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tors of traffic accidents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3초

PM (Personal Mobility) 교통사고 특성 및 사망사고 발생 요인 분석 (Analysis of PM (Personal Mobility) Traffic Accident Caracteristics and Cause of Death)

  • 한상연;이철기;윤일수;윤여일;나재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00-11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최근 3년간 발생한 PM 사고 1,603건과 자전거 사고 14,672건을 수집하여 PM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PM 교통사고는 특성을 상세 분석하기 위하여 제1 당사자와 제2 당사자로 구분하여 도로 등급별, 도로 유형별, 기상 상태별, 사고 유형별, 주야간 발생, 차종별 현황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PM 사고는 2019년에 전년 대비사고 발생은 129%, 사망자는 200% 이상 증가하였으며, PM 교통사고 중 보행자와 사고 비율이 자전거 사고에 비해 높게 나타나 PM의 통행 방법에 관한 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PM 사망사고 20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분석하여 교통사고 요인을 명확히 분석하였다. PM 사망사고는 차량 단독사고가 50%이며, 단독사고 10건 중 7건이 야간에 발생하였다. 이는 PM의 경우 도로의 파임 또는 과속방지턱 등 장애물로 인하여 전도 또는 전복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량화 이론을 이용한 도시부 터널 내 교통사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Traffic Accidents in Urban Tunnel Using Quantification Theo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임창식;최양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73-185
    • /
    • 2015
  • 본 연구는 통계적 분석기법을 통하여 부산시내에서 운영 중인 11개 터널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456건을 대상으로 교통사고의 발생특성, 유형화 및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교통사고 발생특성으로는 시간대별 터널 내 교통사고 08~18시 사이가 전체의 64.9%를 차지하고 있어 기존 도로의 45.8~46.1%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사고유형별로는 차대차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차량단독사고는 기존도로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층별로는 21~40세의 구성비가 높았고, 제1당사자 차종별로는 화물차의 비중이 높았고, 운량별로는 맑은 날을 제외하고 비가 오는 날이 흐린 날 보다 더욱 높은 수치를 보였다. 교통사고 영향요인에 대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1주성분은 도로, 터널구조 및 교통류 관련요인이, 제2주성분은 조명시설 및 도로구조 관련요인이, 제3주성분은 대기상태 및 조명시설 관련요인이, 제4주성분은 인적 및 시계열 관련요인이, 제5주성분은 인적요인이, 제6주성분은 차량적 요인과 교통류 관련 요인이, 제7주성분은 기상요인으로 대별되었다. 교통사고 발생지점에 대하여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최적 집단수는 5개로 구분지어 졌으며, 집단별로 수량화이론 1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제1집단은 예측모델의 설명력이 낮은 반면 제4집단은 예측모델의 설명력이 중간정도, 제2, 제3, 제5집단은 높은 설명력을 가진 예측모델이 구축되었다. 예측모델의 편상관계수 절대 값이 0.2(약한 상관) 이상인 항목(주성분) 중에서 도로환경적 요인이 포함된 변수를 체크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검토항목은 적절한 교통류 처리, 횡단구성(차로폭), 터널구조(터널길이), 도로선형, 환기시설, 조명시설로 요약되었다.

교통문화지수 영향요인에 의한 유형화와 영향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ing and Grading by the Impact of Traffic Culture Index)

  • 정철우;정헌영;고상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3
    • /
    • 2006
  • 본 연구는 교통안전공단과 사단법인 녹색교통운동이 공동으로 개발한 교통문화지수와 관련한 2002년과 2003년의 전국 81개 도시 자료를 토대로 통계적 분석을 행하여 이들 대상도시들을 유형화하고, 집단별 영향요인에 근거하여 교통사고 예방대책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통문화지수와 영향요인들에 대한 주성분분석 결과로는 4개의 주성분으로 구분 지울 수 있었으며, 도시 특성별 최적 집단 수는 4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유형화된 집단별 교통문화지수에의 영향요인을 단계별 다중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 집단 모두 높은 설명력을 갖는 회귀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각 집단별 교통사고 예방대책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투자된 시설이 얼마나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적이었는가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음을 향후의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Working Conditions, Job Strain, and Traffic Safety among Three Groups of Public Transport Drivers

