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P method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아미노산의 첨가가 anthocyanins 색소의 안정성과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s Addition on Stability and Antioxidative Property of Anthocyanins)

  • 오주경;임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62-566
    • /
    • 2005
  • 천연색소이며 항산화제인 anthocyanins을 포도과피로부터 추출하여 7가지의 아미노산(Arg, Lys, Gly, Ile, Glu, Asp, Met)을 색소용액(pH 3.5)에 첨가한 후 저장기간($30^{\circ}C$, 14일)동안 일어나는 색소의 강도, 안정성 및 항산화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색소의 강도는 Asp의 첨가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색의 안정성은 염기성 아미노산을 제외한 중성, 산성 아미노산과, 함유황 아미노산인 Met의 첨가 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DPPH법으로 측정한 anthocyanins 색소의 항산화능력은 저장기간 중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색소의 강도 감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 능력은 유지되었다. 아미노산의 첨가는 DPPH법에 의한 anthocyanins 색소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경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FRAP법으로 측정한 $Fe^{3+}$ 이온의 환원 능력은 Asp 또는 Met을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에 따른 ACTS002의 항산화 활성 및 지표성분의 함량 비교 (Comparison betwee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ndex Content of ACTS002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 이대연;심선형;김완수;이영우;이인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1-342
    • /
    • 2019
  • Objectives: Samul-tang is commonly used to alleviate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efficient method of extracting ACTS002 based on Samul-tang using the yiel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antioxidant assay. Methods: ACTS002 was extracted from each extraction solvent, and the contents of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 paeoniflorin, and ferulic acid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compared using HPLC.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CTS002 were measured using total flavonoids, total phenolic compound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n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Results: All of the components were set as the index contents because they were easy to proces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flavonoids was the highest in 70% ethyl alcohol extracts,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the highest in 50% ethyl alcohol extracts. In DPPH, 50% ethyl alcoh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in ABTS 70% ethyl alcohol extracts were the highest. In FRAP, 70% ethyl alcoh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Conclusions: ACTS002 can control quality by setting 5-HMF, paeoniflorin, and ferulic acid as the index cont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was relatively high in the 50% and 70% ethyl alcohol extracts. Our results can predict the possibility of a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the standardization of ACTS002.

건조방법에 따른 포도 가공부산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Pomace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육홍선;김경희;장순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53-1358
    • /
    • 2010
  •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포도 가공부산물의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포도부산물의 건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색도, pH,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회분, 조지방, 조단백 함량은 열풍건조시료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결과, L값(명도)과 a값(적색도)은 동결건조 한 시료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b값(황색도)의 경우 열풍건조시료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H는 열풍건조시료의 pH가 동결건조시료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동결건조시료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열풍건조시료에 비해 동결건조시료에서 비교적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환원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의 경우, reducing power 및 FRAP 값이 동결건조시료에 비해 열풍건조시료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수치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열풍건조시료에 비해 동결건조 시료가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황백의 지표성분 berberine과 palmatine의 분석법 개발과 검증 및 항산화 효능 평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and Antioxidant Effect for Berberine and Palmatine in P.amurense)

  • 장길웅;최선일;한웅호;문효;권희연;최예은;박병우;김정진;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4-55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온 황백의 대표적인 지표물질 berberine 및 palmatine의 동시 분석법을 개발 및 검증하고 지표물질들의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여 해당 물질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표준물질들의 동시 분석법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측정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지표물질들의 항산화 활성은 FRAP 활성, reducing power 및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으로 측정하였다. HPLC-PDA를 이용하여 berberine과 palmatine의 혼합용액을 분석하였을 때, 두 물질이 간섭 없이 선택적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Berberine 및 palmatine의 검량선의 상관계수 값은 모두 0.9999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 정확성과 정밀성은 농도를 알고 있는 황백 시료에 인위적으로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의 표준물질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계산하였다. 정밀성과 정확성은 일간실험 및 일내실험으로 확인하였다. Berberine의 일간 및 일내 정밀성은 1.27-1.93%, 0.12-0.56%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palmatine의 일간 및 일내 정밀성은 0.19-2.89%, 0.36-1.52%로 % 이하의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냈으며, berberine의 일간 및 일내 정확성은 98.43-100.73%, 99.56-101.45%로 나타났고 palmatine의 일간 및 일내 정확성은 93.20-100.60%, 92.39-97.10%로 나타났다. Berberine과 palmatine의 검출한계는 각각 0.32 µg/mL, 0.35 µg/mL로 확인되었고 정량한계는 0.97 µg/mL, 1.06 µg/mL로 확인되었다. 분석법 검증결과, 확립된 분석법은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가 모두 우수한 분석법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은 FRAP 활성, reducing power 및 berberine과 palmatine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황백은 추후 항산화에 도움을 주는 소재로의 적용 및 항염증 효과로 인한 피부 기능개선 제품의 소재로서 활용도가 넓을 것으로 사료되며, 황백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인 berberine 및 palmatine의 동시분석법을 통하여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여 효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로즈마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Their Fractions)

