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BR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초

RDA에 나타난 이용자 과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Task in Resource Description & Access)

  • 이경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9-122
    • /
    • 2012
  • 통본 연구는 미래 서지기술의 국제적 표준으로 등장한 RDA를 대상으로 하여 RDA에서 개발의 목적으로 지칭하고 있는 이용자 과업(user task)을 다룬다. RDA는 FRBR-FRAD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이용자 과업의 실현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용자 과업이란 이용자가 정보탐색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의 발견, 식별, 선정, 입수의 영역과 자원과 관련된 개체(개인, 기족, 단체, 개념 등)의 발견, 식별, 확인, 이해의 두 영역이다. 본 연구는 RDA의 개념모델인 FRBR-FRAD를 통해 RDA에서 어떻게 자원을 개체와 속성, 그리고 관계의 모델로 정의하고 있는지 분석함과 더불어 이를 근거로 RDA가 어떻게 이용자과업을 지원하고자 하는지 그 방법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KCR4 GMD 및 SMD 기술의 새로운 방안 모색 (A Study on New Method for Description of GMD and SMD of KCR4)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37-255
    • /
    • 2011
  • 본 연구는 이용자의 온라인목록 검색 향상과 FRBR 저작 및 표현형을 구현하기 위해 내용과 용기로 자원유형을 기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KCR4, 통합KORMARC의 자원유형 리스트의 내용과 용기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GMD 및 SMD 자원유형 기술 시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RDA와 ISBD(2010)의 자원유형리스트의 특징을 파악하고, KERIS 종합목록을 대상으로 비디오녹화자료, 녹음자료, 지도자료의 다양한 용어 사용과 기술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GMD, SMD 용어리스트에 일관성이 부족하였으며, 도서관에서는 내용유형과 용기 유형 용어를 자관에 맞게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새로운 방안으로 자원의 내용유형 기술의 필요성, 내용유형 및 용기유형 용어의 정립, 디스플레이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FRBR 개념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자원유형 기술에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FRBR 저작 개념 기반의 검색시스템 개발 연구 - 존경각 고서서지시스템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 retrieval system based on FRBR work concept)

  • 윤재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8
    • /
    • 2018
  • 오늘날의 정보세계에서 정보 자원은 유형이 빠르게 다양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자원과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원을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기존의 MARC 기반 검색시스템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서지 자원의 다양성과 관계성을 나타낼 수 있는 FRBR 모델의 저작 개념을 활용하여 새로운 검색시스템을 개발해 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의 고서서지시스템으로 해당 시스템의 서지레코드 중 청구기호는 저작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청구기호를 통해 저작 식별자를 생성하고 각 서지레코드에 할당함으로써 검색결과가 저작을 중심으로 표현되는 실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저작 단위로 검색결과를 표시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한 결과 이용자가 키워드 검색을 한 뒤 처음 마주하는 검색결과의 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 PDF

집합물의 FRBR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 RDA,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 of RDA & KCR4 Cataloging Rules for FRBRizing the Aggregates)

