR (Peak Signal Noise Ratio) 값이 약 $0.05{\sim}2.5dB$ 정도 향상되었다.

  • PDF

공간적 상관관계 기반의 고속 움직임 추정 기법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Spatial Correlation)

  • 최수우;곽통일;황보현;윤종호;최명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785-786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Motion Estimation (ME) algorithm for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based on spatial correlations.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he motion vector of neighboring blocks, to decide the location of initial searching point. The number of searching point decreases by changing the location of initial searching poi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searching points about $7{\sim}13%$ and increases PSNR about $0.1{\sim}0.5$(dB) compared with conventional algorithm.

  • PDF

비디오 코딩을 위한 빠른 블록 모션 추정 방법 (A Fast Block Motion Estimation Algorithm for Video Coding)

  • 이연철;김은이;김항준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1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KISPS SUMMER CONFERENCE 2001
    • /
    • pp.177-18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코딩을 위한 빠른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 방법을 제안한다.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서, 제안된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은 블록 당 탐색 점(searching point)의 수를 줄이는 대신에 프레임 당 탐색 블록(searching block)의 수를 줄임으로써 실행되어진다. 이를 위해서, 연속된 두 프레임간의 시간적인 상관관계(temporal correlation)를 통해 현재 프레임에 있는 모든 블록들을 움직임 블록(moving block)과 배경 블록(background block)으로 분류되어진다. 잘 알려진 비디오 영상들에게서 실험한 결과들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상당히 정확한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들 뿐만 아니라 계산적인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 PDF

인접 탐색점을 이용한 블록 움직임 추정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Block Motion Estimation Using Neighboring Search Point)

  • 김태주;진화훈;김용욱;허도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143-146
    • /
    • 2000
  • Motion Estimation/compensation(ME/MC) is one of the efficient interframe ceding techniques for its ability to reduce the high redundancy between successive frames of an image sequence. Calculating the blocking matching takes most of the encoding time. In this paper a new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BMA) is developed for motion estimation and for reduction of the computation time to search motion vectors. The feature of the new algorithm comes from the center-biased checking concept and the trend of pixel movements. At first, Motion Vector(MV) is searched in ${\pm}$1 of search area and then the motion estimation is exploited in the rest block. The ASP and MSE of the proposed search algorithm show good performance.

  • PDF

다중 문턱치 필터를 이용한 고속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Filters of Multiple Thresholds)

  • 김종남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99-205
    • /
    • 2018
  • 기존의 전영역 탐색 방법의 많은 계산량으로 인하여 예측 화질 향상과 연산량 감축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본 논문에서는 전영역 탐색기반의 방법과 비교하여 예측화질은 거의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계산량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다중 문턱치 필터를 이용하여 각 후보 지점에 대하여 부분 블록 에러 합을 계산하고, 이를 여러 문턱치 필터에 적용하여 각 후보들을 영역별로 분류 또는 제거하고, 이에 따라 다음 단계에서 진행할 후보들을 선별하고, 최소 에러지점의 최적후보에 대해 단계별 부동 회수를 비교 판단하여 그 다음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움직임 벡터를 고속으로 계산한다. 이를 통하여 전체의 최소블록매칭에러를 갖는 움직임 벡터를 조기에 발견하고, 불필요한 후보들을 더 빨리 제거함으로써 불필요한 계산량을 줄이고 계산속도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단독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속 알고리즘들과 결합하여 사용해도 예측화질대비 우수한 연산량 감소를 얻을 수 있으며, 실험결과에서 이를 검증한다.

스테레오 영상에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고속 변이 벡터 추정 (Fast Disparity Vector Estimation using Motion vector in Stereo Image Coding)

  • 도남금;김태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5호
    • /
    • pp.56-65
    • /
    • 2009
  • 스테레오 영상은 단일 영상과는 달리 오른쪽과 왼쪽, 2개의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 영상에 비하여 더욱 많은 데이터량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영상 압축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 DPCM기반의 예측 부호화 압축 기술을 대부분의 비디오 압축 표준에서 사용한다. 예측 부호화 기술의 구현을 위해 움직임 추정 및 변이 추정이 필요한데 이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으로 여러 가지 비디오 코딩 표준들에서 블록 정합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블록 정합 알고리즘 중 완전탐색 알고리즘은 기준 블록을 탐색영역 안에 존재하는 모든 블록과 비교하여 최적의 블록을 찾아낸다. 이 알고리즘은 최적의 블록을 찾을 수 있어 효율은 좋으나 많은 연산량이 단점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에서 움직임 벡터 정보와 전 프레임의 변이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현재 프레임의 변이 벡터를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변이 벡터 추정시 전역 변이 벡터를 사용하여 탐색 영역을 줄이고, 전 프레임들 사이에서 구한 변이 벡터 정보를 재사용하면서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위치를 제한함으로 연산량을 줄여 고속의 변이 벡터 추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제안 알고리즘은 움직임이 많은 복잡 영상 보다는 움직임이 적은 단순 영상에서의 성능이 훨씬 뛰어났으며, 움직임이 적은 단순 영상에서의 변이 벡터 추정 시에 약간의 residual 증가는 있지만 빠른 처리 속도를 제공하여 고속의 변이 벡터 추정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