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Incident Duration Time by Expressway Accident

고속도로 교통사고 시 돌발상황 지속시간 영향 요인 분석

  • 이기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서임기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박민수 (한국종합기술 도로공항부) ;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Received : 2011.09.28
  • Accepted : 2012.01.05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The term "incident duration time" is defined as the time from the occurrence of incident to the completion of the handling process. Reductions in incident durations minimize damages by traffic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model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incident duration by investigating traffic accidents on highways. For this purpose, four models were established including an integrated model (Model 1) incorporating all accident data and detailed models (Model 2, 3 and 4) analyzing accidents by location such as basic section, bridges and tunnels.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location of incident influences incident duration and the time of arrival of accident treatment vehicles is the most sensitive factor. Also,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with regard to vehicle to vehicle accidents and accidents by trucks, in night or in weekend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to develop future policies to manage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 발생시점부터 사고처리가 완료된 시점까지를 돌발상황 지속시간(Incident Duration Time)이라고 정의하는데, 이를 단축시켜야만 교통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돌발상황 지속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내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모든 사고자료에 포함한 통합 모형(모형1)과 일반구간, 교량, 터널 등 교통사고 장소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세부 모형(모형 2, 3, 4) 등 모두 4개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사고가 발생한 장소에 따라 돌발상황 지속시간에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 처리를 위한 작업차량 도착시간이 가장 민감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차-차 사고, 화물차에 의한 사고, 야간 사고, 주말 사고 등의 시사점 있는 요인들을 찾아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교통사고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판단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4), "고속도로 돌발상황관리시스템(1차년도 최종보고서)" 2003년 지능형 교통체계 연구개발사업, 주관 : 교통개발연구원
  2. 한웅구(2000), "유고지속시간 추정 모형식의 개발 ",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임성만(2003) "도시고속도로 돌발상황 감지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강수구, 도철웅, 손봉수, 이시복(2001) "고속도로 돌발상황검지 알고리즘 성능 개선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6호, 대한교통학회
  5. 변완희, 김대호(2001) "돌발상황 발생에 따른 대응의 체계화 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1호(통권53호), 대한교통학회
  6. 신치현, 김정훈(2002) "고속도로 돌발상황 지속시간 예측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7. 신치현(2004) "고속도로 돌발상황 지속시간 예측을 위한 Decision-Tree 개발", 대한토목학회지, 제24권 제5D호, 대한토목학회
  8. 하오근, 박동주, 원제무, 정철호(2010) "고속도로 사고등급별 돌발상황 처리시간 예측모형 및 의사결정나무 개발" 한국 ITS 학회지, Vol.9 No. 1, 한국ITS 학회
  9. FHWA(2000), Traffic Incident Management Handbook
  10. Garib et al(1997), "Estimating Magnitude and Duration of Incident Deley",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1. Gall, Ana I., and Hall, Fread L.(1989) Distinguishing between incident congestion and recurrent congestion: a proposed logic,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32
  12. Hellinga, Bruce and Knapp, Geoff(1999) AVI based freeway incident dete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3. Nam & Mannering(1998) an exploratory hazard-based analysis of highway incident dur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14. Ozbay & Kachroo(1999) "Incident Management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rtech House
  15. U.S. DOT(2001) Regional Traffic Incident Management Programs

Cited by

  1. Analyzing Traffic Impacts of the Utilitarian Robotic Autonomous Vehicle vol.16, pp.2, 2017, https://doi.org/10.12815/kits.2017.16.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