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l index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4초

해남반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nvironment and Benthos in the Intertidal zone of Haenam peninsula, Korea)

  • 신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3-75
    • /
    • 1993
  • 해남반도의 사초리와 내동리, 어란리, 구성리의 조간대에서 1990년 10월과 1991년 5월에 채긱된 저서동물을 동정하였으며, 저질의 이화학적 분석과 저서동물 군집구조 분석에 의해 그 분포상을 조사하였다. 저질의 pH는 봄철에 $7.72{\sim}7.89$로 가을철에 $7.44{\sim}7.78$보다 약간 더 높았고 사초와 내동보다는 구성과 어란리의 pH가 약간 높았다. COD는 $1.40{\sim}3.39mg/g$이었고 전질소량은 $0.25{\sim}1.77mg/g$, 유효인 함량은 $6.54{\sim}9.71ppm$이었다. 저토의 입도조성은 구성리가 점토성 양토, 어란은 점토성 미사양토, 사초는 사질성 양토, 내동은 양토성 사질이었다. 유기물 함량도 $1.45{\sim}4.13\%$로 봄철이 가을철보다 약간 높았고 구성과 어란에서 높고 내동에서 낮았다. 조사기간중 채집된 저서동물은 10문 17강 78과 122속 141종(4,641개체)이었다. 종수와 개체수에서 각각 연체동물($49.6\%,\;74.3\%$), 절지동물($22.7\%,\;16.2\%$), 환형동물($12.8\%,\;5.6\%$)이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조간대를 모래${\cdot}$진흙지대와 암반지대로 나누어 조사하여 보면 모래${\cdot}$진흙지대(37과 69종)보다 암반지대(66과 114종)에 종이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모래${\cdot}$진흙지대에서는 4개지역의 종의 구성상태가 비슷하였으나 암반지대에서는 구성리(81종)에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계절별 종수와 개체수는 가을철(85종 1,639개체)보다 봄철(106종 3,002개체)에 증가하였고 지역별 출현 빈도를 보면 구성(100종 1,273개체)이 가장 높았고 사초(48종 909개체)가 가장 낮았다. 우점종은 연체동물의 복족류 Cerithideopsilla djadjariensis(412개체)이었으며 개체수가 200개 이상 채집된 종은 복족류 4종, 부족류 1종과 절지동물의 만각류 1종 등 6종이었고 100개 이상 채집된 종은 복족류 4종과 부족류 2종, 절지동물의 게류 1종과 극피동물의 해삼류 1종이었다. 종다양성 지수는 구성(1.58)과 어란(1.50), 내동(1.45), 사초(1.23)의 순으로 지역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우점도 지수는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구성에서 낮았고(0.04) 적게 나타난 사초에서 높았다(0.09). 각 지역간의 유사도 지수를 보면 모래${\cdot}$진흙지대에서는 4개 지역의 지수가 $0.44{\cdot}0.53$으로 비슷했으며 구성과 어란에서 서로 유사도가 높았다. 이는 저토의 입도조성에 있어서 유사한 점과 일치한다. 그러나 암반지대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는 구성과 사초가 0.27로 낮았다. 따라서 종의 분포상태는 지리적 요인을 포함하여 저토의 입도조성과 유기물 함량 등 이화학적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라벤더향이 수면장애가 있는 여자 성인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vandula angustifolia Aroma on Electroencephalograms in Female Adults with Sleep Disorders)

  • 정한나;최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2-199
    • /
    • 2012
  • 본 연구는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향이 뇌기능에 미치는 효능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함에 의의를 두고 뇌파 변화를 살펴보았다. 신체적으로 건강한 20대 여자 성인(28명)을 대상으로 검증된 수면장애 조사를 통하여 수면질을 조사하여 수면에 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선별하고 라벤더 향기요법을 실행하여 뇌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뇌파 전극은 10-20 국제법에 의하여 전부두(F3, F4), 측두부(T3, T4), 후두부(O1, O2), 두정부(P3, P4)에 부착하였다. 향기요법을 시행하기 전 3분, 시행 중 3분, 그리고 시행 후 3분씩 나누어서 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라벤더향은 수면질이 좋은 사람(15명)에서 후두부와 두정부에서 알파파를 감소시키고, 전두부에서는 세타파와 후두부에서 베타파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수면질이 나쁜 사람(13명)에서는 대뇌 모든 영역에서 수면 입면파인 세타파만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나타났다. 따라서 라벤더향은 수면질이 나쁜 사람에게 수면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뇌기능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기간의 요부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근력과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ort-term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for Lumbar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Balance on Chronic LBP)

