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tor Regression Model

검색결과 1,440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성인에서 혈청 지질성분비가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 평가: 코호트 연구 (Associations of Serum Lipid Profiles with Incid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s in Korean Adults: Retrospective Cohort Study)

  • 신숙희;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219-223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들의 허혈성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IHD) 발생률을 계산하고, 지질지표(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가 허혈성심장질환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파악하고자 19개 대학 및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417,642명을 대상으로 1993년 9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평균 8.5년동안 허혈성심장질환의 발생을 추적관찰하였다. 자료수집은 검진자들에 대한 설문조사지를 이용하였고, 허혈성심장질환의 발생여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였다. 발생률은 발생밀도로 계산하였고, 혈청지질 지표에 따른 허혈성심장질환의 발생 위험도는 콕스의 비례위험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연령, BMI, 생활양식을 보정한 상태에서 성별에 따른 위험요인별 위험비와 95% 신뢰구간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TC/HDL 비의 증가에 따라 IHD의 발생 위험비는 남자에서 1.21배에서 1.84배까지, 여자는 1.26배에서 1.86배까지 증가하였으며, TG/HDL 비의 증가에 따른 IHD의 발생 위험비는 남자에서 1.17배에서 1.49배까지, 여자는 1.42배에서 1.97배까지, LDL/HDL 비에 따라 IHD의 발생 위험비는 남자에서 1.26배에서 1.82배까지, 여자는 1.26배에서 1.68배까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혈청지질지표는 심혈관질환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혈중 농도가 높을수록,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낮을수록 IHD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TC/HDL 비, TG/HDL 비, LDL/HDL 비에서 단독의 지질지표보다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추후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는 혈청지질지표의 비도 감안하여야 한다.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일가치감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Work(PVW))

  • 손헌일;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77-87
    • /
    • 2018
  •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근로시간이 길고, 휴일의 패턴이 불규칙한 외식산업 종사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주목했다. 외식산업 종사자에게 중요한 일과 삶의 균형의 차원을 밝히기 위해 일과 삶의 균형을 일-가정, 일-성장, 일-여가 영역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외식산업 경영자들에게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가치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외식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 차원 중 일-성장균형과 일-여가균형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일-가정균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에 대해서, 독립변수인 일과 삶의 균형과 조절변수인 일가치감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일-성장균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립변수인 일-가정균형, 일-여가균형과 조절 변수인 일가치감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선택속성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 태도를 조절변수로 - (A Study on the Effect Franchise Restaurant Selection Motives on Visiting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or Effects of Consumer Attitude -)

  • 진양호;권혁성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63
    • /
    • 2016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고객들의 선택속성이 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소비자 태도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에 이르는 한 달간 조사기간을 두어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에서 방문하는 고객에게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첫째,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선택속성이 소비자들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친절성은 B=0.597(p<.001), 독특성은 B=0.210 (p<.001), 청결성은 B=0.230(p<.001)로 소비자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선택속성이 외식소비자의 방문의도 간에 소비자 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은 분석 결과, 1단계에서는 결정계수는 0.630, F=128.612(p<0.01)로 모형은 유의적으로 나왔다. 2단계 모형에서는 소비자태도의 추가로 인한 설명력의 증가는 6.1%이고, 이에 대한 F=58.656(p<0.01)으로 소비자태도의 추가는 유의적으로 나왔다. 3단계에서는 레스토랑 선택속성*소비자 태도의 추가적인 투입으로 인한 설명력의 증가는 0.6%이고, 이에 대한 F=1.585(p<0.01)로 조절효과는 유의적으로 나왔다.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선택속성과 소비자태도의 개별적인 조절효과를 보면 음식맛은 정(+)의 영향력이, 독특성은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고, 친절성과 청결성은 아무런 조절효과가 없었다.

