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y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1,423건 처리시간 0.031초

사출가공공정에서 설비생산성 향상을 위한 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of Equipment Productivity in Injection Machining Process)

  • 박준병;배영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9-226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application cases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enhancing facility productivity of industry filed around medium and small facility processing companies and finds the inefficiency of the existing management model. Following items are researched to seek out methods and measures to maximize facility productivity through empirical analysis by exploring and establishing a new management model. First, the empir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overall equipment efficiency index used for facility productivity management in the companies has a difficulty being used as the index for it in actual medium-small processing companies. Second, a new facility management system model applying standard cycle time is suggested among facility management index system to measure facility productivity. Third, the empirical analysis is used to verify that develop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model is a useful method to manage the facility productivity by applying the model to actual medium-small processing compani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omparison analysis on whether actual productivity enhancement induces a distinctly different result by using a new facility management index system model to be inhibited in this study.

GIS를 이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for Development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양인태;유영걸;천기선;박재국
    • 산업기술연구
    • /
    • 제23권A호
    • /
    • pp.101-107
    • /
    • 2003
  • In university of Korea, the computerization of facility management is lower level than other management areas such as educational matters, administration, library, computing center, teaching assistance, and teaching methodology. So we need urgently the blueprint for an information-oriented and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 this research, It is presented and implemented an FMS(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on a campus. This studies is computerized the drawings, protocols, and ledgers. It is used a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get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facilities. The data more efficiently could be search and update on this system. The decision making process understanding the present facility condition, and analyzing the condition of location could be performed easily by the GUI(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system.

  • PDF

대학시설관리를 위한 평가분류체계 및 평가항목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Category and Items for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 유수훈;이화룡
    • 교육시설
    • /
    • 제15권6호
    • /
    • pp.22-29
    • /
    • 2008
  • For university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to be public, and to increase the administrational efficiency, this research suggests an efficient as well as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index to allow national and university finances to contribute towards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evaluation system for university facility can be wid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lity and space management. First, quality management is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in order for quantitative management, school site and building area, secured building, and financial affairs and expense management. In order for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space management, the second category of space management proposes seven subdivisions. Based on these subdivisions, quality management on university facility contains 10 evaluation items with marking system which allows perfect score of 50 points. The space management category contains 19 evaluation items and the marking system allows perfect score of 100 point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otal of 29 evaluation items for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with marking system that allows perfect score of 150 points. The suggested evaluation system and items will be used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efficient and objectiv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GIS를 이용한 대학시설물 관리시스템 개발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amp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Focused 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이승엽;임용호;최현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7
    • /
    • 1998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대학시설물 관리시스템의 개발을 수행한 결과를 다룬 것으로 시설물 관리에 GIS를 적용했을때의 장, 단점과 시스템의 개발과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시설물 관리란 사람들과 조직의 작업을 물리적인 작업공간과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시설물의 관리비용이 높아지고 합리적인 관리가 요구되기에, 이러한 조직들은 기존의 시설과 집기의 사용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더 이상의 불필요한 투자를 방지할 필요가 생겼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한 대학 시설물 관리 시스템 구축하는데 있다. 먼저 국립지리원의 1/5,000지도와 1/600의 측량도를 바탕으로 베이스 맵을 구축하고 제나시스의 제니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교내 각종 시설물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지형정보관리, 지하매설물관리 그리고 시설물 관리의 3가지로 구분되며 각각의 속성정보를 이용함으로서 현재의 합리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적인 개발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버전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ersion Management Facility)

  • 배상호;이영걸;오원진;한승희;배연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7-420
    • /
    • 2007
  • Mobi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a on-site management tool to collect and update various facility data. But there is a chance to make a data inconsistency between lot of concurrent workers. A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requires to keep records about work log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 efficient data synchronization mechanism using version managent technique on large facility data in concurrent work environment. And proposed system is able to keep workers update log persistently.

