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TA tariff elimin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EU 자유무역협정의 수산부문 무역효과 추정 (The Trade Effect of Korea-EU FTA on the Fishery Sector)

  • 김남두;황상인
    • 통상정보연구
    • /
    • 제12권4호
    • /
    • pp.49-65
    • /
    • 2010
  • We have analyzed the trade effect of Korea-EU FTA on the Korean fishery sector, after reviewing the trade pattern and the tariff barriers of fishery sector between Korea-EU. For the trade effects, we have categorized into three cases: 1) the complete tariff elimination of all items, 2) the half tariff reduction on top ten valued items, with complete tariff elimination of other items, and 3) the complete tariff elimination, except unbinding top three valued items. The effect of the complete tariff elimination of all items implies the effect of the full achievement of FTA. For other two cases, these effects imply the effects of the transitional phenomenon of FTA since the complete tariff elimination happens gradually over more than ten years. For the complete elimination of tariff, we found that imports are increased by 1.1 billion dollars which is 12.9% increase in average imports during years 2006-2009. Also, exports are increased by 1.3 billion dollars which is 14.5% increase in average exports during same years.

  • PDF

노르웨이 신선·냉장 연어의 한국 수출가격에 대한 FTA 관세 철폐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FTA Tariff Elimination on the Export Price of Norwegian Fresh and Chilled Salmon to Korea)

  • 김봉태
    • 수산경영론집
    • /
    • 제49권2호
    • /
    • pp.37-48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FTA tariff elimination on the export prices for Norwegian fresh and chilled salmon, of which Korean impor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Korea-EFTA FTA implementation. Korea's fresh and chilled salmon market is almost monopolized by Norway, and Korea's price level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so it is highly likely that price discrimination occurs.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ained that exporters could adjust their prices by market power when tariffs are eliminated in imperfectly competitive markets. And the empirical analysis provided evidence that the exporters have made price adjustments since the FTA took effect, and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relative price comparison with trade statistics and Nasdaq Salmon Index.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welfare in Korean salmon market, it is required to transform the monopolistic market structure into a competitive one.

한.중 FTA 체결 시 관세 철폐가 우리나라 수산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on Korea's Fisheries Trade)

  • 김기수;이상숙
    • 수산경영론집
    • /
    • 제43권2호
    • /
    • pp.1-14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FTA) on Korea's fisheries trade using the partial equilibrium analysis model of Feenstra(1995). The study tries to show the impact on trade flows and welfare of the elimination of tariffs Korea-China FTA on Korea's fisheries sector among several scenarios of trade liberaliz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fisheries export to China is lower than that of fisheries import from China. Therefore Korea-China FTA results in the decrease of domestic of fisheries production even though total welfare effect is positive. The study suggest several policy proposals for soft-landing of Korea-China FTA on Korea's fisheries sector. One of them is to lengthen the term of tariff elimination to minimize the impact on domestic fisheries sectors.

한-캐나다 FTA 수출효과 분석 (Analysis of Korea-Canada FTA's export effect)

  • 염경윤;박기백
    • 무역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2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ort effects of Korea-Canada FTA's tariff reduction, which was launched on January 1, 2015. First, as a groundwork, this study reviewed trade creation and trade diversion by investigating all possible cases of both initial FTA and additional FTA. The review was done by using the simple model of three countries assuming FTA means elimination of tariff. The review suggested that additional FTA doesn't have any negative impact on import country's social welfare contrary to initial FTA. In additional FTA, Trade diversion could happen between FTA partner countries, but it always increases import country's social welfare. In this sense, it can be called favorable trade diversion.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export effects of Korea-Canada FTA using Clausing's product level model based on Canadian government import data from Korea which is not open to the public. It turned out that Korea-Canada FTA's tariff reduction boosted Canadian import growth rate from Korea. On the other hand, Canadian import growth rate from rest of the world was not negatively affected by Korea-Canada FTA's tariff reduction. Rather, it increased as Canadian import growth rate from Korea was higher. These findings implied trade creation rather than trade diversion of Korea-Canada FTA when it comes to Korea's export to Canada.