  • Useche, Sergio A.;Gomez, Viviola;Cendales, Boris;Alonso, Francisc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4호
    • /
    • pp.454-461
    • /
    • 2018
  • Background: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social work factors have acquired an important role explaining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drivers, including those working in the field of public transpor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ain and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transport drivers and to compare the expositions with psychosocial risk at work of three different types of transport workers: taxi drivers, city bus drivers, and interurban bus drivers. Method: A sample of 780 professional drivers was drawn from three transport companies in Bogota (Colombia). The participants answered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and a set of sociodemographic and driving performance questions, including age, professional driving experience, work schedules, and accidents and penalties suffered in the last 2 years. Results: Analyse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measures of socio-labor variables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 such road traffic accidents and penalties. Furthermor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tributed to explain significantly suffered accidents from key variables of the Job Demand-Control model, essentially from job strain. In addition, throughout post-hoc analys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b strain, and job insecurity. Conclusion: Work stress is an issue that compromises the safety of professional drivers. This research provides evidence supporting a significant effect of job strain on the professional driver's performance. Moreov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axi drivers, city bus drivers, and interurban bus drivers in their expositions to work-related stress suggest the need for tailored occupational safety interventions on each occupational group.

교통사고로 수상한 임산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Injured Pregnant Women by the Traffic Accidents)

  • 김덕환;조영덕;김정윤;윤영훈;이성우;문성우;최성혁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132-138
    • /
    • 2012
  • Purpose: Trauma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maternal and fetal mortality,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maternal trauma is a traffic accident. In Korea, data about traffic accidents in pregnant women are not widely collected and classified so far. Hence, we studi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injured pregnant women by the traffic accidents.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August 2011, pregnant women who were in traffic accidents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were studied. Pregnancy out come and the degree of the damage were determined through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edical records. Results: The pregnant women who visited after traffic accidents were total 204 patients. Among them, 176 patients had no complication related to the traffic accidents, 28 patients had complications. The incidence of the complications in the 3rd trimester pregna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trimesters. The analysis based on the mechanism shows more complications in the pedestrian injury. In the survey by the type of the vehicles, the complications from the trauma associated with a car had lower incidence. The patients arrived at the emergency center by walking had greater numbers than who arrived by an ambulance in the groups occurred the complications. The patients suffered complications who complained pain in trunk especially in abdomen and pelvis than in extremities and complained vaginal discharge, and tho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reater incidence. Conclusion: When pregnant women were injured by the traffic accidents, the factors related to the poor pregnant prognosis were trimester of pregnancy, means of visiting the emergency center, trauma mechanism, and complaining symptoms. Therefore, these factors may be used as a prognostic tool to predict an incidence of complications, length of hospital stay and rate of complications and can be used to plan for treatments.

