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 HD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2초

분리형 구조의 고화질 멀티 포맷 비디오 복호기: MPEG-2/MPEG-4/H.264와 VC-1 (A Detachable Full-HD Multi-Format Video Decoder: MPEG-2/MPEG-4/H.264, and VC-1)

  • 배종우;조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5A권1호
    • /
    • pp.61-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MPEG-2, MPEG-4, H.264/AVC 및 VC-1 코덱 표준을 동시에 지원하는 멀티 포맷 비디오 복호기 (MFD)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MFD는 디지털-TV SoC 에 필요한 고사양의 고화질급 비디오 처리를 목표로 하였다. 리스크 프로세서, 온칩 메모리 및 주변 회로 등의 크기가 큰 공용 자원들을 공유하여 크기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코덱 별로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한 분리 가능한 구조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이미 설계되고 검증된 코덱의 안정성의 유지를 용이하게 해준다. 설계된 MFD는 65nm 공정에서 크기가 약 2.4M 게이트 이며, 동작속도는 225MHz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MFD는 현재까지 알려진 MFD 중 최고 성능인 고화질급(1080p@30fps) 이상의 비디오 디코딩을 지원하며, 가장 많은 종류의 비디오 코덱 표준을 지원한다.

Full-Duplex Operations in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s

  • Ju, Hyungsik;Lee, Yuro;Kim, Tae-Joong
    • ETRI Journal
    • /
    • 제39권6호
    • /
    • pp.794-802
    • /
    • 2017
  • In this paper, a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 (WPCN) consisting of a hybrid access point (H-AP) and multiple user equipment (UE), all of which operate in full-duplex (FD), is described. We first propose a transceiver structure that enables FD operation of each UE to simultaneously receive energy in the downlink (DL) and transmit information in the uplink (UL). We then provide an energy usage model in the proposed UE transceiver that accounts for the energy leakage from the transmit chain to the receive chain. It is shown that the throughput of an FD WPCN using the proposed FD UE (FD-WPCN-FD) can be maximized by optimal allocation of the UL transmission time to the UE by solving a convex optimization problem. Simulation results reveal that the use of the proposed FD UE efficiently improves the throughput of a WPCN with a practic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capability at the H-AP. Compared to the WPCN with FD H-AP and half-duplex (HD) UE, FD-WPCN-FD achieved an 18% throughput gain. In addition, the throughput of FD-WPCN-FD was shown to be 25% greater than that of WPCN in which an H-AP and UE operated in HD.

Power Allocation for Opportunistic Full-Duplex based Relay Selection in Cooperative Systems

  • Zhong, Bin;Zhang, Dandan;Zhang, Zhongsh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0호
    • /
    • pp.3908-3920
    • /
    • 2015
  • In this paper, performance analysis of full-duplex (FD) relay selection under decode-and-forward (DF) relaying mode is carried out by taking into account several critical factors, including the distributions of the received signal-to-noise ratio (SNR) and the outage probability of wireless links. The tradeoff between the FD and half-duplex (HD) modes for relay selection techniques is also analyzed, where the former suffers from the impact of residual self-interference, but the latter requires more channel resources than the former (i.e., two orthogonal channels are required). Furthermore, the impact of optimal power allocation (OPA) on the proposed relay-selection scheme is analyzed. Particularly, the exact closed-form expressions for outage proba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are derived, followed by validating the proposed analysis using simulation.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D based scheme outperforms the HD based scheme by more than 4 dB in terms of coding gain, provided that the residual self-interference level in the FD mode can be substantially suppressed to the level that is below the noise power.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 신청자들의 신청 차수별 노출 특성 변화 - 1차에서 5차 신청자를 중심으로 - (Individual Exposu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umidifier Disinfectant Exposure Assessment Cycle - Focusing on Cycles I-to-V Applicants -)

