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ll-related Factors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Related Factors of Toothbrush in One Metropolitan City Residents (일개 광역시민에서 잇솔 사용 관련요인)

  • Ahn, Chi-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Hong, Jee-Young;Bae,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06-809
    • /
    • 2011
  • 본 연구는 구강보건행태 방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 잇솔질 횟수와 잇솔질 시기를 분석하여 개개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자료 및 구강보건 인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7년 10월 22일에서 23일까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로 선정된 응답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3회 이상 잇솔 사용을 분석한 결과 성별인 경우 여자가, 연령은 20대, 교육 수준 별로 대학교 재학 이상, 직업은 화이트칼라(전문직), 가계 수입별로는 500만원이상, 체질당지수는 저체중, 흡연 여부에서는 비흡연이, 최근 2년간 건강검진 경험의 경우 경험이 있는 사람이,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 좋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사 직후 잇솔 사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직일수록, 평균 월 수입이 많을수록, 흡연 유무에서는 비흡연, 최근 2년간 건강검진 경험의 경우 경험이 있는 사람이, 관적 건강상태의 경우 좋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회 이상 잇솔 사용을 종속변수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이, 학력은 중졸이하에 비해 고졸이, 직업은 학생에 비해 가정주부가,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잇솔 사용 횟수가 식후 3회일 경향을 보였다. 식사 직후 잇솔 사용을 종속변수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력은 중졸이하에 비해 고졸, 대졸이, 직업은 학생에 비해 자영업과 가정주부가,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가, 건강검진 경험자,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잇솔 사용 횟수가 식후 잇솔질의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높은 교육수준이나, 건강에 대한 자기 신념이 높은 사람들은 구강 관리도 소홀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렇지 못한 그룹은 지속적인 교육 및 관리를 하여 구강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줘야 됨은 물론이며, 구강관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elated Factors to Physical Inactivity of Residents in One Metropolitan City (일개 광역시민의 신체비활동 관련 요인 분석연구)

  • Kang, Sung-Wook;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Bae, Seok-Hwan;Kim, Young-S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1076-1079
    • /
    • 2011
  • 본 연구는 일개 광역시 주민들 400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관련 특성, 신체비활동 정도를 조사하여 신체비활동의 유발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걷기운동 미실천 수준의 경우 연령, 교육수준, 의료보장, 직업, 기초생활수급유무, 독감 예방접종, 체중조절시도, 고위험음주, 스트레스 인지정도, 지역사회 운동프로그램참여, 운동시설의 접근성이, 중등도 이상의 운동 미실천의 경우, 성별, 연령, 월 소득, 가구소유, 건강검진 여부, 체중 조절 시도, 현재 흡연 여부, 지역 사회 운동 프로그램참여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신체비활동 수준을 결과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걷기운동의 경우 20대에 비해서 30대가 1.46배, 40대가 1.57배 미실천률이 높고, 사무직이 전문행정관리직에 비해 1.37배, 체중조절을 시도하지 않은 군이 한 군에 비해 1.70배, 스트레스를 많이 느낀 군이 안 느낀 군에 비해 1.58배, 조금 느낀 군에 비해 1.38배, 운동시설 접근성이 어려운 군이 쉬운 군에 비해 1.75배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등도 이상 운동의 경우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미실천율이 1.74배, 체중조절시도를 안한 군이 한 군에 비해 1.63배, 지역사회운동프로그램참여 안한 군이 한 군에 비해 2.3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여러 가지 만성질환이 대두되고 있고, 이에 따른 신체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신체활동 실천율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신체활동의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체비활동 결정짓는 요인들에 대해 우선 파악해야 한다. 분석결과 가장 차이가 나는 것은 운동시설의 접근성과 지역사회운동프로그램의 불참군에서 가장 신체비활동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Related Factors to Characteristics of Drinking Behaviors in a Metropolitan City's Adult Residents (일개 광역시민의 음주 행태 특성의 관련요인)

  • Song, Jeong-Mi;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Yoo, Se-J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926-929
    • /
    • 2011
  • 이 연구는 음주 관련 요인을 일반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건강행태 측면에서 규명하기 위하여 일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 갤럽의 표준조사로 2007년 7월 30일부터 2달간 시행하였고, 전화 설문조사에 참여한 총 1,01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항, 건강 행태관련 설문지를 이용하여 관련 요인들을 추출하였고, 음주도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지난 1년간 음주여부를 결과 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에 따른 분류에서 19-29세와 30-39세에서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계수입에 따른 분류에서는 300~499만원과 500만원 이상에서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수별 95% 신뢰구간에서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지난 한 달간 음주여부를 결과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분류에서 여성의 경우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분류에서 19-29세와 40-49세에서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계수입에 따른 분류에서는 300~499만원과 500만원 이상이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에 따른 분류에서 현재 흡연의 경우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여부에 따른 분류에서 대단히 많이 느낌과, 조금 느끼는 편임의 경우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수들의 경우 95% 신뢰구간에서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주2회 이상 음주여부를 결과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분류에서 여성의 경우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에서 가정주부, 학생의 경우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에서 현재 흡연과 과거 흡연에서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수들의 경우 95% 신뢰구간에서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직업분류에서 가정주부와 학생의 경우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적정 섭취 알코올 기준이 남, 여가 다르게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비교분석자료를 통하여 남, 여 적정 음주 기준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Related Factors to Health Behavior by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모형에 기초한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 관련요인)