유전자 알고리즘과 신경망 이론의 결합에 의한 신호교차로 위험도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Hazard-Level Forecasting Model using Combined Method of Genetic Algorith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김중효;신재만;박제진;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4D호
    • /
    • pp.351-360
    • /
    • 2010
  • 2010년 말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등록대수는 1,748만 대에 육박할 정도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인 교통사고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전자 알고리즘과 신경망 이론의 결합에 의한, 향상된 신호교차로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장래 교통사고 안전대책 수립시 근간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교통사고와 교통혼잡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접근로별 교통량과 도로 기하구조 요소를 파악하였고, 교통사고와 교통상충간의 순위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파악하였으며, 교통사고와 교통상충을 적용한 선형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두 번째로, 유전자 알고리즘과 신경망 이론의 결합에 의한 신호교차로 위험도 예측모형은 신호교차로 교통량 및 도로 기하구조 요소, 교통상충의 특성변수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신호교차로 교통사고건수 실측값과 개발모형의 예측값에 대한 적합도 분석을 통해 신뢰수준을 검증한 결과, 개발모형의 신뢰도와 정확도가 기존의 모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통사고위험도 예측모형을 신호교차로 교통안전정책 수립과 교통안전개선사업에 사용할 경우, 전반적으로 교통안전관련사업의 비용/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단속류 시설의 교통사고 유형별 유발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f Accident Types on Urban Stree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 김상록;배윤경;정진혁;김형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93-101
    • /
    • 2011
  •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발생현황은 2008년 기준 215,822건으로 예년에 비하여 소폭 감소하는 추세이나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그 중 단속류 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보행자들이 직접적으로 차량에 노출되어 차대사람 사고의 비율이 높아 심각한 결과를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교통사고의 유형별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단속류 시설에서 교통사고는 크게 차대차 사고와 차대 사람 사고로 그 성격과 특성이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 유형을 크게 두가지로 구분하고,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서대문구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의 심각도와 외생적 변수들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속류 시설에서 교통사고 유형별 요인을 구조방정식모형(SEM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도출해내고, 모형을 구축하여 유형별로 사고의 주요인들을 파악하여 비교하였다. 최종 모형에서 도출된 결론은 차대차 사고에서는 도로 요인이, 차대사람 사고에서는 환경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日週期)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ircadian Rhythm in Subjective Alertness on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 유범희;조두영;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68-75
    • /
    • 1994
  • 저자들은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교통량을 고려한 시간대별 교통사고 현황과 시간대별 전체사고에 대한 사망사고의 상대적 빈도를 조사하여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일주기 리듬 상 각성도가 가장 떨어지는 시기라 알려져 있는 오전 $3{\sim}4$시 전후 시간대에 교통사고 발생율과 치명적인 사고 발생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주관적 각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역상관관계를 보여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시사되었다. 교통사고 발생에는 이런 운전자의 생리적 요인 이외에도 운전환경에 해당되는 여러 가지 다른 요인들도 복합적으로 관련되게 마련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으로 주관적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 교통사고 발생에 얼마만큼이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평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교통사고 발생의 원인을 생리적인 현상인 각성도의 일주기 리듬이란 관점에서 조명하여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봤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앞으로 양자간의 좀더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교란변인들을 가능한 최소화시킨 잘 통제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고속도로 교통사고 시 돌발상황 지속시간 영향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Incident Duration Time by Expressway Accident)

  • 이기영;서임기;박민수;장명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85-94
    • /
    • 2012
  • 교통사고 발생시점부터 사고처리가 완료된 시점까지를 돌발상황 지속시간(Incident Duration Time)이라고 정의하는데, 이를 단축시켜야만 교통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돌발상황 지속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내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모든 사고자료에 포함한 통합 모형(모형1)과 일반구간, 교량, 터널 등 교통사고 장소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세부 모형(모형 2, 3, 4) 등 모두 4개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사고가 발생한 장소에 따라 돌발상황 지속시간에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 처리를 위한 작업차량 도착시간이 가장 민감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차-차 사고, 화물차에 의한 사고, 야간 사고, 주말 사고 등의 시사점 있는 요인들을 찾아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교통사고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판단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이용별 로터리 및 회전교차로 사고율 모형개발 및 논의 (Modeling and Discussing the Accident Rate Model of Rotary and Roundabout by Type of Land Use)

  • 이민영;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5-141
    • /
    • 2018
  • Rotary that causes traffic delays and safety issues by high-speed entry vehicles is currently being improved to roundabout. The operational difference between rotary and roundabout can cause driver's confusion and traffic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cident rate models which explain the factors related to the accidents by land use and intersection typ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 type of land use and two intersections do not affect the accident rate are rejected. Second, the conflicting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crosswalk and bicycle lan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reduce traffic accident at rotary. In the case of roundabout, greater than 3.5 m in circulatory lane width and two circulatory lane are analyzed to be important to prevent the accidents. Finally, the commercial and mixed areas are evaluated to be weak to traffic accidents than residenti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