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 HD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9초

MPEG-2 디지털 방송을 위한 송출 스케줄링 시스템 (A Scheduling System for MPEG-2 Digital Broadcasting)

  • 방진숙;황경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40-246
    • /
    • 2008
  • 영상압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아날로그 영상은 디지털 신호로 표현 및 저장이 가능해졌고 MPEG-2 표준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영상 전송을 위한 표준이 제정되어 디지털 방송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디지털 방송을 통한 경제적 파급 효과가 부각되면서 가치사슬의 기대효과로 인해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존의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 방송으로 서비스를 전환해 가고 있다. 그러나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 System Operator)들은 고화질의 디지털영상인 Full HD(High Definition)급 방송 프로그램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난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요 방송사에서 송출하고 있는 HD급 공중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분석을 통해 각각의 채널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이를 재편성하여 케이블 방송 가입자들에게 재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Power Allocation for Half-duplex Relay-based D2D Communication with QoS guarantee

  • Dun, Hui;Ye, Fang;Jiao, Shuh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3호
    • /
    • pp.1311-1324
    • /
    • 2019
  • In the traditional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 the cellular user and the base station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uplink channel and downlink channel. Meanwhile, device-to-device (D2D) users access the cellular network by reusing the channel resources of the cellular users. However, when cellular user channel conditions are poor, not only D2D user cannot reuse its channel resources to access the network, but also cellular user's communication needs cannot be met. To solve this problem, we introduced a novelty D2D communication mechanism in the downlink, which D2D transmitter users as half-duplex (HD) relays to assist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cellular users with reusing corresponding spectrum. The optimization goal of the system is to make the cellular users in the bad channel state meet the minimum transmission rate requirement and at the same time maximize the throughput of the D2D users. In addition, i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lay transmission, we use two-antenna architecture of D2D relay to enable receive and transmit signals at the same time. Then we optimized power of base station and D2D relay separately with consideration of backhaul interference caused by two-antenna architectur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HD relay strategyis superior to existing HD and full-duplex (FD) models in the aspects of system throughput and power efficiency.

8K급 고선명 콘텐츠 기술 및 산업 동향 (Technical and Industrial Trends of Ultra High Definition Contents of the level of 8K)

  • 이정수;윤기송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3호
    • /
    • pp.101-109
    • /
    • 2012
  •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로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full-HD 방송을 넘어서 4K 궁극적으로는 8K까지 초고화질의 콘텐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를 만족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장비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초고화질은 보통 HD의 4배에서 16배의 해상도를 가지고 화소당 할당되는 비트수도 10~12비트를 할당한다. 초고선명화질의 콘텐츠는 기존 품질의 콘텐츠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실감성과 몰입감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방송, 영화, 스포츠, 광고, 전시, 공연, 의료 등의 많은 분야에서 관련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8K급 고품질 콘텐츠의 제작 및 유통, 상영과 관련하여 응용 분야인 UHDTV 및 디지털시네마와 디지털사이니지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 및 산업 동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High Performance and FPGA Implementation of Scalable Video Encoder

  • Park, Seongmo;Kim, Hyunmi;Byun, Kyungjin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3권6호
    • /
    • pp.353-35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hardware architecture of high performance SVC(Scalable Video Coding). This platform uses dedicated hardware architecture to improve its performance. The architecture was prototyped in Verilog HDL and synthesized using the Synopsys Design Compiler with a 65nm standard cell library. At a clock frequency of 266MHz, This platform contains 2,500,000 logic gates and 750,000 memory gates. The performance of the platform is indicated by 30 frames/s of the SVC encoder Full HD($1920{\times}1080$), HD($1280{\times}720$), and D1($720{\times}480$) at 266MHz.

