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DISTRIBUTION OF TOTAL LENGTH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Relationship between roar sound characteristics and body size of Steller sea lion

  • Park, Tae-Geon;Iida, Kohji;Mukai, Tohru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4호
    • /
    • pp.458-465
    • /
    • 2010
  • Hundreds of Steller sea lions, Eumetopias jubatus, migrate from Sakhalin and the northern Kuril Islands to Hokkaido every winter. During this migration, they may use their roaring sounds to navigate and to maintain their groups. We recorded the roars of wild Steller sea lions that had landed on reefs on the west coast of Hokkaido, and those of captive sea lions, while making video recordings. A total of 300 roars of wild sea lions and 870 roars of captive sea lions were sampled. The fundamental frequency ($F_0$), formant frequency ($F_1$), pulse repetition rate (PRR), and duration of syllables (T) were analyzed using a sonagraph. $F_0$, $F_1$, and PRR of the roars emitted by captive sea lions increased in the order male, female, and juvenile. By contrast, the $F_1$ of wild males was lower than that of females, while the $F_0$ and PRR of wild males and females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Moreover, the $F_0$ and $F_1$ frequencies for captive sea l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wild sea lions, while PRR in captive sea lions was lower than in wild sea lions. Since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body length and the $F_0$ and $F_1$ frequencies in captive sea lions, the body length distribution of wild sea lions could be estimated from the $F_0$ and $F_1$ frequency distribution using a regression equation. These results roughly agree with the body length distribution derived from photographic geometry. As the volume of the oral cavity and the length of the vocal cords are generally proportional to body length, sampled roar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a population, such as the body length distribution and sex ratio.

mechanism of Equivalent Power Distribution in Parallel Connected ICP for Large Area Processing

  • 이진원;배인식;안상혁;장홍영;유신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510-510
    • /
    • 2012
  •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웨이퍼의 크기가 증가하고, 생산률이 플라즈마의 밀도에 비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대면적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ECR, ICP, Helicon plasma 등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ICP를 결합한 multiple ICP를 이용해 대면적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 개발을 진행했다. Multiple ICP의 경우 각 ICP 소스에 같은 power (current)를 공급해야만 균일한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되어 균일도를 확보 할 수 있다. Current controller 같은 추가적인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power를 분배하는 transmission line을 coaxial 형태로 설계하고 같은 길이로 병렬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ICP소스에서 균일한 플라즈마를 방전시킬 수 있었다. Power generator에서 보는 각 ICP의 total impedance는 각 ICP 소스의 impedance와 coaxial 형태의 transmission line의 characteristic impedance, frequency, 길이의 함수로 구할 수 있고, 이 total impedance가 일정하기 때문에 current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각 ICP소스에 균등한 power 분배가 가능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ICP 소스의 impedance는 플라즈마 방전 유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Transmission line의 characteristic을 사용함으로써 ICP의 impedance의 변화에 상관없이 Total impedance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균등한 power 분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연구했다. Frequency는 13,56MHz, characteristic impedance를 $50{\Omega}$ (coaxial cable)으로 고정하고, ICP 소스의 플라즈마 방전 유무/antenna turn/소스 위치에 따른 total impedance를 transmission line의 길이에 따라 측정하고, 이를 이론값, 그래프와 비교하였다. 특정 length에서 플라즈마 방전 유무(ICP의 impedance 변화)와 상관없이 비교적 일정한 total impedance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 했다. 이것은 특정 길이를 갖는 coaxial형태의 transmission line를 연결하면, total impedance는 플라즈마 방전 유무로 발생하는 ICP의 impedance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각 ICP소스에 균등한 파워 분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이다. 이것을 토대로 frequency에 따라(또는 characteristic impedance에 따라) 균등한 파워 분배가 가능한 coaxial 형태 transmission line의 특정 길이를 구할 수 있고, 대면적 소스에서 균등한 파워 분배를 위한 병렬연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음향산란이론모델을 이용한 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음향산란강도 추정 (Target Strength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us by Theoretical Acoustic Scattering Model)

  • 박근창;오우석;이유원;이형빈;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02-309
    • /
    • 2024
  • This study estimates the target strength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required for studying their distribution and density using acoustics and evaluates the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anchovies by frequency using the Kirchoff ray mode (KRM) mode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30 anchovies with 4.7-21.5 cm total length. The maximum TScm (Simming angle, 9.1°; standard deviation, ± 13.1°) according to total length was -66.9, -65.2, -64.4, and -63.4 dB at 38, 70, 120, and 200 kHz, respectively. The average TScm (Simming angle: 9.1°, standard deviation: ± 13.1°) according to total length was -68.9, -68.8, -69.6, and -70.0 dB at 38, 70, 120, and 200 kHz,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future studies that use acoustics to estimate the target strength of anchovies.