  • 이슬아;조은경;강하병;양원호;최윤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59-168
    • /
    • 2023
  • Background: An ongoing environmental exposure assessment of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has been conducted since November 2011 among individuals who experienced HD exposure-related adverse health effects. It is being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and quantify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in victims and their families. To date, the assessment has encompassed Cycles I-to-V. There is no report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om the overall cycles. Objectives: We intended to examin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mographics, HD usage, and HD exposure using integrated data from Cycles I-to-V of the environmental exposure assessment of HDs and the changes with the cycles. Methods: We included 7,543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Cycles I-to-V of the environmental exposure assessment of HDs. We summarized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ir demographics (e.g., sex, education level, and age), HD usage history (e.g., product name, ingredient, and frequency of HD use), and HD exposure (e.g., daily time of HD use, cumulative time of HD use, and exposure intensity). In addition,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ross the cycles of the exposure assessment. Results: Among the 7,543 participants from Cycles I-to-V, there were more male participants than females (51.05% overall), except for Cycles I and III. Across all cycles, a higher proportion of survivors was observed than deceased individuals. While PHMG was the most prevalent ingredient in HDs throughout all the cycles, its proportion gradually decreased over the course of the examination cycles. Participants in Cycle I reported longer daily times of HD use compared to those in the subsequent cycles. On the other hand, cumulative time of HD use was shorter in the earlier cycles than in the later cycles. Conclusions: Using the integrated data from the full cycles of the environmental exposure assessment, this study identified chang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HD exposur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articipants across different cycles.

PET/CT 검사에서 SharpIR 재구성 방법의 평가 (Evaluation of SharpIR Reconstruction Method in PET/CT)

  • 김정열;강천구;박훈희;임한상;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12-16
    • /
    • 2012
  • 서론: 종래의 PET 영상 재구성에 있어서 FBP 등에 비해 3차원 반복 재구성 방법이 일반적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이것은 검출기 기하학적 특성과 완벽한 3차원 산란 평가 및 저잡음 randoms 평가 등의 더 진보된 재구성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 SharpIR알고리즘은 3차원 반복 재구성 알고리즘으로 PET 검출기 응답 정보를 통합하여 PET 영상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대조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반복 시스템 모델인 SharpIR에 대한 성능 평가와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재료 및 방법: 검출기 응답에 대한 분해능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관(내경 1.1 mm, 두께 0.2 mm)에 $^{18}F$-FDG (250 MBq/mL)을 주입하여 축 방향 시야의 중심과 축 방향으로 5, 10, 15, 20 cm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획득하였고 VUE point HD와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하여 각각의 영상에서 반치폭을 구하였다. 또한 영상품질평가로 image quality phantom (NU2-2001)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각각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구에 cold (직경 28, 37 mm)와 ho (직경 10, 13, 17, 22 mm)부분을 나누어 배경잡음을 주고 영상의 대조도를 평가하였다. 획득된 영상은 VUE point HD와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을 하였다. 임상실험에서는 전신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중 병소가 있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VUE point HD와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하였다. 이때 iterations을 1~10까지 변경하여 병소 부위와 간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대조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VUE point HD로 재구성한 영상에서는 시야 중심으로부터 축방향 거리 증가와 함께 반치폭이 함께 증가하였지만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한 영상에서는 거리가 증가하여도 일정한 반치폭을 나타냈다. 대조도는 팬텀 실험과 임상 실험에서 VUE point HD-SharpIR이 VUE point HD보다 대조도의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검출기 시스템 응답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SharpIR 알고리즘은 VUE point HD에서 사용되는 기본 모델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SharpIR은 VUE point HD보다 각각의 복셀에 관련된 더 많은 측정 위치를 가지는 시스템 모델이기 때문에 더욱 정교한 재구성 모델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더 많은 반복이 걸린다. 결론적으로 SharpIR은 PET 영상에서 대조도를 향상시켰고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재구성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종단적 연구를 통해 적용한다면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 PDF

석준형 삼성전자 LCD총괄 부사장

  • 박영주
    • 정보화사회
    • /
    • 통권183호
    • /
    • pp.29-29
    • /
    • 2006
  • "결국 풀(Full) HD 컨텐츠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시장을 선도해 나아갈 것입니다." 최근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FPD International2006(Flat Panel Display International 2006)에서 '디스플레이 진화를 위한 기술 혁신(Technology Innovation for Display Evolution)'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한 삼성전자 LCD총괄 석준형 부사장의 미래전망이다.

