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book Advertising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과 제품 속성에 대한 사용자 반응 (User Responses to the Formats and Product Properties of Contents Advertised on Facebook)

  • 우수진;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9권1호
    • /
    • pp.111-126
    • /
    • 2016
  • 최근 페이스북 광고의 마케팅 가치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들은 브랜드 및 상품 홍보를 위해 성공적인 페이스북 광고제작 방안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과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의 시지각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변인 요인을 설정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접목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이 사용자 반응(시지각 인지,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콘텐츠 포맷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의 시지각 인지 패턴과 구매 행동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광고 제품속성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행동 반응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고 콘텐츠 제공자 혹은 개발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SNS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페이스북 광고의 구성요인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인과모형: 광고 적절성인식 매개효과 (A causal model of the influence of the constituents of Facebook advertisement on the WOM intension: Ad fitness mediation effect)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81-89
    • /
    • 2019
  •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의 구성요인이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부가적으로 광고 적절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 사용자를 대상으로 371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요인 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페이스북 광고의 광고흥미성 속성은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페이스북 광고의 맞춤정보성 속성은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주변인반응성 속성은 광고적절성 인식과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페이스북 광고적절성 인식은 구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광고흥미성과 맞춤정보성 및 주변인반응성 속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에게 페이스북 광고로서 정체감이 있는 광고와 효과적인 광고를 제작할 때 고려해야할 속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Self-Disclosures on Facebook: The Two Faces of Narcissism

  • Lee, Jongmin;Lee, Jihye;Song, Young-A;Ahn, Hongmin;Lee, Eunji;Sung, Yong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39-145
    • /
    • 2020
  •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re key factors that affect users' self-disclosure on SN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 (i.e., narcissism) and three dimensions of self-disclosure behavior on Facebook (i.e., intention, level, and control of self-disclosure). A total of 261 Facebook users completed an onlin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more narcissistic individuals engage in deeper levels of self-disclosure and do so with greater intentionality than previous research indicated. More interestingly, narcissistic users simultaneously tend to control their expressions in public by concealing who they really are.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disclosures on Facebook must not investigated by a single dimens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dynamics of it users.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suggested that the narcissism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redictor which simply gives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on self-disclosing behaviors in SNS.

An Analysis of Effective Factors in Public Awareness Campaigns through Facebook: Focus on Fine Dust Issues

  • Nguyen, Thanh-Mai;Jo, Sam-sup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4호
    • /
    • pp.35-45
    • /
    • 2021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public awareness campaigns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developed an integrated model for measuring the persuasiveness of environmental social media campaign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reated and distributed on Facebook with the goal of reaching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40s in Vietnam, and 395 valid replies were gather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TOPS was reconfirmed as a suitable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public's behaviour intention to condu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ssue of fine dust, especially on social media. Furthermore, it also showed that social media 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s situational recognition and informational behaviour intention. This suggested that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s, personal characteristics play a vital part in developing effective environmental campaigns.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SNS 광고의 속성인식과 구전의도 비교연구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Attribute Recogni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of SNS Advertising - Focused on Facebook, Instagram, KaKaoStory and Twitter)

  • 정창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19-428
    • /
    • 2020
  • SNS미디어가 디지털 기술의 혜택으로 물리적인 접근성의 편리와 콘텐츠가 갖는 오락성·상호작용성 등의 새로운 미디어의 특장점으로 미디어 점유율을 높이며, 이용자들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비자들이 기존 전통 미디어에서 SNS로 대거 이동함에 따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도 페이스북 등 앞서가는 SNS 플랫폼에 발빠르게 적응해 가는 중이다. 본 연구는 미디어 콘텐츠의 생성과 소비 시스템이 서로 비교적 유사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각각의 SNS에서 네 가지 광고속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하고, 이 속성들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 이를 통한 효과적인 SNS 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비자의 페이스북 바이럴 광고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Sharing Intent of Facebook Viral Advertising)

