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P 복합재료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6초

다양한 표면형상에 따른 FRP 보강재의 부착특성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Bond Characteristics of FRP Reinforcements with Various Surface-type)

  • 정우태;박영환;박종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A호
    • /
    • pp.279-286
    • /
    • 2011
  • FRP 긴장재는 PS 강연선의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FRP 긴장재의 재료특성(부착강도, 인장강도, 전달길이 등)은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재료특성 중에 부착은 FRP 긴장재로 긴장된 PSC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 명확하게 요구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표면형상을 갖는 FRP 보강재의 부착특성을 연구하였다. 콘크리트의 철근과 강연선 대신에 사용되는 FRP 재료의 부착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CAN/CSA S806-02에서 제안된 직접인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강연선, 이형 철근, 6가지 다른 표면 형상을 갖는 탄소 또는 유리섬유 FRP 보강재에 대하여 총 40개의 시편이 제작되었다. 부착실험 결과 각 실험체의 다양한 부착응력-슬립 곡선을 나타냈고, 국내에서 제작된 CFRP 긴장재의 부착특성과 비교하였다.

섬유복합재료(FRP)의 건설 적용 사례 연구(교량편) (A Study on the Application Case in Civil Structur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Bridges))

  • 한복규;홍건호;김기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35-41
    • /
    • 2006
  • FRPs have been used widely and demonstrated in the field of aero industries etc., and began to be used as new construction materials of civil structures. Pre-stressing tendons, reinforcing bars etc. are all examples of the many diverse applications of FRP in new structures. Especially, 40 of all-FRP bridges were reported. The reason why FRP composites were used fur construction materials of civil structures, has been that the working time and the cost of maintenance can be reduced because of the effect of their lightness and dur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examples of the many diverse applications of Fiber Reinforced Plastic in construction materials of civil structures.

폐FRP 미분말을 재활용한 BMC 복합재료의 제조 및 기계적 물성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ulk Molding Compound Composite Prepared using Recycled FRP Waste Powder)

  • 황의환;전종기
    • 공업화학
    • /
    • 제21권2호
    • /
    • pp.217-223
    • /
    • 2010
  • 일반적으로 FRP 폐기물은 단순하게 매립하거나 소각처리하고 있다. 매립은 난분해성으로 인하여 토양을 영구 오염시키고, 소각은 분진과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FRP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 매립, 소각, 화학적 재활용, 재료적 재활용 및 연소열의 에너지활용 등 몇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재료적 재활용을 포함한 모든 처리방법이 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관점에서 제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재료적 재활용방법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료적 재활용의 가능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첨가량을 다양하게 변화(25, 30, 35 wt%)시키고 또 충전재 대신 폐FRP 미분말을 대체(0, 25, 50, 75, 100 wt%) 사용하여 다양한 BMC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BMC시편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내열수성시험 및 전자현미경 관찰을 행하였다. 시험결과 폐FRP 미분말의 치환량이 증가됨에 따라 기계적 강도는 감소되었으며, 내열수성시험에 의하여 시편의 물성은 크게 열화되었다. 폐FRP 미분말의 치환량 50 wt% 이상에서 BMC의 유동성이 크게 저하되어 BMC 복합재료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인발성형된 FRP 바닥판의 형상 최적설계 (Shape Optimum Design of Pultruded FRP Bridge Decks)

  • 조효남;최영민;김희성;김형열;이종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19-332
    • /
    • 2004
  • 복합재료(FRP)는 재료적 고비강도, 고내구성 등으로 인하여 건설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인발성형된 FRP 바닥판의 형상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최적설계의 정식화에서 목적함수는 단위모듈의 체적을 최소화하도록 하였으며, 설계변수는 바닥판 단면의 기하적 치수와 재료적 물성을 사용하였다. 반면 바닥판의 성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설계 제약조건으로 처짐규정, 재료파괴 기준, 좌굴하중, 바닥판 최소두께와 응력을 사용하였다. 단면형상의 효율적 결정과 시공성을 고려하여 구조적 보조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튜브 모양의 형상으로 제한하였으며, 최적화 알고리즘은 Index기법을 적용하여 수렴성을 극대화한 개선된 GAs를 사용하였다. 상용 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구조해석 결과를 최적화 과정에 필요한 제약조건으로 활용하고,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최적화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하여, 40m의 지간, 폭 12.14m에 주형 간격이 2.5m인 단순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도로교 설계 기준을 만족하는 DB-24하중을 적용하였다. 복합재료의 재료로 E-glass섬유를 사용하였으며, 최적설계를 수행한 결과 인발성형공법에 의한 실용적인 단면을 제안하였다.

