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nvironment and Benthos in the Intertidal zone of Haenam peninsula, Korea

해남반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상에 관한 연구

  • SHIN Sook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Mokpo National University)
  • 신숙 (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3.01.01

Abstract

We identified the benthos collected from intertidal zone in Sacho, Naedong, Oran and Kusong of Haenam peninsula in October, 1990 and May, 1991 and examined the distribution pattern on the bases of the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and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sediment including the grain component. The identified benthos consisted of 141 species and 4,641 individual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Mollusca, Arthropoda and Annelida occupy more than $85\%$ of the total number. When the intertidal zone were divided into soft area and rocky area the species found in rocky area(114 species) were present in a more diverse way than that in soft area(69 species). The composition of species found in 4 localities turned out to be very similar in soft area while in rocky area the most diverse species were found in Kusong. The seasonal appearance frequency of species and individuals showed that the number collected in the spring(106 species, 3,002 individual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fall(85 species, 1,639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erithideopsilla djadjariensis belonging to Gastropoda, Mollusca(412 individuals) and the species collected more than 200 individuals were 5 species of Mollusca and 1 species of Arthropoda.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4 localities was in the order of Kusong, Oran, Naedong and Sacho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gions. The dominance index was low in Kusong and was high in Sacho. The index of interstational species similarity in soft sediment was very similar with $0.44{\sim}0.53$ value and the index was quite high in Kusong and Oran. This agrees very well with the similarity of the grain component of sediment. In case of rocky area the index was quite low with 0.27 for Kusong and Sacho situated far away from each other. Thu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species was subjected to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the grain component of sediment and the content of organic materials including the geographical factor.

해남반도의 사초리와 내동리, 어란리, 구성리의 조간대에서 1990년 10월과 1991년 5월에 채긱된 저서동물을 동정하였으며, 저질의 이화학적 분석과 저서동물 군집구조 분석에 의해 그 분포상을 조사하였다. 저질의 pH는 봄철에 $7.72{\sim}7.89$로 가을철에 $7.44{\sim}7.78$보다 약간 더 높았고 사초와 내동보다는 구성과 어란리의 pH가 약간 높았다. COD는 $1.40{\sim}3.39mg/g$이었고 전질소량은 $0.25{\sim}1.77mg/g$, 유효인 함량은 $6.54{\sim}9.71ppm$이었다. 저토의 입도조성은 구성리가 점토성 양토, 어란은 점토성 미사양토, 사초는 사질성 양토, 내동은 양토성 사질이었다. 유기물 함량도 $1.45{\sim}4.13\%$로 봄철이 가을철보다 약간 높았고 구성과 어란에서 높고 내동에서 낮았다. 조사기간중 채집된 저서동물은 10문 17강 78과 122속 141종(4,641개체)이었다. 종수와 개체수에서 각각 연체동물($49.6\%,\;74.3\%$), 절지동물($22.7\%,\;16.2\%$), 환형동물($12.8\%,\;5.6\%$)이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조간대를 모래${\cdot}$진흙지대와 암반지대로 나누어 조사하여 보면 모래${\cdot}$진흙지대(37과 69종)보다 암반지대(66과 114종)에 종이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모래${\cdot}$진흙지대에서는 4개지역의 종의 구성상태가 비슷하였으나 암반지대에서는 구성리(81종)에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계절별 종수와 개체수는 가을철(85종 1,639개체)보다 봄철(106종 3,002개체)에 증가하였고 지역별 출현 빈도를 보면 구성(100종 1,273개체)이 가장 높았고 사초(48종 909개체)가 가장 낮았다. 우점종은 연체동물의 복족류 Cerithideopsilla djadjariensis(412개체)이었으며 개체수가 200개 이상 채집된 종은 복족류 4종, 부족류 1종과 절지동물의 만각류 1종 등 6종이었고 100개 이상 채집된 종은 복족류 4종과 부족류 2종, 절지동물의 게류 1종과 극피동물의 해삼류 1종이었다. 종다양성 지수는 구성(1.58)과 어란(1.50), 내동(1.45), 사초(1.23)의 순으로 지역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우점도 지수는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구성에서 낮았고(0.04) 적게 나타난 사초에서 높았다(0.09). 각 지역간의 유사도 지수를 보면 모래${\cdot}$진흙지대에서는 4개 지역의 지수가 $0.44{\cdot}0.53$으로 비슷했으며 구성과 어란에서 서로 유사도가 높았다. 이는 저토의 입도조성에 있어서 유사한 점과 일치한다. 그러나 암반지대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는 구성과 사초가 0.27로 낮았다. 따라서 종의 분포상태는 지리적 요인을 포함하여 저토의 입도조성과 유기물 함량 등 이화학적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