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IGATION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9초

실험동물 사료의 처리방법별 살균효과와 성분변화 (Sterilization and Quality Changes of Laboratory Rodent Diet by Different Treatments)

  • 양재승;권중호;변명우;조한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26-132
    • /
    • 1987
  • 실험동물 먹이의 재래적인 살균방법인 훈증제처리(燻蒸劑處理) 및 가열처리(加熱處理)와 새로운 방법인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와의 살균효과(殺菌效果) 및 사료(飼料)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품질(品質)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해본 결과 $10{\sim}20\;kGy$의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와 $121^{\circ}C$에서 20분간 가열처리(加熱處理)로서 전미생물(全微生物)을 완전(完全) 살균(殺菌)시켰으나 ethylene oxide 처리는 $10^2/g$정도 생존되어 살균이 불충분하였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20kGy 조사구(照射區)가 대조구에 비해 약 5% 정도 감소되었으나 ethylene oxide 처리와 가열처리는 각각 15%와 20%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전당 및 무기질 함량은 저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BA가(價)는 20kGy 조사구(照射區)와 ethylene oxide 처리구 및 가열처리구에서 다같이 증가되었으나 조사구(照射區)의 pH 값은 매우 안정하였으며 ethylene oxide 처리구와 특히 가열처리구는 감마선 조사구(照射區)에 비해 시료의 색도에서 명도를 저하시킨 반면 적색도를 크게 상승시켜 외관적 품질을 상당히 저하시켰다.

  • PDF

건고추의 저장 중 색소 및 신미성분에 대한 감마선과 훈증 처리의 영향 (Effects Gamma irradiation and Fumigation on Pigment and Pungent Components of Red Pepper during Storage)

  • 김병근;김미옥;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08-713
    • /
    • 2006
  • 건고추의 새로운 검역 위생화 처리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현행 상업적 조건의 methyl bromide (MeBr) 및 phosphine ($PH_3$) 훈증과 감마선 조사(5, 10 kGy)의 영향을 건고추의 수용성 색소, capsanthin 및 capsaicin에 대하여 처리 직후와 실온 8개월 저장 후에 비교하였다. 수용성 색소는 대조군과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훈증 처리군에서 갈색도(420nm)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 같은 경향은 과피와 씨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Capsanthin의 변화에서는 각처리군 간에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10 kGy 조사된 과피에서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저장 8개월 후에는 전반적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과피에서의 변화($26.76{\sim}38.08%$)가 가장 두드러졌다. 건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carsaicin과 dihydrocapsaicin 함량은 대조군과 5 kGy 조사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훈증처리와 10 kGy 조사군에서는 함량이 감소되었다(p<0.005). 특히 8개월 실온 저장 후에는 전체적으로 매운맛 성분이 감소하였고, 대군에 비해 처리군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제거에 따른 산림훼손 보고 (Report on Forests Damaged Due to Cutting Trees Infected by Pine Wilt Disease)

  • 홍석환;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0-598
    • /
    • 2015
  •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다양한 방제방법에도 고사목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 방제방법 문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재선충 확산 방지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유충 폐사를 위한 감염목 훈증처리방법이다. 본 연구는 산림 내 소나무재선충 감염목 훈증처리지역에서 훼손 정도를 확인하고자 경상남도 밀양시 일대에 $100m^2$의 조사구 32개소를 설치하여 근원단면적과 수관단면적을 분석하였다. 훼손되지 않은 수목에서 도출한 근원단면적과 수관단면적의 회귀식(침엽수: $R^2=57.4$, 낙엽활엽수: $R^2=63.8$)을 바탕으로 훼손된 수목의 수관단면적을 유추하였다. 분석결과 수관단면적을 기준으로 재선충감염목은 18.7%이었으며 재선충과 무관하게 베어진 수목은 35.5%에 달했다. 소나무류의 경우 8.4%가 재선충과 관계없이 훼손되었으나 참나무류를 포함한 낙엽활엽수류는 훼손비율이 62%에 달했다. 소나무재선충 방재를 위한 훈증처리작업에 따른 아교목층 낙엽활엽수의 무분별한 제거는 산림의 온도저감, 습도조절 등 공익적 기능을 저하할 우려가 높았다.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된 팥과 녹두의 수침에 따른 용출 특성 (Water-Soluble Components of Small Red Bean and Mung Bean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 노미정;권중호;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4-189
    • /
    • 2001
  • 팥과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을 위한 감마선과 methyl bromide(MeBr) 훈증 처리가 두류의 수침 시 용출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팥과 녹두를 $20^{\circ}C$에서 16시간 침지시킨 후 용출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녹두에 비해 팥이 두드러졌다. 그리하여 5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살충선량인 2.5 kGy 범위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았다. MeBr 처리된 팥의 고형분 함량은 7.5 kGy 조사구와 유사한 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거의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용출액의 pH는 처리구에 따라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용출액의 색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두 시료에서 명도(L)의 감소와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증가현상이 점차 나타났으며, 훈증처리 시료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매우 심하여 전반적 색차(${\Delta}E$)가 팥은 10 kGy, 녹두는 30 kGy 이상 조사된 시료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수침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용출은 팥의 경우 asparag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등이, 녹두의 경우asparagine, glutamic acid, proline, valine 등이 용출 비율이 높았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리아미노산의 용출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MeBr 훈증 처리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 용출액의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과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 PDF

Cacao Bean Husk 추출물의 Glucosyltransferase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Cacao Bean Husk Extract on Glucosyltransferase from Streptococus mutans B13)

  • 권익부;이용우안봉전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75-82
    • /
    • 1993
  • The inhibitory effect of cacao bean husk (CBH) extract on glucosyltransferase(GTasc) from Streptococcus mutans B13 was investigated. Water solube extract from CBH showeda sarong inhibitory effect (88-89%) on GTase from Streptococcus mutans Bl3. GTase inhibitors from sequential extraction by hot water or water-methanol had the strongest inhibition. Sources, fermentation, and types of solvents and fumigation processes did not influence the effect. These active compounds proved to be polyphones through acid hydrolytic analysis of the precipitates by ammonium sulfate or ethanol and proteinase K. It was also confirmed by additional column chromatography of Sephadex G-50, Sephadex LH-20 and DEAE-Sephdex A-50.