  • 유미희;채인경;정영태;정연섭;김혁일;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5-384
    • /
    • 2011
  • 허브류의 하나인 로즈마리를 추출, 분획하여 각 용매별 항산화와 항균효과를 관찰하였다. 로즈마리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및 F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분획물의 $RC_{50}$값이 $3.22\;{\mu}g/ml$로 강력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water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methanol: $5.05\;{\mu}g/ml$, hexane: $6.28\;{\mu}g/ml$, chlorofrom: $5.32\;{\mu}g/ml$, buthanol: $5.74\;{\mu}g/ml$)에서도 강력한 항산화능을 보였다. FRAP활성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이 $5.9{\pm}0.3\;{\mu}M/{\mu}g$의 높은 $Fe^{2+}$함량을 나타났으며 water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에서 높은 $Fe^{2+}$함량을 나타내어 DPPH radical 소거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ethyl acetate분획물의 $RC_{50}$값이 $5.05\;{\mu}g/ml$, methanol 추출물의 $RC_{50}$값이 $8.72\;{\mu}g/ml$으로 강력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그 외 나머지 분획물들은 DPPH radical 소거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로즈마리 단일물질로는 rosmarinic acid, carnosic acid가 DPPH radical 소거능과 FRAP활성에 유사한 경향을 보인 반면 ABTS radical 소거능은 rosmarinic acid만이 $43.16\;{\mu}M$에서 $RC_{50}$값을 나타내었다. 로즈마리의 항균 활성은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Inhibition zone과 MIC (최소 저해 농도)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알아본 후 hand plate와 resazurin 환원 실험을 통해 항균제와 식품 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항균 활성 검색 결과 methanol 추출물과 chloroform 분획물이 S. aureus에 대해서 2.5 mg/disc의 농도에서 inhibition zone이 각각 15.3 mm, 15.5 mm로 높게 나타났으며 E. coli에 대해서 14.3 mm, 13.7 mm로 나타나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MIC는 S. aureaus 균주와 E. coli 균주 모두 methanol 추출물에서 5 mg/ml의 MIC값을 나타내었고 chloroform 분획물은 2 mg/ml에서 MIC값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의 경우 methanol 추출물과 소수성의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항균제와 식품 보존제 등의 상품화는 경제적이고 그 활성이 우수한 methanol 추출물의 이용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제와 식품 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측정한 결과 항균제로는 hand plate를 통해 5 mg/ml에서 식품 보존제로는 resazurin 환원 실험을 통해 1 mg/ml에서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생물전환된 품종별 대두 발효물의 주요 지표성분 함량 및 분석법 검증과 항산화 활성 평가 (Assessment of Validation Method for Bioactive Contents of Fermented Soybean Extracts by Bioconvers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 정태동;신기해;김재민;오지원;최선일;이진하;이상종;허인영;박선주;김현태;강범규;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80-68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대두 5종의 isoflavone 함량,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isoflavone의 분석법 검증을 시행하였다. HPLC를 이용한 분석법 검증 결과 isoflavone 6종의 표준용액과 우람(S-3) 비발효 및 발효 추출물의 retention time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ectrum 분석 결과에서도 같은 spectrum을 보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성 확인 결과 isoflavone 6종의 검량선의 상관계수 값은 0.9998~1.0000으로 나타나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정밀성 측정 결과 일내 정밀도에서 0.22~0.88%, 일간 정밀도에서 0.34~1.00%의 높은 정밀도를 나타냈다. 회수율 측정 결과 daidzin은 100.55~110.21%, glycitin은 100.26~112.35%, genistin은 97.67~111.89%, daidzein은 100.95~110.43%, glycitein은 98.56~106.02%, genistein은 101.29~110.25%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Daidzin, glycitin, genistin의 검출한계는 각각 0.14, 0.16, $0.20{\mu}g/mL$로 측정되었으며,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검출한계는 각각 0.25, 0.29, $0.20{\mu}g/mL$로 나타났다. Daidzin, glycitin, genistin의 정량한계는 각각 0.44, 0.48, $0.60{\mu}g/mL$를 나타냈고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은 각각 0.75, 0.89, $0.61{\mu}g/mL$로 나타났다. 생물전환에 의한 대두 발효 시 배당체인 daidzin, glycitin, genistein이 모두 비배당체인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으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isoflavone을 합한 값인 total isoflavone 함량은 대두 우람(S-3) 발효물에서 $2,074.6{\mu}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비발효 대두 새단백(S-5)에서 가장 낮은 $119.8{\mu}g/g$의 total isoflavone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진풍(S-4) 비발효물이 44.96 mg GAE/g으로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능 측정 결과 FRAP는 대풍2(S-2) 발효물에서 0.2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새단백(S-5) 비발효물에서 0.1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도 FRAP와 유사하게 새단백(S-5) 비발효물에서 $195.24{\pm}3.08{\mu}M\;TE/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대풍 2(S-2) 발효물에서 $753.79{\pm}6.95{\mu}M\;T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진심유생환(오자연종환 가감방) 추출물의 세포 독성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ytotoxic Protective Effects of Jinsimyusaeng-hwan (Modified Ojayeonjong-hwan) Against Oxidative Stress)

