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P 복합재료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9초

기둥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섬유보강 복합체의 적용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RC columns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 장준호;권민호;김진섭;주치홍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7-127
    • /
    • 2012
  • 최근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내진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FRP 복합재료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복합재료를 사용한 내진보강재는 강성과 연성을 가진 재료이어야 하므로 복합재료 보강재 설계 시 강성재와 섬유의 선택이 중요한 변수이다.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최적조합을 인장 테스트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섬유보강 복합재료 보강재를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 기둥부재에 보강하는 것을 가정하여 유한요소 해석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효과를 변위-하중 관계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섬유보강 복합재료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구조물의 내진성능이 증가한다는 해석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라인 브레이딩 펄트루젼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강화 복합재료 리바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Hybrid Fiber Reinforced Plastic Rebar Using In-Line Braiding and Pultrusion)

  • 신용욱;한길영;이동기;심재기;오환교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62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 for a ductile Fiber Reinforced Plastic(FRP)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material hybrid and geometric hybri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seudo-ductility characteristic can be generated in FRP rebar. Ductile hybrid FRP bar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at 4mm and 10mm nominal diameters using an hand lay up method. Tensile specimens from these bar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behavior of FRP rebar and steel bar

  • PDF

브레이드 투루젼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케블라-유리섬유 강화 복합재료 리바 특성 (Characteristics of Kevlar-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or Concrete Structure by the Braidtrusion process)

  • 최명선;곽상묵;배시연;이동기;심재기;한길영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8-52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 for a ductile Fiber Reinforced Plastic(FRP)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material hybrid and geometric hybri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seudo-ductility Characteristic can be generated in FRP rebar. Ductile hybrid FRP bar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at Ø3mm and Ø10mm nominal diameters using the braidtrusion process. Tensile and bending specimens from these bar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behavior of stress-strain of steel bar and GFRP rebar

  • PDF

FRP로 휨보강된 FRP-콘크리트 합성압축재의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Flexurally Reinforced FRP-Concrete Composite Compression Member with FRP)

  • 박준석;주형중;남정훈;윤순종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0-16
    • /
    • 2010
  • 건설분야에서 환경적, 사회적 요구의 변화로 인해 기존의 건설재료와 괸련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건설재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토목분야에서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때 만족시켜야 할 요구조건 또한 다양화 되고 있다. 토목분야의 새로운 건설재료로서 섬유보강플라스틱은 탁월한 부식저항성, 높은 비강도/비강성 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성질은 기존 건설재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완화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신규 건설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신형식 교각이나 해상파일 등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것들은 보통 섬유보강플라스틱 튜브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형식이다. 이 연구에서 압축 및 휨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보강플라스틱 튜브에 철근콘크리트를 채운 합성파일을 제안하고 실험과 해석을 바탕으로 하중재하성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자기진단 FRP의 도전기구 해석 (Analysis of conductive mechanism on self-diagnosis FRP)

  • 임현주;이학용;신순기;이준희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30
    • /
    • 2003
  • In order to apply fracture detection we fabricated the CP-FRP using carbon-powder and analyzed conductive mechanism of it. The composites showed lower initial resistance as the carbon powder and amount of glass fiber(TEX) was used much more. When thos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at before and after bending test, the more cracks observed in matrix after bending test. We become to know that the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depends on percolation structure of carbon powder.

  • PDF

FRP Re-bar 보강 직사각형 단면 콘크리트 보의 구조적 거동 및 설계방법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 and Design Criteria of FRP Re-bar Reinforced Rectangular Concrete Beam)

  • 주형중;옥동민;박주경;윤순종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6-279
    • /
    • 2005
  • FRP Composite materials are widely applicable in the construction industries as a load-bearing structural element or a reinforcing and/or repairing materials for the concrete. In this paper, we presented the flexural behavior of FRP Re-bar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s and only FRP re-bars reinforced concrete beams. FRP Re-bar manufactured by different fibers but the same vinylester resin. Also, surface of FRP Re-bars is coated garnet and glass fiber by epoxy to increase the adhesive to concrete. Experimental investigation pertaining to the load-deflection and load-strain characteristics of two classfied specimens is presented and the theoretical prediction is also conducted. In the investigation, the effects of FRP Re-bar reinforcement are estim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arc compared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Good agreements arc observed.

