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mily-of-original experienc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other's original family experience in relation to mother's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부은순;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74-481
    • /
    • 2018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유아를 보내는 어머니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 분석을 위하여 SPSS Statistic 18.0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하위요인 유능성과 지도력, 애정표현과는 정적상관을 불안정성과 방해성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 결과 경쟁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은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논의하였다.

아동양육시설 퇴소 성인들의 원가족 재회 경험 연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연구 접근 (A Study on the Family Reunion Experience of Adults Discharged from Childcare Welfare Facilities - Grounded Theory Approach -)

  • 황수연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0호
    • /
    • pp.31-71
    • /
    • 2018
  •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퇴소 성인이 경험한 원가족과의 재회에 대한 연구로서 아동청소년기시절 시설에서 성장한 후 성인이 되어 원가족을 다시 만난 개인들의 경험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접근했으며 원가족과 재회한 후 10년이상 교류를 가졌던 19명의연구 참여자가 참여했다. 분석결과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에서 인과적 조건은 '다시 만남의 후회', '소속감 없음', '버림받은 상처의 재현'으로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은 '상처받은 존재로서의 예민성', '보상심리의 좌절'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감정의 소용돌이'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천륜의 인식', '부모부양 지지체계', '부모의 상처 씻어주기'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은 '선으로 복수하기', '자기 구속의 끈 풀기', '자신의 푯대 세우기', '가족화해'로 나타났다. 결과는 '가족의승화', '생애과업 완수', '삶의 터전 확보'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거쳐 제언을 하였다.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회적고립 (Life History of the Socially Isolated Male Elderly Living Alone)

  • 임승자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25-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되기까지의 과정과 삶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생애사 방법의 하나인 'Mandelbaum(1973)의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s), 적응(adaptation)'이라는 개념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은 가족 관계 단절, 빈곤, 열악한 일자리, 건강악화 등의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삶의 영역에서 고립 전의 원가족과의 삶에서 부모와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나 부재, 가족의 빈곤, 주위 사람들과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 등의 경험이 있었다. 노동시장에서 막노동, 배달, 장사, 허드렛일 등의 좋지 않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전환점의 영역에서는 외환위기, 부모의 이혼과 죽음, 배우자 외도, 경제적 어려움 등의 여러 원인으로 원가족과 배우자와의 분리로 인한 가족과의 단절을 경험하게 되었다. 적응의 영역에서 참여자들은 삶의 각 전환점에서 변화된 삶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타협하고 절충하면서 적절히 적응하려는 노력을 해나가고 있었다. 국민기초수급자라는 사회적 안전망 제도에 들어왔고 그 안전망을 지키기 위해 한곳에 머무르는 지금의 삶이 더 안정적인 삶을 살게 만들었으며 개인적인 취미생활과 네트워크를 통한 대리만족으로 적응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기존연구에서 고립된 노인들이 우울증과 고독사의 위험에 심하게 노출되었다는 연구결과와 다소 다른 결과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립감이 낮은 노인을 인터뷰한 본 연구의 특성을 동시에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중환자실에서 전문간호사가 제공하는 교육상담의 국민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조사 연구 (Public's Perception of Reimbursement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Education and Counseling in Intensive Care Units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 고정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95-107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ublic's perception of reimbursement for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to advanced practice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 : This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he original data were collected utilizing an online panel. The sample comprised 615 individuals aged between 19 and 49 years nationwide. The study variables included the public's perception of reimbursement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age, gender, education level, income, and health status. Variables such as past experience of being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unit by self, family, or relatives and the recogni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were also examined. Results : The mean of the perception score was 3.15 on a 4-point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agree) to 4 (strongly agree). Among the participants, 89.2% answered "somewhat agreed" or "strongly agreed" to the question about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being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Moreover, education level, past experience of being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unit by self, family, or relatives, and recogni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score. Conclusion : Efforts should be made to publicize the need for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that are provided to advanced practice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두 여성 학교상담사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Exploring the Narrative of Child Care Experience of Two Female School Counselors)

  • 최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97-20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학교상담사의 삶 속에서 자녀양육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자녀양육 경험의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8년 이상의 경력이 있고 학교상담사로 근무하며 자녀를 청소년 시기에 양육한 경험이 있는 두 명의 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인터뷰를 거쳐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이라고 지칭되는 시간성 사회성 장소에 집중하여 학교상담사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구성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상담사들은 원가족에게 양육 받은 경험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통찰" 하였다. 상담공부 후 훈육과 강압적인 태도로 양육한 것에 대해 "반성과 사과"의 과정을 거쳐, 자녀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충분히 좋은 양육자 되어가기"를 탐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체험적 통찰을 통해 "진정한 상담사로 거듭나기"로 변모해 가고 있었으며, 이는 "온전히 기능하는 나"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30-40대 기혼여성의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Study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to 40s with Experience in Parental Divorce)

  • 전보영;조희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4호
    • /
    • pp.51-75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experience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to 40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owards the women, this study takes a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8 women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and are now married with children.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spiral of analysis, following the process of Wolcott's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s such as fear, anger, and lack of affection. Secon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divorc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articipants'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elf concept and in turn, participants experienced anxiety and withdrawal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me had difficulties in concentrating on their schoolwork, which was caused by psychological effects from their instable home environments and some were negligent at school due to their parents' indifference or as an act of rebellion towards them. Third, although participants displayed interest towards the opposite sex, fear towards the opposite sex or unrealistic expectations led to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hips. Participants also confessed that although they married so that they could escape their original family and form a new happy one, they experienced a rocky start at the beginning of their marriage. Fourth, parental divorce had a lifelong impact on children. Even after the children became adults, parental divorce affected each key stage of transition in life such as dating, choosing one's spouse, marriage, and child rearing. Fifth, participants displayed a strong attachment to life under the assumption that only they themselves can be depended on. This led to their strong commitments to a successful marriage without the possibility of divorce. In conclusion, parental divorce is not a transitory or incidental event. Rather, it becomes a part of the children's lives with lifelong implications.