  • PDF

4K 초고속 카메라 촬영기술의 워크플로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flow of Cinematography with 4K High Speed Camera)

  • 김상일;박성철;김정호;권순철;이승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25-432
    • /
    • 2014
  • 4K 초고속 카메라 촬영은 해상도 및 셔터스피드 증가로 인해 빠른 피사체의 영상을 모션 블러 없이 Full HD 4배 해상도로 촬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해당 촬영은 데이터 량의 증가와 광량, 포커스 등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뒤따른다. 증가된 셔터스피드로 인해 광량 부족 현상을 가져올 수 있어 조리개를 개방하여 촬영하는 경우가 많아 초점 조절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증가된 해상도와 프레임레이트로 인해 저장 공간의 한계가 뒤따르기 때문에 촬영 기록에 제한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K 초고속 카메라(Phantom Flex 4K) 제작 사례를 통해 위와 같은 한계점들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디자인 하였다.

H.264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설계 (A design of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for H.264)

  • 이용주;서기범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108-11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의 실시간 Full HD 영상$(1920{\times}1080@30fps)$ 부호화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의 CAVLC 엔트로피 부호화기 구조를 제안한다 한 매크로 블록 당 AC 계수 376개 와 DC 계수 8개 총 384개의 데이터가 존재 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최대 384개의 데이터를 모두 처리해야 한다. 데이터를 효율 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병렬 처리, 파이프라인 처리를 사용, 블록당 16개의 데이터 이후의 존재하는 불필요한 '0' 제거로 동작 cycle를 최소화하였다. 설계된 모듈은 한 매크로 블록당 최대의 384개의 데이터를 469cycle로 처리한다. CAVLC 구조를 검증하기 위하여 JM 9.4부터 reference C를 개발하였으며, reference C로부터 test vector를 추출하여 설계 된 회로를 검증하였다.

  • PDF

양방향 CEC 기능을 갖는 무선 고화질 이미지 전송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Wireless HD Image Transmission System with Bidirectional CEC Function)

  • 김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
    • /
    • 2011
  • 오늘날에는 모바일 스마트 기기를 많이 사용해본 소비자들이 무선 연결 방식과 같은 보다 편리하고 스마트한 가정용 전자기기의 연결성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기선을 다른 지능적인 연결방법으로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양방향 CEC 제어 구조를 새롭게 제안하여 밀리미터 밴드 이미지 전송 시스템에서 제어능력을 단방향에서 양방향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는 2자유도 제어 능력이 HDMI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 보다 지능적인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험연구를 통해 1080p 풀 HD 이미지 스트림에 대해서 3.0 Gbps의 전송 성능 결과를 보여 지능적 2 DOF CEC 인터페이스를 보유한 밀리미터 밴드의 진보된 이미지 전송 솔루션으로서 제안된 시스템의 유용성을 보인다.

Humidifier Disinfectant-Associated Lung Injury: Six Years after the Tragic Event

  • Kim, Won-Young;Hong, Sang-Bu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4호
    • /
    • pp.351-357
    • /
    • 2017
  • In 2011, a cluster of peripartum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with signs and symptoms of severe respiratory distress of unknown etiology. Subsequent epidemiological and animal studies suggested that humidifier disinfectant (HD) might represent the source of this pathology. Epidemiological studies, animal studies, and dose-response analysis demonstrate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HD use and lung injuries. The diagnostic criteria for HD-associated lung injury (HDALI)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clinical, 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attributes of the patients. The clinical spectrum of HDALI appears to range from asymptomatic to full-blown acute respiratory failure, and some patients have required actual lung transplantation for survival. The overall mortality of the exposed population was not significant, although peripartum patients and children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did show high mortality rates. Persistent clinical findings such as diffuse ill-defined centrilobular nodules and restrictive lung dysfunction were observed in some of the survivors. The findings of this review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of the level of toxicity of chemical inhalants utilized in a home setting, as well as the need to identify and monitor afflicted individuals after inhalational inj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