  • PDF

버전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ersion Management Facility)

  • 이영걸;배상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9-155
    • /
    • 2007
  • 모바일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데이터에 대한 이동 관리를 지원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갱신할 수 있게 하지만, 해당 지역의 다수 작업자간의 동시 작업으로 인해 데이터의 불일치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작업자의 갱신 내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설물 데이터에 대한 작업 이력은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의사 결정 정보로 시스템에서 영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버전 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다른 동시 작업자와 서버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내역을 영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현한다.

Life-cycle Management를 활용한 공공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Life-cycle Management)

  • 전익성;손정락;김경숙;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55-63
    • /
    • 2004
  • 유지관리 분야는 다른 단계에 비해서 법과 제도가 미비하고, 관계기관 및 건축주가 이에 대한 대비가 충분하지 못하여 건축물의 수명이 물리적인 수명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건설제단계의 Life-cycle을 고려하면 전체 공용수명 중 유지관리단계가 전체의 $70\%$가량을 점유하고 있어서 건설산업의 합리화를 위에서 유지관리에 대한 관리체계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운용 중인 유지관리 시스템은 주로 하자발생시 이를 처리하는 하자대응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른 단계와의 정보 공유는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공동주택을 비롯한 건축물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기존 제도, 법규 및 정책 등은 신규 건설시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기존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는 아직 제대로 정비되어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효율적인 $운영\cdot관리\cdot활용$을 위하여 공공시설물 유지관리 체계의 현황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구축방향을 제시하며, 나아가 정부주도로 구축되고 있는 건설정보 시스템을 구축에 대응하여, 현행 유지관리 정보시스템의 발전방향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 시설관리기관의 시설관리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n Improv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s)

  • 김창덕;이현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2-42
    • /
    • 2018
  • 시설 관리는 시설의 자산적 가치뿐만 아니라 시설 환경 및 사용자 성능까지도 시설 관리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시설 전체 생애 비용 중 운영 및 관리 비용은 시설의 용도와 사용 정도에 따라서 초기 건설비용의 3배에서 10배에 달한다. 효율적인 시설 관리는 다양한 용도로 건설된 다수의 시설을 관리하는 공공 시설관리 기관의 경우 더욱 중요하며, 특히 제한된 자원(인력/장비 등)과 제한된 예산으로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시설을 관리할 때 이 중요성은 증폭된다.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16개의 공공 시설관리기관의 시설관리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주요 조사 항목은 1) 시설 관리 시스템 구성 및 활용현황, 2) 중장기 수선 계획 수립 및 활용현황, 3) 수선대안 선정 시스템 수립 및 활용현황 등이다. 본 연구는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지방 공공 시설관리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설관리 시스템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BIM 기반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 정의 - BIM기반 시설물관리 사례와 프로세스 분석 - (Data analysis for facility maintenance based on BIM - Case studies of facility maintenance based on BIM and practical process -)

  • 김도영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11
    • /
    • 2020
  • The introduction of BIM technology is expanding not only in the field of design and construction, but also in the maintenance and use stage. In particular, researchers are looking to build a smart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integrates advanced IT technology and BIM. This study proposes the parts to be used and added to the BIM information, focusing on information generated and exchanged in the application case that is an issue during the current facility maintenance work by introducing the smart facility management technology and its use cases.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posal is compared with the scenario in which BIM-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is applied and the current business scenario. In conclusion, the requirements for smart facility management are analyzed, and linkable parts between facility management tasks and BIM data that should be reflected in th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re presented. In the maintenance phase, through the use case scenario, the facility management phase i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work.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ies required for each task is specified. Furthermore, it is examined whether BIM data and IT information can be linked with exist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s. It is a process and guideline that can be provided to practitioners who want to introduce BIM and smart technology to facility management. It can define the required data items and levels according to the required information step by step based on the maintenance case.

야외 조명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Outdoor Light Facility)

  • 전창대;장병건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5-21
    • /
    • 2006
  • 본 논문은 인터넷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야외 조명시설 관리 시스템의 개발하고, 제어함과 조명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관하여 연구한 내용이다. 또한 연구 결과물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는 양식을 기초로 개발하여 새로운 시스템의 적용 시 적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야외 조명시설 관리를 통하여 조명시설 정보의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통하여 인력 및 유지보수비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