나선형 철근 및 섬유에 의하여 동시에 구속된 원형 콘크리트 실린더의 거동 (Behavior of Circular Concrete Cylinders Confined with Both Steel Spirals and Fiber Composites)

  • 이정윤;오영준;정훈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75-184
    • /
    • 2004
  • 횡방향철근에 의하여 구속된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섬유에 의하여 보수$\cdot$보강할 경우에 그 부재는 철근과 섬유에 의하여 동시에 구속된다. 이렇게 두 가지 재료에 의하여 복합구속된 콘크리트의 거동은 구속재료의 응력-변형률 곡선 및 구속압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 논문에서는 나선형철근과 섬유에 의하여 동시에 구속된 24개의 실린더 실험을 통하여 복합재료에 의하여 구속된 콘크리트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의하면 복합재료에 의하여 구속된 콘크리트의 거동은 한 가지 재료만에 의하여 구속된 콘크리트의 거동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섬유복합재료(FRP)의 건설 적용 사례 연구 (건축편) (Application Technologi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on the Building Structure)

  • 한복규;권영진;박성우;홍건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37-42
    • /
    • 2006
  • In the past, the technology of strengthening structures using FRP composites was still in its infancy, with very few publications on the technology available. However, recently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RC) and other structures using advanced fibre-reinforced polymer/plastic(FRP) composites has become very popular in the last few years. As the well-known advantages of FRP composites including both good corrosion resistence and ease for site handling due to their light weight, also its design methods have been ensured the safe and economic use of this new technology, FRPs have been used widely and demonstrated in the field of aero industries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examples of the many diverse applications of Fiber Reinforced Plastic in construction materials of structures.

고성능 팽창재를 이용한 FRP 긴장재의 정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Non-Metallic Anchoring System for FRP Tendons)

  • 김덕현;조병완;이계삼;김영진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28
    • /
    • 2001
  • Since non-corrosive Fiber Reinforced Polymer(FRP) tendons have been in increasing use for underground and coastal structures constantly contacted with fresh water or sea water because of their superiority to metallic ones in corrosion-resistance, new non-metallic anchoring system for FRP tendons has been developed and investiga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endon force, which consist of mainly FRP pipes and Highly Expansive Mortar(HEM). The major factors considered in this experiment were expansive pressures of HEM during its hydration, sleeve lengths and types, and anchoring methods of tendon. New anchoring system were investigated from the pull-out tests. The pull-out procedures of the FRP tendons in the various pipe filled with HEM were analyzed and improved ideas were suggested to develop novel non-metallic anchoring system for FRP tendons The pull-out tests for the FRP tendon and new non-metallic anchoring system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non-metallic anchoring system for the FRP tendon has been more stablized due to the gradual expansive pressrure of HEM, as tims goes. Since tile lower stiffness of FRP pipes causes the weakness of anchoring force, it requires the increase of stiffness using a carbon fiber or an increased section area.

  • PDF

FRP 보강재의 Box 형상 설계 및 거동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Evaluation & Box Shape Designs of FRP Stiffeners)

  • 정우영;송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65-16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이용되는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형상에 관한 연구로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및 FRP 보강재의 형상(Plate, Box)을 실험 변수로 하여 FRP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 평가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T. J. Teng 등이 제안한 설계식을 이용하여 보강량을 결정하였고 기존의 FRP Plate 보강재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FRP Sandwich box 보강재를 설계, 적용하여 보았다. 연구의 결과 예상과 달리 FRP Plate 보강재가 Sandwich box 보강재보다 보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보강재 제작상의 한계점 및 core 재료가 너무 약하여 Sandwich box 보강재의 Top Plate와 Bottom Plate가 일체화 거동을 하지 못하여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 PDF

박벽 복합재료의 해석 및 설계기술 현황 (Analysis and Design of Thin-walled Composite : State-of-the-art review)

  • 이재홍;김영빈
    • 전산구조공학
    • /
    • 제17권1호
    • /
    • pp.15-24
    • /
    • 2004
  • 첨단 산업 시대에 도래하면서 재료와 화학 공학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구조용 신소재인 복합재료가 등장하게 되었고, 많은 공학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었다. 최근들어 건설 산업에 복합재료의 일종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재료를 철골 부재와 같은 얇은 판, 개단면의 형태인 박벽 복합재료를 사용하려는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건설 분야의 기술자들은 박벽 복합재료의 해석 및 설계 기술력과 산업화 활용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