FTA 무역환경에서의 관세행정 전략 (Customs Administration strategies under FTA's trade environment)

  • 최희인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40
    • /
    • 2007
  • The Customs Administration, unlike other administrative service, should respond to constant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The Customs has to actively adapt itself to government policy changes, economic changes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changes to facilitate the flow of trade logistics and maintain trading relations wi th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policy directions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which enforces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ariff and non-tariff barrier elimination for the trade liberalization while the Korean government is pursuing FTAs on a multi-track basis. This paper aims to seek ways to apply FTA policies to the Korean society and economy in a smooth manner.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Customs administration brought by the proliferation of FTAs to such areas as FTA negotiations, import/export management, duties and taxes collection, drawback reduction/exempt ion of duty application area of preferential tariff rate and country of origin management. Then, the paper sets FTA missions of "supporting Customs Administration to lead the new trend of free trade environment" after analyzing the environment changes. To achieve the FTA mission mentioned above, the KCS designated 4 strategies and 40 implementation tasks. The 4 strategies are named "4C Strategies" taking initial letters from Client-oriented, Customized procedures, Cooperation and Constitution. "4C" also refers to Foresee(strategies to foresee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FTA policies) or For C(Customer or Customs). The KCS will continue to create new tasks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monitor their implementation process, and to help FTA regime successfully take root in Korea.

  • PDF

한·중 FTA와 한국 농식품의 중국 수출확대 방안 (The Korea·China FTA and the Export Promotion Strategies for Korean Agri-Food to China)

  • 이영수;권순국
    • 무역상무연구
    • /
    • 제67권
    • /
    • pp.187-208
    • /
    • 2015
  • The Korea China FTA was signed on June 1 2015. It includes some concessions regarding major export item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for the protection of primary industries and preferential tariffs for a number of products produced i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imary industries are what the Korean government paid the greatest attention to. Rice was excluded from the negotiations from the get go, and was joined by 548 other food items including pork, apples, pears, beef, chili, garlic etc. These foodstuffs account for about one-third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at Korea produces, and are not going to be subject to tariff elimi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Korean government policy is to maintain of agri-food export support system, eliminate of agri-food non-tariff barriers, foster of agri-food export SMEs and expand of investment of foreign agri-food company. Korean firms strategy is to establish of regional marketing strategy, ensure of high quality agri-food and develop of food packaging technologies, establish of agri-food export logistics center and take advantage of the FTA preferential tariff.

  • PDF

한·중 FTA의 대중국 자동차 무역 영향 고찰 (Analysis on the Effect of Korea-China FTA in the Automobile Trade)

  • 이승택;김성국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265-285
    • /
    • 2015
  • 다자간 무역기구인 WTO는 전통적 교역 분야 이외에 회원국의 국내 정책까지 관여하여 지역 정부의 역할과 자주성을 위협함에 따라 최근에는 양자간 FTA 체결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 환경 변화를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은 FTA 체결을 위한 실질적인 합의에 도달하였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분야는 우리나라가 국제 경쟁력을 지닌 주력 산업으로 분류되어 한 중 FTA의 수혜 업종으로 기대되었으며, 실제로 분석 결과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중국에 비해 세계 시장에서 비교우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 중 FTA 관세 철폐 계획에서 자동차는 양허 대상 품목에서 제외되어 우리가 기대했던 관세 철폐를 통한 한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을 누릴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 자동차 업계는 중국의 비관세 장벽 철폐 등 투자 환경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대중국 투자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한 중 FTA상 자동차의 양허 편입에 대비하여 중국 내 세계 유수 자동차 업체의 대한국 수출 확대 가능성 방지를 위한 엄격한 원산지 규정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중국 내 브랜드 전략을 더욱 강화하며 친환경 차량 개발 지원을 통해 중국의 환경 정책에 부응하면서 관련 시장을 창출 확대해야 한다.

  • PDF

원산지의 제반이론과 규정 분석 그리고 원산지 판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ules of Origin Review and Rules of Origin Judgement)

  • 이제홍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2호
    • /
    • pp.351-371
    • /
    • 2007
  • This study article is a study on the rules of origin review and rules of origin judgement. a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shall be studies to korea foreign law and Korea American FTA in origin country regulation. this article are two most important elements in determining market access in a FTA. that is the coverage of tariff elimination and rules of origin. The rule of origin in a FTA greatly influences the creation of economic profit and distribution. Therefor, The Result of the article is review to protection of domestic customers and domestic industries in rules of origin. This study contributes to a understanding of judgement of rules of origin and extend level of generalization of exchange law, WTO, FTA Regulations by review interaction relation.