  • 조성학;김진희;최문희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5-30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rt-term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o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low back pain(CLBP) on the strength of their lumbar flexor and extensor and the postural balance of them and to suggest effective treatment duration for them. METHODS: Study subjects were 20 patients with CLBP who's been reported the pain for more than 12 weeks. For these subjects, muscle strength of both extensor and flexor of lumbar and the balancing 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as composed of matt, ball and sling exercise.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for total 12 sessions for 4 weeks (3 times a week) and each session was for 40 minutes. RESULT: For muscle strength of both extensor and flexor of lumba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he application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p<.05). For balancing ability, stabiliz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positions except PC(eyes closed on pillows)(p<.05). Distribution of weigh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it was generally distributed within normal range after the exercise and Fall index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p<.05).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have positive effect on deciding different period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SWRO 생산수의 부식성 제어를 위한 목표 수질 연구 및 소규모 Pilot Plant 적용 (Corrosive control of the water produced by SWRO and Application to small dimensional Pilot Plant)

  • 김민철;황규원;우달식;윤석민;문정기;곽명화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042-1045
    • /
    • 2009
  • 역삼투식 해수담수화 (Sea Water Reverse Osmosis, SWRO) 공정에 의한 생산수는 pH가 낮고, 해수 내 존재하는 경도성분인 Ca, Mg 이온이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강한 부식성을 지니고 있다. 이를 음용수 및 공업용수로 이용 시 설비 및 배관계통에 심각한 부식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처리공정과 부식성 제어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SWRO 1단으로 처리 시 생산수의 전기전도도는 $150{\mu}S/cm$ 정도의 범위를 보이며, 2단 SWRO 과정을 거칠 시 전기전도도는 $100{\mu}S/cm$ 이하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RO 2단 처리수를 가정한 $20{\mu}S/cm{\sim}25{\mu}S/cm$ 범위의 전기전도도를 지닌 물을 실험 원수로 사용하여, 기존 방식제의 성분과 생산수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알칼리성 수처리제를 적용하고 그에 대한 부식성 제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SWRO 생산수를 대상으로 부식방지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부식제어와 관련된 수질 인자인 pH, 칼슘경도, 알칼리도의 조절과 LSI(Langelier Saturation Index)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담수화 공정의 생산수를 음용수 및 공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목표 수질을 pH 7.5~7.8, LSI 0 이상, 부가적으로 전기전도도는 $250{\mu}S/cm$ 이하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목표 수질을 달성할 수 있는 부식억제제 및 알칼리성 수처리제의 적용을 통해 목표 수질에 대한 설정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An Analysis on Influence Area by the Simulation over Mt. Baekdu Eruption)

  • 김남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48-356
    • /
    • 2011
  • 현재까지의 조산운동 기록에 의하면 백두산은 언젠가는 분화가 얼어날 것이다. 본 연구는 백두산 화산폭발 시뮬레이션을 통해 용암류와 화산재가 미치는 영향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화산폭발지수 7, 계절은 가을에서 봄에 분화가 일어날 것을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용암은 중국쪽 사면으로 흘렀고, 화산재는 북한지역으로 확산되었다. 화산재는 9시간 만에 울릉도 지역까지 확산되었다. 북한의 27개 시 군 행정구역 중에서 61개 도시와 마을이 화산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많은 양의 화산재가 농경지, 도시지역, 산림지역에 퇴적되었다. 연구결과는 북한에서 재난 대비, 남 북 및 중국과의 공동 연구를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엘니뇨/라니냐가 북서태평양 아열대 난수역과 북부동중국해의 중형동물플랑크톤 생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 Niño/Na Niña on Mesozooplankton Biomass in the Northwestern Subtropical Pacific Warm Pool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강형구;신창웅;전동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89-200
    • /
    • 2015
  • Mesozooplankton biomass including total biomass and size-fractionated biomass and the abundance of major taxonomic groups of copepods were studied in the Northwestern Subtropical Pacific Warm Pool (NSPWP)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NECS) from 2006 to 2014. Mesozooplankton biomass ranged from 0.69 to $3.08mgC/m^3$ (mean $1.12mgC/m^3$) in the NSPWP and from 10.60 to $69.10mgC/m^3$ (mean $30.33mgC/m^3$) in the NECS with higher values in spring than fall. Percent composition in the biomass of each size group of mesozooplankton varied interannually both in the NSPWP and in the NECS. The smallest size group (0.2~0.5 mm) contributed the least to total biomass in both regions, but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SPWP than in the NECS. The percent composition in abundance of copepod taxonomic groups (i.e. Calanoida, Cyclopoida, and Poecilostomatoida) also fluctuated interannually. Mean composition of calanoid copepods was higher in the NECS than in the NSPWP, but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for poecilostomatoid copepods. Mesozooplankton biomass both in the NSPWP and in the NEC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ceanic $Ni{\tilde{n}}o$ Index (ONI), indicating declines in biomass during El $Ni{\tilde{n}}o$ periods and vice versa during Na $Ni{\tilde{n}}a$ period. The effect of El $Ni{\tilde{n}}o$ on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biomass was more prominent in the NSPWP than in the NE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sozooplankton biomass both in the NSPWP and in the NECS responded to El $Ni{\tilde{n}}o$ events, although the biological process that explain the reduced mesozooplankton biomass might be different in both regions.