  • Lee, Eun-Sun;Na, Baeg-Ju;Lee, Moo-Sik;Lee, Jin-Yong;Hong, Jee-Young;Lim, Young-Sh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1057-1060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변수와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 만성질환 보건사업 및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0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고,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으로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14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SPSS WIN(14.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ronbach's alpha의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G에 대한 인지수준 중 TG에 대한 인지가 가장 높았고, 3가지 모두를 인지한 경우는 28.08%였다. 또한 9가지 항목에 대한 고지혈증 지식수준은 9점 만점에 평균 6.51이었으며,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행태수준도 높았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10개의 건강행태를 2개 요인으로 재분류 하였다. 그 결과, 건강행태 요인 1은 '식이, 운동 습관 및 고지혈증 검사 및 관련 검사요인', 건강행태 요인 2는 '흡연, 음주 습관 및 고지혈증 치료 관련 요인'이었다. 건강행태 요인1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건강신념변수는 심각성, 이득, 장애로 나타났고, 취약성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신념 요인들과 건강행태 간의 상관되는 순서는 이득(r =.455), 심각성 (r=.38), 장애(r=-.244) 순으로 나타나 고지혈증에 대한 이득 인식이 건강행태 요인1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건강행태 요인2는 건강신념변수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계기에 따른 건강행태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육을 받았을 때 건강행태 요인1과 요인2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이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넷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지혈증 건강행태 요인1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한 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 및 이점 신념요인, 교육여부, 보건소 교육정도 이었다. 건강행태 요인2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건강신념모형이 고지혈증 건강행태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이라고 판단 할 수 있으며, 건강행태 요인 특성에 따라 건강신념변수 중 고지혈증 예방에 대한 이득을 높이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교육목표를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ake Hwaong (화옹호의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

  • Chung, Mi-Hee;Kim, Ho-Sub;Choi, Chung-Il;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2 s.107
    • /
    • pp.193-20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temporal and spati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in a newly made reclaimed esturine lake (L. Hwaong). Monthly sampling was conducted at 4 sites covering the longest transect of longitudinal gradient of the lake from June to November, 2002. Total 5 classes 8 orders 26 families 83 genus 192 species were identified at all study sites during the study period. Phytoplankton total cell density ranged 24${\sim}$ 1,882 cells $mL^{-1}$ and highly varied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Total cell dens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salinity, pH, BOD, COD, SS, TN and TP concentration. Diatom density als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alinity, SS, BOD, COD and TN concentration, Although there was spatial difference, a longtudinal gradient appeared in phytoplankton cell density, Chl-a, TN and TP concentration from the mouth of river in June and August. In conclusion, phytoplakton community structure was dominated by diatoms (Bacillariophyceae), and appeare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salinity, precipitation, and nutrients during the summer and the fall.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mandible fractures

  • Jung, Hai-Won;Lee, Baek-Soo;Kwon, Yong-Dae;Choi, Byung-Jun;Lee, Jung-Woo;Lee, Hyun-Woo;Moon, Chang-Sig;Ohe, J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v.40 no.1
    • /
    • pp.21-26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ncidence, demographic distribution, type, and etiology of mandible fractures that were treated by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12.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and analytic retrospective study that evaluated 735 patients that were treated for mandible fracture. Results: This study included 1,172 fractures in 735 patient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5.45 : 1; the maximum value was in patients between 20 and 29 years (38.1%) and the minimum in patients over 70 years old. The monthly distribution of facial fractures peaked in the fall and was lower during winter. No specific correla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annual fracture distribution. Among the 735 fracture patients, 1.59 fracture lines were observed per patient. The most frequent site was the symphysis, which accounted for a total of 431 fractures, followed by the angle (348), condyle (279), and body (95). The symphysis with angle was the most common site identified in combination with fracture and accounted for 22.4%, followed by symphysis with condyle (19.8%). The angle was the most frequent site of single fractures (20.8%). The major cause of injury was accidental trauma (43.4%), which was followed by other causes such as violence (33.9%), sports-related accidents (10.5%), and traffic accidents (10.1%). Fracture incidents correl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were reported between 10.0%-26.9% annually. Conclusion: Although mandible fracture pattern is similar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ere is some changes in the etiologic factors.