북한이탈 남성주민의 남한 사회에서의 적응경험 (Adaptation Experiences in South Korea of Men defecting from North Korea)

  • 김경미;김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31-441
    • /
    • 2013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xplore meanings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in South Korea of men defectors from North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11 to May, 2012,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n men defecto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Results: Eight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buoyant expectation for a new life', 'feeling guilty about family left behind in North Korea', 'inability to become acclimatized due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ability to socialize with South Koreans due to different lifestyles', 'finding strength through trustworthy acquaintances', 'continuing reconciliation with oneself while trying to assimilate into South Korean culture', 'self-realization of one's original self', and 'continuing to feel out the possibility of a future in South Korea'.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North Korean men who defect to South Korea shape their identity through three phases: forming self-image during escape from North Korea, trying to become accustomed to South Korean society, and finding their own identity by self-realization of their original self. Eventually, the whole process enables them to recover their identity,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and to discover possibilities for a better future.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이용한 분석 (An Exploration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 Focus on the Relationship with Trust)

  • 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5-32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의 발전에 기초가 되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에 관해서 2004년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에 의해서 구축된 전 국민 대상 기부 및 자원봉사 인터뷰 서베이 자료를 기초로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검증된 바인 신뢰가 기부 및 자원봉사의 예측요인이라는 사실에 더해서, 그 반대적 관계 역시 실증적으로 검증될 수 있음을 밝힌다. 기존의 실증적 연구결과 및 Putnam(1993)의 논의에 기반해서 본 연구는 쌍방적 관계의 모형을 구성한 후,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가 신뢰에서 기부 및 자원봉사로 이어지는 일방적인(unilateral) 것만이 아니라 그 반대적 관계도 존재하는 쌍방적인(bilateral) 것임을 밝힌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자선행동의 사회화 효과 및 세대간 전승 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시절의 기부 및 자원봉사 교육의 영향력 그리고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의 영향력 역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는 선순환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기부 및 자원봉사의 촉진을 위해서 신뢰의 우선적 구축도 중요할 수 있으나 동시에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에 참여케 하는 것 역시 신뢰의 구축을 위해서 매우 효율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논의한다. 아울러서 자선행동의 사회화 및 세대간 전승 효과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 등에 관해서 논의한다.

  • PDF

청소년서사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나타나는 가족과 개인 (The Family and Individual in the Transmedia Storytelling of Young Adult Narratives)

  • 정혜경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215-262
    • /
    • 2021
  • 본고는 김려령 작가의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 이한 감독의 영화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을 대상으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변형 과정을 분석하여, 포스트IMF시대 가족해체 및 '개인화'를 둘러싸고 상이한 서사적 대응이 공존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 정치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원작에서 출발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마리-로르 라이언의 서사학적 관점인 '트랜스픽셔낼러티(transfictionality)'를 참조하였다.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해체라는 실존적 조건을 받아들이는 '개인화'의 두 가지 양상을 드러낸다. 소설 『완득이』는 '자기 발견'을 통해 가부장 중심의 가족로망스를 벗어나 친밀한 개인들의 동행과 같은 느슨한 가족 유대를 보여주었다. 소설 『우아한 거짓말』은 철저히 고립된 자신을 발견하는 청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고통의 개인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남겨진 자들의 애도가 불가능함을 서늘하게 그려냈다. 한편, 영화로 전환된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 해체에 직면한 가족 구성원들이 이에 맞서 가족을 재발견하고 복원하는 서사를 보여 주었다. 영화 <완득이>는 다문화 정체성을 통해 가족공동체의 확장을 도모하였고, 영화 <우아한 거짓말>은 남겨진 가족들이 슬픔 속에서도 '자살생존자'로 살아남아 자신들의 애도를 완성하였다. 위 소설의 스토리월드는 청소년 개인의 '자기 발견'에, 영화로 전환된 스토리월드는 '가족을 재발견'하는 데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스토리텔링의 변형, 특히 서사구조의 재구성('수정 modification')을 통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매체 전환 텍스트들 간의 관계를 '충실한 재현'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 상반된 주제와 세계관을 보여 주고 있다. 즉 '인물의 등장'이라는 기준점을 제공하되, 원작에서 출발하여 매체를 전이하면서 스토리텔링을 변형시킴으로써 원작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이질적인 목소리들을 생성하여 다성적 스토리월드로 개방하였다. 가족해체와 개인화를 둘러싸고 불확실성이 증폭하는 포스트IMF시대에, 이와 같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의해 생성된 다성적(多聲的) 스토리월드는 개인의 자유/위험과 공동체에의 안주라는 이질적인 욕망을 경험하도록 이끈다. 이는 '횡단, 초월, 변형'을 근간으로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정치적 함의라할 수 있을 것이다.

회복중인 알코올 의존자 부부를 위한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연구 (The Study of Needs about Program for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 이현주;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93-106
    • /
    • 2005
  •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marital treatment in the recovery process of alcohol dependency, the domestic situation lacks the programs for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It is very hard to find any program for couples with an alcoholic in recovery.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only deal with hospitalize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ue to their limitations in contact with appropriate subjects. This imposes a limit in their expert and validity. This research finds its aim in investigating the needs of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and of clinical professional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This research was studied with 20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with a mean duration of 3.9 years of sobriety and 10 clinical professionals with a mean duration of 7.5 years of alcohol-abuse counseling experience.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a marital program that covers communication skills, sex, domestic violence, financial problems and original family issues in relation with codependency would be appropriate; the program would also involve issues about relap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