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Region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31초

퍼지 색상 필터를 이용한 얼굴 영역 추출 (Extraction of Facial Region Using Fuzzy Color Filter)

  • 김문환;박진배;정근호;주영훈;이재연;조영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47-149
    • /
    • 2004
  • There are no authentic solutions in a face region extraction problem though it is an important part of pattern recognition and has diverse application fields. It is not easy to develop the facial region extraction algorithm because the facial image is very sensitive according to age, sex, and illumination.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 fuzzy color filer based on the facial region extraction algorithm is proposed. The fuzzy color filter makes the robust facial region extraction enable by modeling the skin color. Especially, it is robust in facial region extraction with various illuminations. In addition, to identify the fuzzy color filter, a linear matrix inequality(LMI) optimization method is used. Finally, the simulation result is given to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 PDF

동영상에서 얼굴의 주색상 밝기 분포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영역 검출기법 (Using Analysis of Major Color Component facial region detection algorithm for real-time image)

  • 최미영;김계영;최형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29-339
    • /
    • 2007
  • 본 논문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시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명환경에서도 실시간 적용이 가능한 얼굴영역 검출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연속된 두개의 연속 영상에서 에지 차영상을 구하고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영상과의 차분 누적영상을 통해 초기 얼굴영역을 검출한다. 초기 얼굴영역으로부터 외부 조명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검출된 초기 얼굴영역의 수평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객체영역을 이분하며, 각각의 객체영역에 관해 주색상 밝기를 구한다. 배경과 잡음 성분을 제거한 후, 분할된 얼굴영역을 통합한 주색상 밝기 분포를 이용하여 타원으로 근사화 함으로써 정확한 얼굴의 기울기와 영역을 실시간으로 계산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조명조건에서 얻어진 동영상을 이용하여 실험되었으며 얼굴의 좌 우 기울기가 $30^{\circ}$이하에서 우수한 얼굴영역 검출 성능을 보였다.

  • PDF

안면열에 대한 고찰 및 안면열 환자의 교정 치험예 (A STUDY OF THE FACIAL CLEFT AND CASE REPORT OF FACIAL CLEFT PATIENT)

  • 임용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93-608
    • /
    • 1990
  • Facial cleft is not a common anomaly of craniofacial region. But it is often accompanied with cleft lip and/or palate, so it seems important to orthodontist. Facial cleft is defined as a fissure or elongated opening of the facial region, and it's etiology is the failure of the fusion of the parts which will form the face in embryonic developmental period. Facial clef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area involved during developmental period. It developes 1-2.5 weeks earlier than cleft lip and/or cleft palate. In facial cleft, the deformity is generally confined to the facial region, but sometimes deformity of other body region can accompany. The interaction of the facial cleft and the genetic anomaly is not confirmed, but genetic anomaly is known to be able to occur with the patient with other anomaly of body. As an orthodontist we should know the general considerations of facial cleft and it's treatment procedures other than orthodontic treatment.

  • PDF

Fear and Surprise Facial Recognition Algorithm for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 Kwak, NaeJoung;Ryu, SungPil;Hwang, Il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51-55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risk situation recognition using facial expression. The proposed method recognitions the surprise and fear expression among human's various emotional expression for recognizing dangerous situation. The proposed method firstly extracts the facial region using Harr-like technique from input, detects eye region and lip region from the extracted face. And then, the method applies Uniform LBP to each region, detects facial expression, and recognizes dangerous situation.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for MUCT database image and web cam input.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good results of facial expression and discriminates dangerous situation well and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is 91.05%.

얼굴 표정인식을 이용한 위험상황 인지 (Facial Expression Algorithm For Risk Situation Recognition)

  • 곽내정;송특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200
    • /
    • 2014
  • 본 논문은 얼굴의 표정 인식을 이용한 위험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인간의 다양한 감정 표정 중 위험상황을 인지하기 위한 표정인 놀람과 공포의 표정을 인식한다. 제안방법은 먼저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검출된 얼굴 영역으로부터 눈 영역과 입술 영역을 추출한다. 각 영역에 Uniform LBP 방법을 적용하여 표정을 판별하고 위험 상황을 인식한다. 제안방법은 Cohn-Kanade 데이터베이스 영상을 대상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정 인식에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잘 판별하였다.