UH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화질 평가 동향 소개 (Introduction of UHD Display Assessment Technique)

  • 양진영;임성묵;곽경철;배성용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56-157
    • /
    • 2018
  • 최근 가정용 TV 를 포함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기기는 HD(High Definition)에서 UHD(Ultra High Definition)로 급속하게 전환되고 있다. DTV 방송의 경우 한국은 HDR(High Dynamic Range)이 제외된 UHDTV 지상파 방송을 시작하였고 북미 MVPD(Multiple Video Program Distributor) 사업자들은 HDR 서비스를 먼저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기존 full HD 보다 4 배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UHD 는 HDR 과 WCG(Wide Color Gamuit)를 제외하고 논할 수 없다. 본 고에서는 해외의 디스플레이 인증 기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UH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화질 평가 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Nutritional education for management of osteodystrophy (NEMO) trial: Design and patient characteristics, Lebanon

  • Karavetian, Mirey;Abboud, Saade;Elzein, Hafez;Haydar, Sarah;de Vries, Nann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103-11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rained dedicated dietitian on clinical outcomes among Lebanese hemodialysis (HD) patients: and thus demonstrate a viable developing country model. This paper describes the study protocol and baseline data. The study was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parallel-group design involving 12 HD units: assigned to cluster A (n = 6) or B (n = 6). A total of 570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Patients in cluster A were randomly assigned as per dialysis shift to the following: Dedicated Dietitian (DD) (n = 133) and Existing Practice (EP) (n = 138) protocols. Cluster B patients (n = 299) received Trained Hospital Dietitian (THD) protocol. Dietitians of the DD and THD groups were trained by the research team on Kidney Disease Outcomes Quality Initiative nutrition guidelines. DD protocol included: individualized nutrition education for 2 hours/month/HD patient for 6 months focusing on renal osteodystrophy and using the Trans-theoretical theory for behavioral change. EP protocol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given to patients by hospital dietitians who were blinded to the study. The THD protocol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to patients given by hospital dietitian as per the training received but within hospital responsibilities, with no set educational protocol or tools. Baseline data revealed that 40% of patients were hyperphosphatemics (> 5.5 mg/dl) with low dietary adherence and knowledge of dietary P restriction in addition to inadequate daily protein intake ($58.86%{\pm}33.87%$ of needs) yet adequate dietary P intake ($795.52{\pm}366.94$ mg/day). Quality of life (QOL) ranged from 48-75% of full health. Baseline differences between the 3 group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P, malnutrition status, adherence to diet and P chelators and in 2 factors of the QOL: physical and social functioning. The data show room for improvement i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The NEMO trial may be able to demonstrate a better nutritional management of HD patients.

MCFI 구현을 위한 형태 기반 움직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pe-Based Motion Estimation For MCFI)

  • 박주현;김영철;홍성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3C호
    • /
    • pp.278-286
    • /
    • 2010
  • DTV의 Full HD급이 보편화되면서 LCD(Liquid Crystal Display)기반 대형화와 고화질 요구가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이에 LCD의 잔상효과 제거와 격동적인 화면에서의 고화질 구현을 위해 수신 단에서 후처리 과정으로 움직임 보상 기반 프레임 보간법(MCFI)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움직임 예측 시 구현의 용이성 때문에 블록정합기법(BMA)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움직임 예측의 계산량 감소를 위하여 움직임 형태 기반의 움직임 예측 기법을 제안 한다. 움직임 정보의 정확성 향상을 위하여 움직임 형태를 기반으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한다. 그리고 계산양 감소를 위하여 움직임 영역에서만 예측을 수행하는데 제안한 방법은 전 영역 움직임 예측기의 평균 25% 계산양만으로 비슷한 성능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빠른 움직임 영역에서는 다른 여러 가지 움직임 예측 기법들 보다 우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광공진 현상을 이용한 입체 영상센서 및 신호처리 기법 (Optical Resonance-based Three Dimensional Sensing Device and its Signal Processing)