경상분지 남동부 일대의 백악기 및 제3기 암류에서 발달하는 단층분절의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Fault Segments in Cretaceous and Tertiary Rocks from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9-120
    • /
    • 2018
  • 경상분지 남동부 일대의 백악기 및 제3기 암류에서 발달하는 단층분절에 대한 분포특성을 도출하였다. 선형을 보이는 267조의 단층분절은 광역 지질도 상에서 표시된 곡선의 단층선에서 추출하였다. 첫째, 단층분절에 대한 방향각(${\theta}$)-길이(L)의 도면을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단층분절의 전반적인 분포형태를 도출하였다. 도면의 분포곡선은 전체 형태에 따라서 4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구간의 정점에 해당하는 북북동, 북북서 및 서북서의 방향은 양산, 울산 및 가음 단층계의 방향을 시사한다. 단층분절의 집단은 최대 정점에 해당하는 $N19^{\circ}E$의 방향에 대하여 거의 대칭 분포를 보여 준다. 둘째, 방향각-빈도수(N), 평균 길이(Lm), 총 길이(Lt) 및 밀도(${\rho}$)의 도면을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상기한 도면의 전 영역을 분포곡선의 분포상에 의하여 19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상기한 영역의 정점에 해당하는 방향은 암체에 가해진 대표적인 응력의 방향을 시사한다. 셋째, 18개의 부집단에 대한 길이-누적 빈도수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지수(${\lambda}$)는 시계방향($N10{\sim}20^{\circ}E{\rightarrow}N50{\sim}60^{\circ}E$)과 반시계방향($N10{\sim}20^{\circ}W{\rightarrow}N50{\sim}60^{\circ}W$)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반면 길이의 분포 폭 및 평균 길이는 감소한다. 서로 다른 진화 특성을 갖는 상기한 부집단에 대한 도면은 진화과정의 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18개의 그래프에 대한 종합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상기한 그래프를 분포 구역에 따라 5개의 그룹(A~E)으로 분류하였다. 단층분절의 길이는 그룹 E ($N80{\sim}90^{\circ}E{\cdot}N70{\sim}80^{\circ}E{\cdot}N80{\sim}90^{\circ}W{\cdot}N50{\sim}60^{\circ}W{\cdot}N30{\sim}40^{\circ}W{\cdot}N40{\sim}50^{\circ}W$) < D ($N70{\sim}80^{\circ}W{\cdot}N60{\sim}70^{\circ}W{\cdot}N60{\sim}70^{\circ}E{\cdot}N50{\sim}60^{\circ}E{\cdot}N40{\sim}50^{\circ}E{\cdot}N0{\sim}10^{\circ}W$) < C ($N20{\sim}30^{\circ}W{\cdot}N10{\sim}20^{\circ}W$) < B ($N0{\sim}10^{\circ}E{\cdot}N30{\sim}40^{\circ}E$) < A ($N20{\sim}30^{\circ}E{\cdot}N10{\sim}20^{\circ}E$)의 순으로 증가한다. 특히 그래프의 형태는 균등 분포에서 지수 분포로 점차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단층분절의 길이에 대한 여섯 개 변수의 값을 5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여섯 개 변수 중, 평균 길이 및 가장 긴 단층분절의 길이는 그룹 III ($N10^{\circ}W{\sim}N20^{\circ}E$) > IV ($N20{\sim}60^{\circ}E$) > II ($N10{\sim}60^{\circ}W$) > I ($N60{\sim}90^{\circ}W$) > V ($N60{\sim}90^{\circ}E$)의 순으로 감소한다. 그룹 V에 속하는 단층분절의 빈도수, 최장 길이, 총 길이, 평균 길이 및 밀도가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준다. 5개 그룹 사이의 상기 배열순은 단층분절의 상대적인 생성시기와의 상관성을 시사한다.