도시화의 특징과 불평등도 분석 (Measuring Inequalitie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Urban Population)

  • 박주문
    • 한국인구학
    • /
    • 제18권2호
    • /
    • pp.98-114
    • /
    • 1995
  • 이 연구는 급격한 변동을 겪어 온 한국사회에서 도시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도시인구의 분포의 측면에서 불평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 연구결과 1966-70년 사이에 급격히 이루어진 도시화의 성격이 부각되었고, 또 도농간의 성장속도의 차이도 아주 높았음이 드러났다. 무엇보다도 서울의 수위도시성이 명백히 드러났다. 하지만 서울의 수위도시성은 1970년이래 서서히 감소되기 시작했고, 불평등지수인 지니계수를 통해 검증한 결과 1970년에 비해 1990년의 도시인구분포의 불평등성은 완화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큰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다.

  • PDF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년 비만여성의 체형연구 (Study on the body shapes of old aged obese women for the activation of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 성옥진;김숙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5호
    • /
    • pp.755-767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body-type characteristics of 340 old-aged obese women that had been on the rise as a part of efforts to activate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The subjects were in the age range of 60-79 and met some obesity requirements, including a Rohrer Index of 1.6 or higher, a BMI of 25 or higher, and a WHR of 0.85 or higher. Old-aged obese women showed increased thickness of the torso with age, which suggests that they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regardless of gender. In other words, they became bigger in the waist and abdomen, shorter in height, slimmer in the lower body, and thicker in the torso. There are three types of obesity: Type 1 is lower-body obesity with a higher degree of obesity in the abdomen than the upper body. Type 2 is abdominal obesity with a higher degree of obesity in the upper body than in the lower body. Type 3 is whole-body obesity with balanced obesity of the whole body. As for changes to the types of obesity according to age, those who are in their sixties usually fall into the categories of upper-body and whole-body obesity, and those who are in their seventies are much more concentrated in the categories of abdominal obesity and upper-body obesity with a decreased percentage of whole-body obesity. It is apparent that the percentage of abdominal and upper-body obesity rises with age due to fat accumulation in the abdomen.

유리섬유 제조업체 근로자의 건강장해 (Medical Surveillance of Glass Fiber Workers in Korea)

  • 이세휘;김규상;최정근;김양호;강성규;최경숙;문영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2호
    • /
    • pp.187-198
    • /
    • 1996
  • The industrial use of MMMF(man-made mineral fibers), has been increasing, particularly since the banning of most asbestos products. Fibrous minerals can cause health abnormalities currently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exposure to glass fib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ealth risks of glass fiber manufactory workers within the country. We examined questionaries, physical examination including auscultation, chest x-ray, pulmonary function test for 488 male workers, to go through their dermal itching symptoms and respiratory evaluation. we had the results as follows. 1. In 45% of the workers itching had been expressed at their entrance. At that time we was investigating, 18.5% had itching, and most of them complained it when they fall asleep and night. The Sequent itching site is waist and groin, upper and lower extremity in order, and it had been expressed mainly during summer and winter. 2. As the results of ventilatory functions test, 6.0% were obstructive type, 1.0% were restrictive type. So, glass fiber exposures should be controlled or elimination by protective devices in the workplace. 3. The means of FVC, $FEV_1,\;FEV_1%$ were in normal range. As the comparison of ventilatory functions by age groups, MMF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group, 50 years old and more than other groups. And the comparison by the serving periods at glass fiber producing factory, MMF was decreased for the workers had worked for $11\sim15$ years. Therefore, MMF be more sensitive index in the evaluation of ventilatory impairments caused by glass fiber workers.

  • PDF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atient Safety Violation Scale in Medical Oncology Units in Iran

  • Shali, Mahboobeh;Ghaffari, Fatemeh;Joolaee, Soodabeh;Ebadi, Abba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341-4347
    • /
    • 2016
  • Background: Patient safety is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nursing care for cancer cases. Valid and reliable context-based instruments are necessary for accurate evaluation of patient safety in oncology uni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tient Safety Violation Scale in medical oncology units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methodological study, a pool of 58 items was generated through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 The validity of the 58-item scale was assessed through calculating impact score, content validity ratio, and content validity index for its items as well as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evaluated by assessing its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stability. Study sample consisted of 300 oncology nurses who were recruited from thirteen teaching hospitals affiliated to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ehran, Iran. Results: Sixteen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scale due to having low impact scores, content validity ratios, or content validity ind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maining 42 items were loaded on five factors including patient fall, verification of patientidentity, harm during care delivery, delay in care delivery, and medication errors. These five factors explained 62% of the total variance. The Cronbach's alpha of the scale and the test-retest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equal to 0.933 and 0.92,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42-item Patient Safety Violation Scale is a simple and short scale which has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Consequently, it can be used for assessing patient safety in clinical settings such as medical oncology units and for research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