  • PDF

WTO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이 항공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나라의 정책 방향 (The Effect on Aviation Industry by WTO Agreement on Trade in Civil Aircraft and Policy Direction of Korea)

  • 이강빈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7-280
    • /
    • 2020
  • 항공기 부품 교역의 무관세화 및 자유화를 위하여 WTO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이 1995년 WTO 출범 시 WTO 설립협정 부속서 4 복수국 간 무역협정으로 별도 체결되었으며, 현재 미국, EU 등 33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가입하지 않고 있다.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의 주요 내용은 적용 대상 물품, 관세 및 기타 과징금의 철폐,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에 관한 협정의 적용, 정부에 의한 민간항공기 조달지시의 금지, 수입 또는 수출 수량 제한이나 허가조건의 적용 배제, 보조금 및 상계조치에 관한 협정의 적용, 민간항공기 교역위원회, 본 협정 관련 문제의 협의 및 분쟁해결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현행 관세법은 2018년 12월 31일 제89조 제6항이 신설되어 항공기 부품 수입 시 관세감면율이 2019년 5월부터 단계적으로 축소되어 2026년에 관세감면제도가 폐지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서,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이 항공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첫째 항공운송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항공기 부품 관세감면제도가 폐지되는 2026년부터 국내 항공운송업계의 관세 부담액은 연간 약 1,6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에 가입 시 국내 항공운송업계는 항공기 부품을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게 됨으로 3-8%의 수입관세를 부담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둘째 항공정비(MRO)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항공기 부품 관세감면제도가 단계적으로 축소 내지 폐지될 경우 국내 엔진정비와 부품정비 분야에서 해외 외주비가 2018년 기준 12,903억 원에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에 가입 시 항공정비업계가 항공기 부품을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게 되어 해외 외주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항공기 부품 교역 자유화 정책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FTA를 활용한 관세감면으로서, 항공기 부품 수입 시 FTA를 활용하여 관세감면 혜택을 받기 위하여는 원산지 증명 발급을 거부하고 있는 미국, EU 등의 해외 거래업체로부터 이를 확보하여야 하며, 또한 항공기 부품의 해외 임가공 수입에 대한 관세 감면 규정이 미비한 한-싱가포르 및 한-EU FTA 협정문의 규정을 개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둘째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의 가입 추진으로서, 전술한 FTA를 활용한 관세감면 방식은 모든 항공기 부품의 원산지 증명 발급이 곤란하며, 또한 해외임가공 물품의 수입 관세 감면 규정이 미비한 한-싱가포르 및 한-EU FTA규정의 개정보완 작업에 진전이 없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항공기 부품 교역의 무관세화를 위하여는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의 가입을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셋째 관세법 상 항공기 부품 관세감면제도의 개선으로서, 항공기 부품 교역의 자유화를 위한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 가입 시까지는 상당기간의 소요가 예상되므로 관세법 제89조 제6항에 의한 항공기 부품의 관세감면제도가 계속되도록 별도 개선조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가 WTO 민간항공기 교역 협정에 가입하여 항공기 부품교역에 대한 무관세화와 자유화를 달성함으로써 우리 항공산업이 외국 항공산업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한중 FTA체결에 따른 정부의 MRA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TBT 및 적합성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Mutual Recognition Agreement for Korea-China FTA: Focused on TBT and Conformity Assessment)

  • 전병호;강병구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177-201
    • /
    • 2015
  • 한국은 경제성장에 있어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나라로, 특히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비관세 장벽 중 무역상 기술 장벽(TBT)의 중요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한국과 중국 양국간 교역에서 기술장벽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무역상 기술장벽의 제거는 FTA 체결에 있어서 한국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쟁점 사항 중 하나이다. 상호인정협정(MRA)이 그러한 기술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기존의 연구들은 MRA가 수입 장벽을 완화시켜 주고 국제 시장에서 많은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가서명된 한중 FTA 체결에 있어서 MRA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는데, 교역량과 양국간 규제의 차이를 고려한 적합한 MRA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MRA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MRA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한 분석에 그치고 있는데 반해, 본 연구는 한국과의 교역량이 큰 중국이라는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MRA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