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6초

장애학생을 위한 대학캠퍼스 옥외매개시설의 실태에 관한 조사 분석 (The Survey Analysis on the Exterior Connection Facility Conditions of University Campuses for Handicapped Students)

  • 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1-28
    • /
    • 2012
  • Campus facilities were recently remodeled to provide the substantial learning rights of handicapped students in many campus to embody the dignity and value as man. 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terior connection facilities for handicapped students of S and D campuses. The summari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stallations of even crossing area(1.5mx1.5m) per 50m and even rest area(1.5mx1.5m) per 30m in walking or access ramp. Improving in accordance with exterior connection facility repairing master plan in S campus. Bringing down an angle degrees of the inclined walking or access ramp in D campus. Installation of exterior braille guide sign for blind students. All handicapped students must be guaranteed the same learning rights as normal men to remove obstacles as the upper mentioned imperfections in using exterior campus facilities.

장애인 편의시설 설계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Guide-lines for the Handicapped People)

  • 강병근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6권11호
    • /
    • pp.7-16
    • /
    • 2000
  • This study shows the 'design guide-line' for the handicapped people who uses certain buildings or facilities, for Barrier Free. It has the object that they are able to utilize the facilities in the variable buildings basically and to approach to informations without difficulties. So, it can be used as 'design guide-line' for the handicapped people through several architectural criterions.

  • PDF

시각장애인의 여객시설 내부편의시설 이용증진을 위한 무장애 공간 분석(광명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Non-Barrier Space to Promote the Uses of Convenience Facilities at Passenger Facilities by the Visually Handicapped)

  • 김동문;김황배;박재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40
    • /
    • 2008
  • 선진사회의 지표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보편적 삶의 질의 수준과 그 만족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편적 삶의 질은 사회적 약자들의 측면에서는 도시공간으로의 접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각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들은 도시공간에서의 관심 시설물에의 접근과 이동권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특히 여객시설과 같은 시설물간의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환승시설과 그 내부의 장애인 편의시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장애인 편의시설은 각 시설물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되므로, 이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이용자의 의식조사나 관련 통계 분석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공간(Spatial)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이 가능한 GIS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여객시설의 내부편의시설 이용증진과 이동권 확보를 위한 무장애 공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장애공간이 존재하여 신속한 보완이 필요하였으며, 다양한 내부편의시설의 이용증진을 위해서는 점자블록과 같은 장애인 편의시설의 확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교통복지시설이 교통약자에 미치는 영향: 대중교통특성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f Influences Transportation Welfare Facilities on the Mobility Handicapped: Focusing on the Factors of Characteristics Public Transit)

  • 오은열;신준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85-93
    • /
    • 2022
  • 2019년 말 기준 전국의 총 인구는 51,849,861명 이며, 최근 5년간 세대 당 인구는 2015년 2.45명/세대에서 2019년 2.31명/세대로 연평균 1.52%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연령대별 인구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65세 이상의 고령자 비율이 부산광역시가 18.2%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특별자치시가 9.4%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9년 기준 교통약자에 대한 인구는 전국 15,219천 명으로 전국 인구대비 약 29.4%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편의시설에 따른 이동권 확보가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위한 교통약자중심의 교통복지시설에 가치를 두고, 특히 고령화 사회의 진입과 교통약자의 지속적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대중교통시설인 교통복지시설이 교통약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주요선행연구와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 분석방법 결과를 제시하였다.