  • PDF

적외선 영상에서의 얼굴 영역 자동 추적 (Facial Region Extraction in an Infrared Image)

  • 신승원;김경섭;윤태호;한명희;김인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7-59
    • /
    • 2005
  • In our study, the automatic tracking algorithm of a human face is proposed by utilizing the thermal properties and 2nd momented geometrical feature of an infrared image. First, the facial candidates are estimated by restricting the certain range of thermal values, and the spurious blobs cleaning algorithm is applied to track the refined facial region in an infrared image.

  • PDF

Region-Bas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in Still Images

  • Nagi, Gawed M.;Rahmat, Rahmita O.K.;Khalid, Fatimah;Taufik, Muhamad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9권1호
    • /
    • pp.173-188
    • /
    • 2013
  • I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Systems (FERS), only particular regions of the face are utilized for discrimination. The areas of the eyes, eyebrows, nose, and mouth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n any FERS. Applying facial features descriptors such as the local binary pattern (LBP) on such areas results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F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system. Unlike other systems, it detects and extracts the informative and discriminant regions of the face (i.e., eyes, nose, and mouth areas) using Haar-feature based cascade classifiers and these region-based features are stored into separate image files as a preprocessing step. Then, LBP is applied to these image files for facial texture representation and a feature-vector per subject is obtained by concatenating the resulting LBP histograms of the decomposed region-based features. The one-vs.-rest SVM, which is a popular multi-classification method, is employed with the Radial Basis Function (RBF) for facial expression classific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approach yields good performance for both frontal and near-frontal facial images in terms of accuracy and time complexity. Cohn-Kanade and JAFFE, which are benchmark facial expression datasets, are used to evaluate this approach.

경추부 중심의 침치료로 호전된 비정형 안면통의 치험 2례 (Two Cases of Atypical Facial Pain Using Treatment of Acupuncture at Cervical and Facial region : A Case Report)

  • 박서현;문소리;안선주;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26
    • /
    • 2018
  • Atypical facial pain is persistent facial pain in the absence of clinical neurological deficit. We experienced two patient who are diagnosed atypical facial pain with Classification of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y were treated by acupuncture at their cervical and facial region. After treatment, their Pain intensity numerical rating scale(PI-NRS) is decreased and EuroQol five dimensions questionnaire(EQ-5D) score is increased. Treatment of acupuncture at cervical and facial region could be effective for easing the clinical symptoms of atypical facial pai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nd effective treatment for atypical facial pain.

칼라 참조 맵과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얼굴영역 추출 (Facial region Extraction using Skin-color reference map and Motion Information)

  • 이병석;이동규;이두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142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highly fast and accurate facial region extraction method by using the skin-color-reference map and motion information. First, we construct the robust skin-color-reference map and eliminate the background in image by this map. Additionally, we use the motion information for accurate and fast detection of facial region in image sequences. Then we further apply region growing in the remaining areas with the aid of proposed criteria.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improvement in execution time and accurate detection.

  • PDF

현실감 있는 3차원 얼굴 애니메이션을 위한 실시간 표정 제어 (A Realtime Expression Control for Realistic 3D Facial Animation)

  • 김정기;민경필;전준철;최용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3-3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동영상으로부터 영상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 및 얼굴 특징점들을 자동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얼굴 모델의 표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얼굴 애니메이션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으로부터 얼굴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공간을 이용한 파라미터 검출 방법에 대변되는 새로운 비파라미터 검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파라미터 검출 방법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피부 색상분포를 가우지언 형태로 표현하며 특히 주변조명의 변화 및 배경 영상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정화한 영역의 검출을 위한 부가적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Hue와 Tint 색상 성분에 기반을 둔 새로운 스킨 색상 공간을 제시하고 모델의 분포특성을 직선 형식으로 표현하여 얼굴검출 시 발생되는 오류를 축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검출된 얼굴 영역으로부터 정확한 얼굴특성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 특징영역에 대한 에지검색 결과와 얼굴의 비율 비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얼굴의 특징 영역을 검출하였다. 추출된 얼굴 특징점 변화 정보는 3차원 얼굴 모델의 실시간 표정 변화에 적용되며, 보다 실감 있는 얼굴 표정을 생성하기위하여 사람의 근육 정보와 근육의 움직이는 방법을 나타내는 Waters의 선형 근육 모델에 새로운 근육 정보들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화장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대상의 얼굴표정을 3차원 얼굴 모델에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