  • 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46
    • /
    • 2018
  • 본고는 집합물의 FRBR 구현을 위해 집합물 모델링을 바탕으로 RDA,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FRBR과 LRM의 집합물 모델링을 분석하고, 이러한 집합물 모델링에 따라 RDA, KCR4의 집합물 관련 목록규칙을 비교하여, 집합물을 위한 RDA와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객체지향모형으로 서지레코드를 기술하되, 가능한 집합저작과 수록된 개별저작을 모두 기술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한 개인이나 가족, 단체에 의한 집합물인 경우, RDA에서는 집합저작으로 전통적인 종합표제를 기술하는 것과 함께 개별저작을 기술하는 규칙을 마련해야 한다. KCR4에서는 집합저작과 개별저작을 기술하되 집합저작은 전통적인 종합표제를 사용하도록 규정해야 한다. 셋째, 여러 개인이나 가족, 단체의 집합물의 경우, RDA와 KCR4 모두 집합물의 표제가 있으면 집합저작과 개별저작을 같이 기술하고, 집합물의 표제가 없는 경우는 집합저작 보다는 개별저작을 기술하도록 한다. 넷째, 보유 집합물은 필요시 주된 저작의 표현형과 함께 집합저작, 보유 표현형으로 모두 접근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집합물을 위한 RDA,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제시하여 집합물의 FRBR 구현을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71-94
    • /
    • 2016
  • 본 연구는 FRBR 구현을 위해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의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기술을 위한 기본 틀로 ICP의 전거형접근점 지침과 FRBR/FRAD 개념모델, 내용규칙으로 RDA를 참조하였다. 입력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LC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JSC of RDA의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VIAF의 저작 전거레코드, 표현형 전거레코드를 조사하였다. 구축방안으로 첫째, 전거레코드 구조는 이름, 저작, 표현형 전거레코드로 구성되며 상호연계된다. 둘째, 저작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여 전거형접근점의 기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저작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저작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표현형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표현형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저작과 표현형의 연계를 위해 5XX에 상호 관계를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적용방안 및 고려사항은 국내목록규칙 개정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터넷 정보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in Metadata Framework for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 황상규;윤세진;오경묵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79
    • /
    • 2002
  • 웹 정보체계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정보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인터넷 정보를 기술하고 있는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표준들간의 상호운용성 문제가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FLA의 FRBR, INDECS, ABC 모델 등의 상호연동 모델들을 비교·분석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연동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상호운용성 모델을 개발, 제안하였다. 리소스모델의 기본·메타데이터 항목 요소들로부터 중심이 되는 개체(core entity)와 이와 연관된 주요 사건(core event)들을 식별하고. 이를 리소스중심 중간모델과 이벤트중심 중간모델로 변환(swapping)하는 과정을,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 모델간 전환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도서관에서의 Linked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s for Linked Data in Libraries)

  • 조명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81-198
    • /
    • 2010
  • 본고에서는 현재 문서중심의 웹에서 데이터 중심의 웹으로의 패러다임전환의 필요성을 논하고 있다. 이 새로운 틀 속에서, 인간이 이해하듯이 기계가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하여 의미가 통하는 웹을 만들자는 취지로 시작된 시멘틱웹의 한 부분으로서의 Linked Data를 활용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는 도서관 네트워크가 가능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Linked Data의 핵심개념, 핵심구성요소, 필요한 네 가지 원칙, 유용성을 설명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 의회도서관과 스웨덴 국립중앙도서관의 LIBRIS를 중심으로한 도서관 관계의 Linked Data의 활용도 살폈다. 특히 도서관에서의 시맨틱 레벨을 올리는데 앞장선 FRBR 및 RDA를 Linked Data 측면에서의 협조방향을 찾아봤으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두가지 모델을 제시했다.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보존 기술항목 프레임워크 구축 (Construction of Preservation Description Framework for Digital Archiving)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29-151
    • /
    • 2017
  • 현재 디지털 아카이빙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정보 모델링에서는 기술사항 생성을 위한 개념적인 프로세스만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정보자원의 보존 혹은 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생성에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한계를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아카이빙에서의 정보 개체를 효율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정보자원 클러스터의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XML 구문에 기반한 RDF를 적용하여 보존 기술항목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이는 OAIS 참조모델과 FRBR의 개념적인 구조를 결합하여 보존의 대상이 되는 정보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기술하고 보존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대안적인 접근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체자료 서지레코드 연결을 위한 BIBFRAME 기반 연계 구조 구축 (Construction of BIBFRAME-Based Linking Structure for Interrelating Bibliographic Records for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81-301
    • /
    • 2021
  • 단위저록 방식의 평면적인 서지구조를 통해 생성되는 대체자료 서지레코드는 레코드 수준에서 관련된 대체자료와의 연계가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장애인들이 대체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충분하게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BR 기반의 BIBFRAME 구조를 적용하여, 평면적인 대체자료 서지레코드와 다면적인 BIBFRAME 구조를 연결시킬 수 있는 연계 속성 구조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상위 수준의 연계 속성 카테고리를 구성하고 이를 BIBFRAME의 클래스와 속성에 연결시킴으로써 레코드 수준에서 관련된 대체자료 사이의 상호 연계가 가능한 서지 구조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