Factors Related to Balance Ability in Healthy Elderly (노인의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Won-Ho;Yi, Chung-Hwi;Chung, Bo-In;Cho, Sang-Hyun
    • Physical Therapy Korea
    • /
    • v.5 no.3
    • /
    • pp.21-33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certain differences of the sensory system, central processing system, effector system, and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ex, fall experience, and age), an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s of the sensory, central processing, and effector system to balance ability in 83 healthy elderly subjects. The subjects were elderly (over 60 years) who live in Wonju Cit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six tests (position sense test, visual acuity, vestibular stepping test, Mini-Mental Status Exam-Korea,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erg Balance Te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six tests according to sex showed that vestibular func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in women than in men. But visual acuity, cognitive function,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al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men than in women (p<0.05).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sense, visual acuity, vestibular function, cognitive function,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alance ability between fallers and non-fallers (p>0.05). 3. However, the results of the six tests according to age (group A: 60-69 years, group B: 70-79 years, group C: 80-89 ye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tests. In the Scheff$\acute{e}$ test, position sense, visual acuity,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C: the strength of the dorsiflex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B, and bal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C, and between in group B and group C (p<0.05). 4.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lance ability.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balance ability was 38%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play an important role in balance ability. This would seem to suggest that programs for evaluation or improvement of elderly's balance ability in the elderly should consider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 PD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강화 동검도 염습지 식생의 대형저서동물군집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 Lee, Hyung-Gon;Yoon, Kon-Tak;Park, Heung-Sik;Hong, Jae-Sang;Lee, Jae-Hac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38 no.2
    • /
    • pp.115-128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benthic distribution patter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Nine stations were fixed on a transect across the salt marsh vegetation, and field sampling was carried out monthly from July 1997 to June 1998. A total of 38 species of macrobenthos were recorded: each of faunal groups, 13 (34.2%) Arthropoda, 12 (31.6%) Polychaeta, 8 (21.1%) Mollusca, and 5 (13.2%) others. The mean density was $2,659individuals/m^2$, with a mean biomass of $178.6gWWt/m^2$. Mollusca dominated in terms of abundance and biomass, with a mean density of $2,172individuals/m^2$ (81.7%) and a mean biomass of $131.9gWWt/m^2$ (73.9%). The number of species decreased in winter (January-February), while mean density increased in the spring (May-June). The biomass was relatively in Summer and Fall (July-November), than any other season.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 in pure stands of Suaeda japonica in the lower salt marsh vegetation, and the mean density and biomass were high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in the middle salt marsh vegetation. Two Mollusca, the bivalve Glauconome chinensis and gastropod Assiminea lutea, were dominant. The densities of these two species were high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in the middle salt marsh vegetation.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show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idal levels and halophytes. Spearman's rank correlation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were related to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salinity of the substrates, exposure time, and grain size compositions of the sediment in the salt marsh vegetation. Particularly,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some dominant species showed differences along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halophytes.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Landslides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 Kim Kyeong-Su;Song Young-Suk;Cho Yong-Chan;Kim Won-Young;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6 no.2 s.48
    • /
    • pp.201-214
    • /
    • 2006
  •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conditions and landslides according to a geological condition in land-slides areas such asJangheung Kyounggi, Sangju and Pohang Kyoungbuk, the data of rainfall and landslid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Many landslides occurred at these areas because of the heavy rainfall in two or four days of the summer 1998. The data of rainfall are collected in observatories within a 50km radius from landslides occurrence areas, and the data of landslides are investigated directly in landslides areas. The data of rainfall are the accumulative rainfall and the rainfall intensity, and the data of landslides are the occurrence frequency considering the geological condition. These data are analyzed statistically to know the relationship the rainfall and landslides. The landslides are concentrated in the heavy rainfall area from the analysis of these data. It knows that the land-slides are triggered by the heavy rainfall. Meanwhile, the rainfall factors such as the accumulative rainfall, the rain-fall intensity and the dropping time are different in each landslides area, and the shape and frequency of landslides are different respectively. The landslides have occurred in the area of high accumulative rainfall, while the land-slides have not occurred around that area. Therefore, the rainfall is very important factor induced by the landslides, and the accumulative rainfall is real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landslides.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Manual to Protect Mountain Disaster in Urban Area (도심지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기존 매뉴얼 분석과 개선 방안)

  • Song, Byungwoong;Baek, Woohyun;Yoon, Junghwan;Sim, Ouba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6 no.7
    • /
    • pp.43-53
    • /
    • 2015
  • More than 70 percent of the Korean territory consists of mountain area so development of mountain district is essential to urbanize continuously. Thus, 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risk factors and standards and manuals must be needed to prevent mountain disaster. Risk Management Manual should be made and operated in government legislation related to national disaster, but there is still no Emergency Management Standard Manual and Emergency Response-Practical Manual to prevent mountain disaster.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s that are legislated but not established cleary in the field of disaster in urban area. The main items are like as 1) adaptable standard and practical manual to prevent mountain disaster in urban area, 2) reinforcement between managing department and interagenc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3) Personal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not EOP (Emergency Operation Plan), 4) considering 13 items selected by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5) schematization with personal action plan, 6) check list to do in the event of mountain disaster, and 7) regular practice per quar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