치기공과 재학생의 건강관련 심신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sychosomatic self-reported symptoms of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s)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7-17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atabase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care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self reported psychosomatic symptoms among the current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Subjects of our study are 480 dental technology major students enrolled in a third year college located Gyeonggi,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 Using a random sampling, we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from August 30, 2011 to October 28, 2011 and 418 reports were collected as feedback and we put an analysis on them. Results: 1. The average physical self symptom was 20.49,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mental self symptom(18.54). Of the subcategories of psychosomatic self symptom, we observed multiple subjective symptoms as the highest one(37.77), and aggression as the lowest(13.77). 2. As to gender, both physical and mental self sympto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scale score of(p<.001). The scale score of subcategories is as follows; multiple subjective symptoms(I, p<.001), eye and skin(B, p<.001), digestive(C, p<.001), impulsiveness(H, p<.001), lie scale(L, p<.001), mental instability(J, p<.001), depression(K, p<.001), aggression(F, p<.001), irregularity of life(G, p<.001), mouth and anal(D, p<.05), nervousness(E, p<.05). 3. As for obesity,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with the scale scores of physical self symptom(p<.001), multiple subjective symptoms(I, p<.001), digestive(C, p<.001), aggression(F, p<.001), depression(K, p<.01), irregularity of life(G, p<.01), respiratory(A, p<.05), eye and skin(B, p<.05), impulsiveness(H, p<.05), mental instability(J, p<.05). The scale scores in the environmental 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shown as follows; depression(K, p<.001), lie scale(L, p<.01), and irregularity of life(G, p<.05). 4. We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ake account of general factors affecting psychosomatic self symptoms, and drew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proved with the scales of physical self symptom(4.1%) and mental self-symptom(3.6%). Obesity was a factor that affects physical self symptom with the scale score of(p<.01), and environmental quality and life satisfaction(p<.01) and obesity(p<.05) affect mental self symptom. Conclusion: In this analysis we observed obesity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can influence their psychosomatic self symptoms. In this sense, it would be reasonable to develop a healthcare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s that help the students maintain a healthy weight and promote their health.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은진;한지영;조나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191-201
    • /
    • 2016
  • 본 연구는 지방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간호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B시 종합병원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3.02{\pm}0.23$, 자기효능감은 $2.92{\pm}0.21$, 그리고 직무만족도는 $2.76{\pm}0.26$이었다.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325, p <.001).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 (${\beta}=.403$, t=5.327, p <.001), 자기효능감 (${\beta}=.238$, t=3.309, p=.001) 그리고 임상경력 (${\beta}=-.224$, t=-3.014, p=.003) 이었으며, 24.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지방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관리전략으로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업무체계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도시부부의 생활예절수행, 가족체계역동성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Dynamics of Family Sys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arried Couples)

  • 김연화;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8
    • /
    • 2003
  • In recent years,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observan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building healthy famil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member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dynamics of family sys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arried coupl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married couples with a child over four-years-old who are currently residing in Seoul. 513 couples(1026 individual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ronbach'α, Pearson correlation, paired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y was relatively high in both husbands and wives, an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Ye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ain sub-dimensions. Wives showed a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in public decorum and social etiquette, whereas husbands exhibited a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in family decorum and communication manners. The family systems were highly dynamic, according to both husbands and wiv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As for the sub-dimensions, the extent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husbands than among wive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gain relatively high for both husbands and wives, with husband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ves.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ausal model did fit the data well, and that a myriad of background variables ha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s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several variables in the sub-dimension of proprieties observanc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The implication is that the practice of life propriety, an intervening variable, is crucial in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coupl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y, family systems dynamic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observance of proprieties is shown to be a concept tha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redictor in the area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its focus on the practice of proprieties in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More concrete and specialized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build healthy families. Las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prieties education needs to be incorporated in family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y of family life.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erception, Exercise Needs, Self-Efficacy on the Frequency of Exercise among Diabetic Patient)