  • PDF

철근콘크리트 보의 성능개선을 위한 Hybrid FRP 보강재 연구 (Studying on the Hybrid FRP Stiffener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trengthened RC Beam)

  • 안미경;이상문;정우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43-244
    • /
    • 2010
  •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을 위하여 활용되는 재료는 매우 다양하다. FRP의 경우 우수한 무게-강성비 및 시공성을 바탕으로 최근 활발히 활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FRP 휨 보강재의 활용에 있어 취성적 재료특성은 실제 현장적용에 있어 콘크리트 박리파괴 유발 및 단부 부착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고려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FRP 휨 보강재의 연성적 거동을 개선하기위하여 복합재료 구성요소 중 Fiber의 적층면적 중 일부분을 알루미늄 재료로 대체하여 휨 보강재로서의 구조적 성능을 조사하였다. 연성보강 fiber로는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이 고려되었으며 다양한 배합설계 조건이 본 연구에서 수행되었다. 최종적으로 알루미늄 삽입 보강재 제작에 따른 연성개선 및 에너지 저장효과에 대한 결과들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 PDF

FRP Box와 판으로 보강된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 of Bridge Deck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ox and Plate)

  • 남정훈;정상균;윤순종;김병석;조근희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17
    • /
    • 2004
  • In recent years, the deterior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civil engineering fields. This situation is mainly due to corrosion of steel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concrete. Recently, there has been a greatly increased demand for the use of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in civil engineering field due to their superior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concrete bridge deck reinforced with FRP Box, FRP Plate, and FRP Re-bar. In tlIe study,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Box, FRP Plate, GFRP Re-bar, and CFRP Grid have been investigated. Full scale one-way deck slab was tested under four point lateral load (equivalent to actual wheel load of DB-24 including impact). Load-deflection and load-strai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VDT's and strain gages attached to the specimen.

  • PDF

3차원 구성관계를 고려한 FRP-구속 콘크리트의 압축거동 예측모델 (Prediction of Compressive Behavior of FRP-Confined Concret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Constitutive Laws)

  • 조창근;권민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501-509
    • /
    • 2004
  • 제안된 모델은 FRP 구속 콘크리트에 대한 압축거동 예측을 위한 것이다. FRP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모델링을 위하여, 3축 응력상태의 콘크리트 아탄성 구성관계를 제시하였다. FRP 구속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증진은 3축 응력공간의 파괴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대응하는 최대 압축변형률은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형률 증진계수로부터 결정된다. 따라서, 기존의 모델들이 하중단계에 관계없이 구속조건이 초기부터 파괴까지 일정하게 고려되는 반면에, 제안된 모델은 FRP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구속현상을 하중단계에 의존적인 비선형 관계로 제시하였다. FRP 층은 2차원의 적층된 복합재료의 해석에 기초하여 모델링되었다. 개발된 해석모델은 증분법에 의한 압축거동실험에 대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FRP로 구속된 콘크리트 실린더의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와 본 예측모델을 비교한 결과, 제안된 모델은 축방향 변형 뿐만 아니라 횡방향 변형을 포함하여 FRP 층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구속효과의 증진에 관한 거동 특성들을 잘 예측해 주었다.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개발 (On the Development of Hybrid Composites with Non-Woven Tissue)

  • 이승환;노구찌히로시;정성균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20-27
    • /
    • 2006
  •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일반적인 섬유강화 적층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부직포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는 전형적 FRP 프리프레그와 부직포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전 있다. 부직포 프리프레그는 부직포와 수지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다. 부직포는 단섬유가 평면상에 불규칙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된 형상이다.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의 개발목적은 (i) 적층간의 층간특성(층간파괴인성 및 층간강도)을 향상시키고, (ii) 저비용으로 재료의 기계적 강도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하며, (iii) 복합적층판에서 강화가 요구되는 층에 인성과 강도를 부여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직포층의 기포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조기술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복합적층판의 층간파손특성이 크게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