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R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1초

VDT 작업 시 의자 등받이 높이가 생체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krest Height on Biomechanics Variables During VDT (Visual Display Terminal) Work )

  • Jinjoo Yang;Sukhoon Yoon;Sihyun Ryu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 among the heights of a chair's backrest (High, Mid, No), the biomechanical changes chair users undergo over time, and the variables that can measure musculoskeletal disorders, eventual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ppropriate type of backrest. Method: Eleven healthy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no experience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or surgical operations within the last 6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uter typing tasks were randomly designated and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chair backrest, and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Flexion-Relaxation Ratio (FRR) analysis after the computer typing tasks. This study used eight infrared cameras (sampling rate: 100 Hz) and nine-channel electromyography (sampling rate: 1,000 Hz).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ults,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being α = .05. Resul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aniovertebral angle (CVA), this study showed time and interaction effect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backrest (p<.05). When working without the backrest, the head-spine angle was lower compared to the chairs with backrest, based on the computer work. As for the head angle, the higher the back of the chair was, the less the head flexion and the body angle became, whereas the body flexion became less when there was a backrest. In addition, the body flexion increased over time in all types of backrests (p<.05). Th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body tended to be high in the high backrest chair. On the other hand, a lower muscle activity was found with a low backrest.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a chair is more ergonomic when the body angle is correctly set without bending and when it is supported by a low backrest. Accordingly, this study determines that the backrest affects shoulder and neck musculoskeletal disorders during typing and that medium-height backrest chairs can help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high-backrest chairs are preferable.

장파장 근적외선 조명 및 밴드 패스 필터 기반 이동형 홍채 인식 시스템 및 성능 평가 (Mobile Iris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Near Infrared Light Illuminator of Long Wavelength and Band Pass Filter and Performance Evaluations)

  • 조소라;남기표;정대식;신광용;박강령;신재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125-1137
    • /
    • 2011
  • 최근, 휴대성과 이동성이 뛰어난 모바일 단말기 환경에 홍채 인식 기술을 도입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 되었는데, 이러한 모바일 홍채 인식 시스템은 취득된 홍채 영상 품질에 따라 인식률이 좌우된다. 홍채 영상은 취득 시 조명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기존의 시스템은 태양광이 없는 실내에서는 높은 인식률을 보이나, 실외 태양광 환경에서는 외부태양광이 홍채 영역에 투사되어 입력 영상 내에서 홍채 패턴의 그레이 레벨 변화, 고스트(Ghost region) 및 속눈썹 그림자(Eyelash shading region) 발생 등의 요인으로 인식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850nm 근적외선 조명과 850nm 대역 밴드 패스 필터를 장착한 홍채 카메라 시스템을 제안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의 홍채 인식시스템과 제안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내 및 실외 태양광 환경에서 취득한 홍채 영상으로부터 홍채코드를 추출한 후 타인 수락률(False Acceptance Rate), 본인 거부율 (False Rejection Rate)을 통한 균등 에러율(EER, Equal Error Rate)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시스템 보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EER이 실내 정면 조명일 때 약 0.96%, 실외 정면 조명일 때 약 4.94%, 실외 측면 조명일 때 약 9.24%, 실외 후면 조명일 때 약 7% 낮아지는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임베디드 직렬 다중 생체 인식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bedded Serial 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 System)

  • 김정훈;권순량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9-54
    • /
    • 2006
  • 현재의 지문 인식 시스템은 지문 패턴의 복제와 지문 특징점의 해킹이라는 불안한 요소가 잠재되어 있어, 시스템 오동작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체의 일부인 지문을 주 핵심 인식기로 사용하고, 여기에 최근 널리 이용 되고 있는 화자 인증을 이용하여 직렬 형태의 다중 생체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다중생체인식시스템으로 먼저 음성에 대한 인증과정이 성공하면 지문에 대한 인식과정을 수행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효율적인 실시간 인증 처리를 위해 기존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 중에서 화자 종속형인 DTW(Dynamic Time Wan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지문 인식 알고리즘으로는 계산량을 고려하여 인공지능 기법인 KSOM(Kohonen Self-Organizing feature Map)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다중생체 인식시스템을 실험한 결과 지문과 음성을 각각 이용한 단일인식시스템보다 본인거부율은 $2\~7\%$정도 떨어졌지만, 인식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타인수락율은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인식테스트 시간 또한 기존의 단일 생체 인식 시스템과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인식에 걸린 시간은 평균 1.5초 정도였다. 이에 구현된 다중 생체 인의 시스템은 여러 가지 실험 결과 단일 인식 시스템보다 더 효율적인 보안 시스템임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