자원량 추정을 위한 어체의 반사강도에 관한 연구 -동해남부해역의 앨퉁이(Maurolicus muelleri)의 분포특성 및 반사강도 측정 (Target strength of fishes for estimating bioma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target strength measurement of micronektonic fish, Maurolicus muelleri in the East Sea)

  • 윤갑동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4호
    • /
    • pp.404-409
    • /
    • 1999
  • The in situ target strengths of, maurolicus muelleri were measured by the split beam echo sounder system at the frequency of 38kHz.Target strengths were measured during the night time in order to obtain the pure separated echoes from the scattered individual. And also it was to establish reasonable threshold due to taking the signals like as the planktons and etc.Since Maurolicus muelleri is a typical micronektonic fish, they mainly consisted of deep scattering layers(DSLs), and had a vertical migration perrodically during daytime and at night.We found that the Maurolicus muelleri occupied about 99% of total catch. Total length ranged from 4.5 to 5.7cm with a mean of 5.2cm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22cm.The target strengths of Maurolicus muelleir ranged from -60.4 to - 52.7dB and -59.2 to - 52.5 dB in the water layer of 10~30m and 30~50m depth, perspectively. Mean target strength was -57.1dB/fish and -28.5dB/kg. The target strength had the relation with the total length of the fish as, TS=20logL-71.4.

  • PDF

한국 젊은 성인의 정규화된 아치 높이에 따른 발 유형 분석 (Analysis of Foot Type in Korean Young Adults Based on Normalized Arch Height)

  • 정도영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9-205
    • /
    • 2020
  • Background: The classification of foot type can be commonly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media longitudinal arch. The normalized arch height (NAH) is defined as the ratio of navicular or instep heights to the foot length or instep length.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foot characteristics, such as foot length (FL), instep length (IL), navicular height (NH), and instep height (IH), in Korean young adults. Also, the distribution of foot type based on calculated NAH was assessed. Methods: Three-dimensional foot scanning data of young adults aged 20 to 39 years (total: 1,978; 974 male, 1,004 female)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Technology Standards Institute, and used for analyses. NAH was calculated as the following: NH/FL, IH/FL, IH/IL, NH/IL. 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 was use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The Mann-Whitney U-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sex differences in foo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foot type. Results: FL and IL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r = 0.94). The correlations between FL or IL and IH (r = 0.50-0.57) were greater than those between FL or IL and NH (r = 0.23-0.72). Males had significantly larger values than females (p < 0.001), and the frequency of pes plan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χ2 = 50.09, p < 0.001). Based on the IH/IL index, the neutral foot, pes planus and pes cavus distributed by 16%, 78%, and 6% respectively. Conclusion: Our results on foot arch distribution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clinical or footwear fields, and our data on differences in arch structure according to sex may facilitate understanding of why injury to the lower limbs differs between males and females.

복원에 따른 양재천 어류 군집의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Fish Community Following the Restoration of Yangjae Stream)