  • PDF

Variation of ANN Model's Predictive Performance Concerning Short-term (<24 hrs) $SO_2$ Concentrations with Prediction Lagging Time

  • Park, Ok-Hyun;Sin, Ji-Young;Seok, Min-Gw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4권E2호
    • /
    • pp.63-73
    • /
    • 2008
  • In this study, neural network models (NNMs) were examined as alternatives to dispersion models in predicting the short-term $SO_2$ concentrations in a coastal area because the performances of dispersion models in coastal areas have been found to be unsatisfactory. The NNMs were constructed for various combinations of averaging time and prediction time in advance by using the historical data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SO_2$ concentrations in 2002 in the coastal area of Boryeung, Korea. The NNMs were able to make much more accurate predictions of 1 hr $SO_2$ concentrations at ground level in the morning in coastal area than th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such as fumigation models, ADMS3 and ISCST3 for identical conditions of atmospheric stability, area, and weather. Even when predictions of 24-h $SO_2$ concentrations were made 24 hours in advance, the predictions and measurements were in good accordance(correlation coefficient=0.65 for n=216). This accordance level could be improved by appropriate expansion of training parameters. Thu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NNMs can be successfully used to predict short-term ground level concentrations averaged over time less than 24 hours even in complex terrain.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ANN models tends to improve as the prediction lagging time approaches the concentration averaging time, but to become worse as the lagging time departs from the averaging time.

오존에 노출된 버즘나무의 광합성 특성과 민감성 지표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a Sensitive Indicator for $O_3$-exposed Platanus orientalis)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0-226
    • /
    • 2005
  • 오존 노출이 버즘나무의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년생 버즘나무 유묘에 하루에 8시간씩 100 ppb의 오존을 처리하였다. 오존 처리를 진행하는 동안, 3주마다 버즘나무의 엽내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 특성을 측정하였다. 오존에 의한 잎의 가시적 피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엽내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광합성량, 기공전도도, 수분이용효율은 오존 처리 6주 후에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한편 탄소고정효율과 광화학 효율은 오존 처리 3주와 6주 후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탄소고정효율은 오존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한 파라미터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오존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매우 적당한 지표로 생각되었다.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방제에 대한 국외 현황조사(II)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termite control of wooden structures(II) - Focused on the case of Japan)

  • 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4호
    • /
    • pp.84-99
    • /
    • 2013
  •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약 2,900 종의 흰개미 중 23종의 흰개미가 일본에 서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종의 흰개미만 분포하는 우리나라에 비해 더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목조건축물에서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면 화학적 방제(훈증처리, 토양처리, 베이트처리 등)나 비화학적 방제방법(저산소처리, 이산화탄소처리, 고온처리, 저온처리 등)을 이용해 방제처리를 하게 된다. 특히, 훈증처리에 사용되는 메틸 브로마이드 훈증제의 생산과 소비를 2005년부터 전폐하기로 함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실제로 피해 정도가 소규모이거나 장기간의 처리가 가능한 경우 등 일부 경우에는 약제를 사용하지 않는 비화학적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f the Diffusion and Rise of Stack Plumes at Coastal Region by Using LIDAR Observation Data

  • Yoon, Ill-Hee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43-58
    • /
    • 1998
  • The Kwinana Shoreline Fumigation Experiment (KSFE) took place at Fremantle, WA, Australia between January 23 and February 8, 1995. The CSIRO DAR LIDAR measured plume sections from near the Kwinana Power Station (KPS) stacks to up to about 5 km downstream. It also measured boundary layer aerosols and the structure of the boundary layer on some occasions. Both stages A and C of KPS were used as tracers at different times. The heart of the LIDAR system is a Neodymium-doped Yttrium-aluminum-garnet (Nd:YAG) laser operating at a fundamental wavelength of 1064 nm, with harmonics of 532 nm and 355 nm. For these experiments the third harmonic was used because the UV wavelength at 355 nm is eye safe beyond about 50 m. The laser fires a pulse of light 6 ns in duration (about 1.8 m long) and with an energy (at the third harmonic) of about 70 mJ. This pulse subsequently scattered and absorbed by both air molecules and particles in the atmosphere. A small fraction of the laser beam is scattered back to the LIDAR, collected by a telescope and detected by a photo-multiplier tube.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s a function of time is a measure of the particle concentration as a function of distance along the line of the laser shot. The smoke plume was clearly identifiable in the scans both before and after fumigation in the thermal internal boundary layer (TIBL). Both power station plumes were detected. Over the 9 days of operation, 1,568 plumes scans (214 series) were performed. Essentially all of these will provide instantaneous plume heights and widths, and there are many periods of continuous operation over several hours when it should be possible to compile hourly average plume statistics as well. The results of four days LIDAR observations of the dispersion of smoke plume in the TIBL at a coastal site are presented for the case of stages A and 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