  • 박용화;유장우;박창영;윤희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3-764
    • /
    • 2013
  • A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ing device and its signal processing algorithm and apparatus are presented.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is one of emerging differentiators that provides consumers with more realistic and immersive experiences in user interface, game, 3D-virtual reality, and 3D display. It has the depth information of a scene together with conventional color image so that full-information of real life that human eyes experience can be captured, recorded and reproduced. 20 Mega-Hertz-switching high speed image shutter device for 3D image capturing and its application to system prototype are presented[1,2]. For 3D image capturing, the system utilizes Time-of-Flight (TOF) principle by means of 20MHz high-speed micro-optical image modulator, so called 'optical resonator'. The high speed image modulation is obtained using the electro-optic operation of the multi-layer stacked structure having diffractive mirrors and optical resonance cavity which maximizes the magnitude of optical modulation[3,4]. The optical resonator is specially designed and fabricated realizing low resistance-capacitance cell structures having small RC-time constant. The optical shutter is positioned in front of a standard high resolution CMOS image sensor and modulates the IR image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capture a depth image (Figure 1). Suggested novel optical resonator enables capturing of a full HD depth image with depth accuracy of mm-scale, which is the largest depth image resolution among the-state-of-the-arts, which have been limited up to VGA. The 3D camera prototype realizes color/depth concurrent sensing optical architecture to capture 14Mp color and full HD depth images, simultaneously (Figure 2,3). The resulting high definition color/depth image and its capturing device have crucial impact on 3D business eco-system in IT industry especially as 3D image sensing means in the fields of 3D camera, gesture recognition, user interface, and 3D display. This paper presents MEMS-based optical resonator design, fabrication, 3D camera system prototype and signal processing algorithms.

  • PDF

Binary Power Control for Sum Rate Maximization of Full Duplex Transmission in Multicell Networks

  • Vo, Ta-Hoang;Hwang, Won-Joo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3-585
    • /
    • 2016
  • The recent advances in wireless networks area have led to new techniques, such as small cells or full-duplex (FD) transmission, have also been developed to further increase the network capacity. Particularly, full-duplex communication promises expected throughput gain by doubling the spectrum compared to half-duplex (HD) communication. Because this technique permits one set of frequencies to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binary power control for the users and the base stations in full-duplex multiple cellulars wireless networks to obtain optimal sum-rate under the effect interference and noise. We investigate with a scenario in there one carrier is assigned to only one user in each cell and construct a model for this problem. In this work, we apply the binary power control by the its simplification in the implemented algorithm for both uplink and downlink simultaneously to maximize sum data rate of the system. At first, we realize the 2-cells case separately to check the optimal power allocation whether being binary. Then, we carry on with N-cells case in general through properties of binary power control.

  • PDF

스마트폰 시장 확대에 따른 모바일 동영상 편집 기법 연구 (Production Techniques for Mobile Motion Pictures base on Smart Phone)

  • 최은영;최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5-123
    • /
    • 2010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다양한 플랫폼에서 풀 브라우징 서비스를 통해 영상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소비자의 수용태도에 변화를 줄 뿐만 아니라, 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에도 변화를 요구한다. 하지만 영상 콘텐츠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 플랫폼에 맞추어 적당히 변형되거나 사이즈 변환과 같은 기본적인 변환으로 수용자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다. 이것은 모바일 특성에 맞는 콘텐츠 유형 및 제작이 아닌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의 변화만을 의미하므로, 모바일 콘텐츠 특성에 맞는 영상제작 및 편집과 같은 미학적인 면에서의 제작방식에 변화가 요구되어진다. HD영상의 전환으로 인하여 카메라 앵글, 구도, 조명등과 같이 제작 방식에 변화가 생긴 것과 마찬가지로 풀브라우징 서비스에 맞는 영상제작 기법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HD 영상제작에 따른 제작 방식 변화를 바탕으로 스마트 폰 시장 확장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동영상 편집기법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이러닝 제작에 사용되고 있는 화면 전환기법과 편집기법을 영상제작에 응용하거나, 종횡비의 변화, 다중화면 기법 등과 같은 다양한 편집기법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플랫폼에 적합한 영상 변환 및 편집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들은 기존의 웹이 가지고 있었던 개방성, 적시성과 같은 특성들을 모바일에 적용하여 줌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가며 플랫폼으로써 자리를 잡아갈 것이다. 또한 개인 문화 영역으로 확대되어 단순 의사전달도구에서 벗어나 표현도구와 놀이도구로써 자리 잡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