  • 이황구;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73-883
    • /
    • 2015
  • 2012년 8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양재천의 어류상과 복원 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5과 18종 1,503개체가 확인되었다. 하천복원 이후 양재천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분포 조사결과 피라미(Zacco platyp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개체군이 높게 나타났다. 양재천에 서식하는 피라미 개체군의 전장 빈도 분포 결과 총 4단계의 연령대가 추정되었으며, 27~63mm (Age $0^+$)가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3.27, 비만도지수 slope는 양의 값으로 안정적인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내성도와 섭식도 길드 분석 결과 하류로 내려갈수록 민감종과 충식종은 개체수 풍부성이 감소하고, 내성종과 잡식종은 증가하였다. 군집지수와 IBI지수를 활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시기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1차와 2차조사시 특정 단일종 개체군의 영향이 높고, 3차조사시 다양한 어류의 개체수가 균등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태화강에서 처음 채집된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The First Record on the Rhynchocypris kumgangensis from Taehwa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45-750
    • /
    • 2016
  • 태화강에 분포하는 금강모치의 형태적 특징과 개체군 특징 조사를 2014년 4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실시하였다. 태화강 상류역인 국수천(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망성리)이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새로운 서식지로 확인이 되었으며 또한 강릉남대천 이남의 동해남부로 유입되는 하천에서도 처음 발견되었다. 태화강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한강 개체군에 비해 미병장(CPL)이 미병고(CPD)에 비해 짧았으며 그 외의 형질은 거의 일치하였다. 계수형질에 있어 태화강 개체군은 측선비늘수, 측선상부비늘수, 측선하부비늘수 등이 다소 적었고 그 외의 형질은 일치하였다. 전장빈도분포도는 45~65mm 이었고 평균 전장은 54.2mm 이었다. 공서어종 중 피라미(Zacco platypus) 25.2%,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24.1%) 참갈겨니(Zacco koreanus) 21.8% 등의 개체수 구성비가 높았다. 전장빈도 분포도는 45~65mm 이었고 평균 전장은 54.2mm 이었다.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BW=0.000002TL^{3.44}$로 상수 a는 0.000002을, 매개변수 b는 3.44 이었고 건강도는 평균 1.10 이었다.

호암천에서 처음 채집된 둑중개 개체군의 특성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 of First Record on the Cottus koreanus from Hoam Stream, Korea)

  • 변화근;이병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6-173
    • /
    • 2017
  • 호암천에 분포하는 둑중개의 형태적 및 개체군의 특징 조사를 2015년 10월과 2016년 4월에 실시를 하였다. 호암천 상류역(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대종천 상류)이 둑중개(Cottus koreanus)의 새로운 서식지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삼척오십천 이남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둑중개가 분포하는 범위는 기림사에서 용연폭포에 이르는 약 1.2 km 구간이었으며 수역은 약 $3,600m^2$ 이었다. 개체군 크기는 총 1,656개체, $100m^2$ 당 46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분포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좁았다. 호암천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한강 개체군에 비해 머리길이(head length), 배지느러미 길이(VFR-L), 가슴지느러미 길이(PFR-L), 입의 폭(MW) 등이 짧았으며 그 외의 형질은 일치하였다. 전장이 만 1년생은 40~59 mm, 만 2년생은 60~79 mm, 만 3년생은 8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239~468개이었으며 평균 361개 이었다. 성숙란의 직경은 $2.6mm{\pm}0.21$(2.3~3.1)로 대란형에 속하였다.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BW = 0.00001TL3.01로 상수 a는 0.00001을, 매개변수 b는 3.01 이었고, 평균 1.26 이었다.

2015년 하계 및 추계 동해 남서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유생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Larva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and Autumn, 2015)

  • 김윤하;신동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0-228
    • /
    • 2019
  •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살오징어 유생 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8, 9, 11월 여수 근해부터 평해 연안까지 총 35개 정점에서 IKMT 네트(망목 : $500{\mu}m$)를 사용하였으며, 초기 생활단계의 주요 해양환경 인자인 수온은 CTD(SBE9plus)로 관측하였다. 유생의 월별 외투장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software(ver. 12.0)를 이용하였다.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28개체로 외투장 범위는 1.4 - 21.9 mm였다. 유생밀도 범위는 8월에 $0.2-5.2inds./1,000m^3$, 9월에 $0.1-3.2inds./1,000m^3$, 11월에 $0.3-7.9inds./1,000m^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생은 연안측 정점보다 조사해역의 동남부인 부산 근해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8, 9, 11월의 유생출현률은 각각 64.3 %, 62.9 %, 68.6 %였다. 평균외투장 범위는 5.24 - 5.68 mm였으며, 월별 평균외투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또한 외투장 분포에서 4 - 5 mm 구간의 유생이 최다 출현빈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가 8월에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부터 약 20 m 부근까지 유생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온대가 존재하였던 반면, 9월과 11월에는 표층부터 유생이 서식하기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얕은 수심의 연안쪽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적수온대가 형성되었으며, 100 m 이상의 깊은 수심의 외양쪽 정점에서는 표층부터 수온약층의 상층부까지 유생의 생존가능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