  • 정유진;홍상훈;진명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130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ytotoxic protective effects of Jinsimyusaeng-hwan (Modified Ojayeonjong-hwan) against oxidative stress. Methods :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method were used to estim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Jinsimyusaeng-hwan. C2C12 myoblasts were used to re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s. And apoptosis analysi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alysis, measurement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y of Jinsimyusaeng-hwan. Results : In comparison of DPPH free radical and ABTS cationic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t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water extracts of Jinsimyusaeng-hwan(WEJ) and 70% ethanol extracts of Jinsimyusaeng-hwan (EEJ) increased.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reducing power using the FRAP method, extracts with high total phenol content also showed high reducing power. In comparison of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C2C12 myoblasts, WEJ had no significant effect, but the EEJ inhibited H2O2-mediated cytotoxic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cytotoxic protective effect of EEJ against oxidative stress in C2C12 myoblasts was correlated with their inhibitory effects on H2O2-induced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2O2-treated C2C12 myoblasts, the apoptosis inhibitory effects of EEJ were associated with suppression of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DNA damage. The protective effect of EEJ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C2C12 myoblast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ROS generation. Conclusion : Jinsimyusaeng-hwan extracts have cytotoxic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it was better in 70% ethanol extract than in water extract.

pH 조건에 따른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β-Glucan 함량과 항산화능 (β-Glucan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Ganoderma lucidum Depending on pH Value)

  • 김주영;이상한;정신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6-60
    • /
    • 2017
  • 국내산 영지버섯으로부터 ${\beta}-glucan$ 소재 개발을 위하여 pH를 달리하여 물 및 에탄올로 $90^{\circ}C$에서 환류 추출하여, ${\beta}-glucan$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였다. 물 추출물(pH 10)이 추출수율($8.53{\pm}0.17%$)과 ${\beta}-glucan$ 함량($6.20{\pm}0.12g/100g$)이 가장 높았다(P<0.05). 전반적으로 pH가 증가할수록 ${\beta}-glucan$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물 추출물보다 추출수율과 ${\beta}-glucan$ 함량이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pH 조건은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총폴리페놀 화합물 및 총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도 pH 조건에 상관없이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높았다.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 값들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총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r=0.969).

향부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Allium schoenoprasum)

  • 임상란;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32-239
    • /
    • 2020
  • 본 연구는 향부추의 알뿌리, 잎, 꽃 등의 세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와 항염 효능을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 결과, 알뿌리와 잎보다 꽃 추출물의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FRAP 분석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11.29±0.37 mgGAE/g) > 잎 (6.61±0.14 mgGAE/g) > 알뿌리 (5.7±0.67 mgGAE/g) 추출물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쥐 대식세포 RAW264.7 세포와 사람 피부각질 세포주 HaCaT 세포에 대한 세 가지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NO비색정량법, ELISA를 통하여 각 추출물의 항염 효능을 조사한 결과 LPS에 의한 NO 생성, TNF-α 분비가 꽃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천연식물 자원인 향부추의 에탄올 추출물이 화장품 원료로서 높은 가능성을 의미한다.

염수초 포제법에 따른 두충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변화 비교연구 (Salt-water Processing-dependent Change i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rtex Eucommiae)

  • 고원일;이진호;하인혁;정화진;이인희;이재웅;김은지;강병구;전세환;조용규;김민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38
    • /
    • 201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marker compounds,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Method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oxidant effect of Cortex Eucommiae, changes in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between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were assessed. In addition, nitrite assa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Cell viability was also examined as to elucidate whether processing affects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Finall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was conducted to monitor changes in pinoresinol diglucoside amount of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Results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showed high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amount, compared to raw Cortex Eucommiae. Furthermore, anti-oxidative activity of processed Cortex Eucommiae was improved as discovered in DPPH, ABTS, and FRAP assays.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was also enhanced following salt-water processing, as evidenced in nitrite assay. HPLC analysis found that the amount of pinoresinol diglucoside, widely known as the marker compound of Cortex Eucommiae, increases through salt-water processing.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non-toxic concentration of Cortex Eucommiae; processing did not affect the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up to the currently adopted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results support that salt-water processing of Cortex Eucommiae is beneficial in terms of marker compound amou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dditional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standardize the processing method of Cortex Eucommi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