  • 허서정;조창환
    • 광고학연구
    • /
    • 제28권3호
    • /
    • pp.53-81
    • /
    • 2017
  • 온라인 동영상 광고 시장의 성장으로, 바이럴 광고가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 기업, 콘텐츠, 네트워크는 바이럴 광고를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이다. 본 연구는 각 차원에 속한 세부요인들이 바이럴 광고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수집한 설문자료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바이럴 광고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콘텐츠 차원의 설득의도, 기업 차원의 기업-광고이미지 관련성, 소비자 차원의 인지된 자기표현, 그리고 네트워크차원의 교량적 사회 자본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차원의 사회적가치와 네트워크 차원의 결속적사회자본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바이럴 광고가 설득의도를 적게 나타낼수록, 광고 이미지와 기업의 이미지 관련성이 높을수록, 소비자가 광고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이미지를 원하는대로 표현할 수 있다고 인지할수록, 그리고 소비자가 교량적 사회자본을 많이가지고 있을수록 바이럴 광고에 대한 공유의도를 높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바이럴 광고 구전의도를 주제로 진행한 첫 번째 실증적인 연구이며, 바이럴 광고의 정의와 특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다양한 차원의 요인들이 바이럴 광고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온라인 구전 관련 연구에서는 드물게 할당표집을 사용하였고, 설문 영상으로 현재 바이럴 광고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감동 소재와유머 소재를 사용한 각각의 영상 두 개를 선정하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

How Can Self Love Lead to Spying on Ex-Partners on Facebook? -The Effects of Ego Factors on Facebook Surveillance -

  • Furbee, Brittany;Ahn, H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187-193
    • /
    • 2019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personality traits that influence one's likelihood to stalk an ex-partner on Facebook. Specifically, we focused on self-concept-related traits, given that the motivations for using social network sites (SNS) a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self. These include self-esteem, narcissism, and self-efficacy. To assess these factors, we controlled for extraneous variables while assessing the predictive power of personality traits, such as Facebook usage, length of the relationship, and time since the break-up. The results of a self-administered, web-based survey (N=207) showed that self-esteem, narcissism, and self-efficacy are all traits that can predict the stalking of an ex-partner on Facebook. More specifically, we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one's likelihood to stalk an ex-partner on Facebook, while i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acebook stalking and both narcissism and self-efficacy.

기업의 SNS 마케팅 활동이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팬페이지 애널리틱스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rporate SNS Marketing on User Behavior: Focusing on Facebook Fan Page Analytics)

  • 전형준;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1호
    • /
    • pp.75-95
    • /
    • 2020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SNS가 등장했다. 상호작용성, 정보 교류,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이용 동기를 바탕으로 SNS 이용자 또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중 페이스북은 대표하는 SNS 채널로서 기업에서도 페이스북 페이지를 활용해 홍보 채널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운영 초기, 기업은 팬 수 확보에 나섰고 그 결과 최근 기업 페이스북 팬 수는 많게는 수백만에 이를 정도로 늘어났다. 기업의 목표는 팬 수 확보를 넘어 콘텐츠를 통해 고객에게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재고하고, 나아가 소통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를 평가하는 주요 수치가 바로 본 연구의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페이스북의 '좋아요', '댓글', '공유', '클릭 수' 등이다. 해당 수치 달성을 위해 콘텐츠 제작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제작 고려 사항을 3가지로 나눠 독립변수를 구성하였다. 콘텐츠 소재, 콘텐츠 구조, 메시지 스타일 등이 페이스북의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경우, 콘텐츠상에 모든 이용자의 행동 '전체 클릭 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독립 변수를 기존 연구 문헌을 통해 정의하고,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전체 클릭 수'의 경우, '자사연관', '실생활 관여도', '격식 x 관여도'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콘텐츠 목적에 따른 최적화된 콘텐츠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업 페이스북 운영자와 콘텐츠 제작자의 운영, 제작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mong Facebook Users

  • Chon, Bum Soo;Lee, Jeong-Ki;Jeong, HyeonJu;Park, Jowon;Park, Jonghwa
    • ETRI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146-155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n Facebook.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679 Facebook u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usefulness and ease of us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es toward protection behavior.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risk factors (privacy risk severity and vulner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tective behaviors. Based on our findings, we discussed the information protection of privacy on Facebook.

페이스북 포스트의 여행지 사진유형과 사용자의 공적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에 따른 광고효과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picture types of the sights and Facebook user's public self-consciousness)

  • 박은아;우연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33-139
    • /
    • 2019
  • 본 연구는 Facebook에 게시된 여행지 사진 중 어떤 유형의 사진이 더 여행지에 호감을 느끼도록 만들고 떠나고 싶은 의향을 불러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때 사용자의 개인차 특성인 공적 자기의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여행지 사진유형(여행자 존재 여부)과 공적 자기의식 정도(고/저)에 따라 여행지 태도와 여행지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여행자의 모습이 여행지 풍경 속에 존재하는 경우, 여행지에 대한 호감이 인물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여행자 모습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여행지에 대한 호감도,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적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 게시되는 여행지 사진에서 인물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공적 자기의식 수준이 여행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여행지 홍보에 있어서 사진제시 방식과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