  • 박금옥;정수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연구이다. 2018년 6월부터 7월에 걸쳐, A광역시에 속한 두 개의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한 당뇨병 진단을 환자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설문지를 작성할 수 있는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술적 기술 통계량과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동빈도는 건강인식(r=..215, p=.043), 자기효능감(r=.44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운동욕구(r=.144, p=.304)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운동빈도에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440, p<.001)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8.4%(F=20.836, p<.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자기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운동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을 높이는 중재와 자기효능감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동, 즉 실질적 운동 자기관리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 참여 저해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Hindering Learners' Participation in Cyber Home Study in Elementary Education)

  • 신현정;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75-182
    • /
    • 2013
  • 이 연구는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참여율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8가지 잠정적 저해요인(학습동기 및 태도의 문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 컴퓨터 사용의 어려움, 새로운 학습방법의 어려움, 학습설계의 문제, 상호작용의 어려움, 화면설계의 문제, 환경상의 문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 참여 저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과 새로운 학습방법의 어려움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중에서 참여저해에 대한 영향력은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즉,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과 새로운 학습 방법에 대한 어려움이란 문제가 클수록 사이버가정학습에의 참여를 더욱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삼아 다음과 같은 초등사이버가정학습 참여율을 제고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참여 저해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학습자가 컴퓨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고 컴퓨터가 학습에 유용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사전 컴퓨터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이 학교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가정학습 운영 시 컴퓨터에 대한 부담감이나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지 고려해 초등학생에 맞는 적절한 학습설계를 제공해야 한다.

융복합조사자료를 활용한 수면시간과 악력 간 관련성 연구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Grip strength in Korean adults Using Convergence Survey Data)

  • 장세균;김재현;부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35-44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에게서 주중 및 주말 평균 수면시간에 따른 악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총 4,707명 성인을 대상으로 카이제곱 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중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인 군에 비해 9시간 이상인 군의 악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주말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에서도 7시간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의 경우 주중 평균 하루 수면시간이 7시간 군에 비해 9시간 이상 군의 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시간이 길수록 악력이 감소되는 것과 50세 미만보다 50세 이상에서 악력 감소와 관련하여 더 강한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하였다. 근력의 감소는 개인의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인자이며 악력은 이러한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지표로써 관련성에 대한 면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와 채소섭취 빈도에 기초한 만성질환 위험성 평가: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An Evaluation of Chronic Disease Risk Based on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Carbohydrates and the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in the Korean Elderly: Using the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서윤석;박민선;정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2
    • /
    • 2015
  • Objectives: Korean elderly people are known to consume diets high in carbohydrates low in vegetable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s study evaluated the chronic disease risks and nutritional status in this group based on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carbohydrates and the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Methods: Using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except those who were undergoing treatment for chronic disease, final 1,487 subjects aged 65 and older were divided into 4 groups: moderate carbohydrate energy ratio of 55~70% and low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defined as less than 5 times per day (MCLV), moderate carbohydrate ratio and high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more than 5 times (MCHV), high carbohydrate energy ratio above 70% and low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less than 5 times (HCLV), and high carbohydrate ratio and high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more than 5 times (HCHV). All data were analyzed after the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o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More than half of Korean elderly consumed diets with HCLV, and this group showed poor nutritional status and lower frequency of intake of most food items, but with no risk of chronic disease such as diabetes, obesity,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or anemia probably due to low intake of energy. On the contrary, MCHV group with a high percentage of energy from fat and protein showed the highest intake of energy and most nutrients, the highest frequency of intake of most of food items and a tendency of high risk of abdominal obesity, being followed by the MCLV group. Meanwhile, HCHV group showed a tendency of high risk of hypertension, followed by HCLV group with low frequency of intake of vegetables compared with the two moderate carbohydrate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carbohydrate and the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affected the nutritional status, but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elderly. Further studies using more detailed category of % energy from carbohydrates and of type and amount of vegetables with consideration of individual energy intake level, excessive or deficient, are needed to confirm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