교통약자의 대중교통환승을 위한 K경로 알고리즘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K-path Algorithm for the Transit Transfer of the Mobility Handicapped)

  • 김응철;김태호;최은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97-206
    • /
    • 2011
  • 정부는 교통약자에게 이동성을 확보해 대중교통 이용의 형평성을 제공하기 위해 교통수단과 시설공급 위주의 개선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위주의 공급만으로 효과적인 교통약자 이동편의성 증진을 도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므로 보다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교통약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기피하는 요소와 선호하는 요소를 분석하여 필요에 부합하는 경로정보제공서비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입링크기반의 전체경로삭제방법을 네트워크에 확장 적용해봄으로써 링크(수단)통행경로를 최소통행시간 순으로 탐색하는 K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통약자의 특성을 반영한 경로정보제공알고리즘 및 그 적용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해당 알고리즘에서 교통약자의 특성은 환승속성으로 반영하였으며, 환승속성은 교통약자의 유형에 따른 상이한 환승도보시간과 환승이동시 필요한 편의시설의 유무와 선호하는 시설에 따른 가중치를 둠으로써 적용하였다. 또한 해당 알고리즘에 대한 실제 네트워크에서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전철망을 노드와 링크의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K경로탐색 알고리즘의 적용성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확장성이 확인되었다.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약자 대중교통 환승통행패턴 분석: 버스 지하철 간 환승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Transit Transfer Patter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Traffic Card Big Data: Focus on Transfer between Bus and Metro)

  • 권민영;김영찬;구지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71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이동에 불편을 겪는 교통약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는 이동편의시설 설치 확대 등 교통약자에 대한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기존 대중교통 이동편의시설 설치는 역사의 면적, 층수, 시설 미확보역 등의 양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우선적 확대·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 기준 보다는 실제 이용자 기준의 설치 필요 지역에 이동편의시설을 확보하는 것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기반의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의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스마트카드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승통행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용자별 환승통행패턴 분석 및 환승통행시간 차이가 큰 경로를 기준으로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일반 이용자보다 교통약자의 환승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과 교통약자의 환승통행시간 차이와 시설물 개수와의 상관관계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장 조사 결과 환승통행시간 차이는 시설물의 단순 개수보다는 해당 환승최단경로 내 이동편의시설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 확대 시 실질적 이용자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환승취약지점을 기준으로 우선적 시설 확보 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가 보다 더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남해안 해수욕장 편의시설의 무장애 실태조사 및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about Barrier-Fre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Beach Facilities)

  • 김현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5-52
    • /
    • 2014
  • Recently, Korean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leisure time as the Korean economy has enjoyed the economic growth on a continual basis. Along with it, the disabled people's demand for enjoying the beach is growing. To meet the disabled people's demand for enjoy the beaches,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 convenient facilities where the disabled people in the wheel chair can use comfortably, including the handicapped parking area, toilet for the disabled, shower stall room and am bathhouse. On the backdrop of this, the study has been made on the obstacles which keep the disabled people from using the convenient facilities installed on 12 beaches in the southern coat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barrier free design. This study showed that half of the beaches in question did not have the handicapped parking places. The parking space was also so narrow that it was difficult for handicapped people to access the parking lot with their vehicles. There were also 3 beaches which did not have the toilet for the disabled. Even the beaches which have the toilet for the disabled, the size of entrance door and floor space was so narrow and there were a lot of physical obstacles such as no handles for the disabled people that it was really hard for the disabled people in wheelchair to use them.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Managemen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37-16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ides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framework on the strategy to enh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braille librar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the interview, and the observation of the data collection techniques are used in the study, and the braille libraries throughout Korea which are in operation a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and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braille libraries, about 70%, are located in Seoul. It thus appears that this geographical unbalance cause the visually handicapped inconvenience in use, who is especially living at the regions where no braille library is located nearby. 2.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first of all, the limited scope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poor volume of the collections should be resolved as soon as possible. 3. Most of the libraries are neither equipped with necessary facilities to publish in braille nor secured the supporting instruments which facilitate to us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satisfactorily. 4. The collection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onsist of the brailles and the recordings mainly. Because the visually handicapped is difficult to access and visit at the libraries alone, these materials are generally circulating rather outward by postal service than inward. 5. The qualified staff who has the very responsible position for reading and circulation is required to have educational backgrou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have passion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to have abilities to understand and translate the materials in brail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