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 490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건축용 내화강재(FR 490) 적용 H형강 보부재의 고온내력 연구 (Study of Structural Stability for H-section Beams Made of Fire Resistant Steels (FR 490) at High Temperatures by Analytical Method)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52-57
    • /
    • 2014
  • 구조용 강재는 고온 시 물질 내부의 구성 물질의 결합력 약화로 인하여 내력과 변형이 추가적으로 발생됨으로써, 구조적 성능이 저하되고, 국부 및 연속적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강재로 구성된 구조부재는 화재 시 열영향부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는 내화설계가 요구된다. 건축용 내화강재(FR 490)는 용접 구조용 강재(SM 490)와 상온시 특성은 동일하나, 고온 시의 내력유지 성능이 우수한 강종으로써 이로 구성된 보부재의 고온 시 내력 평가 자료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 490강재로 구성된 보부재의 고온 시 거동을 고온 시 재료 특성과 이론적 방법을 통하여 해석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SM 490강재보와 비교함으로써 내화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FR 490강재보의 경우 SM 490강재보에 비해서 고온 시 내력유지 성능이 우수하였다.

TMCP 내화강재의 고온 내력 평가 연구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of Fire Resistant Steel Produced by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at High Temperature)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21-25
    • /
    • 2013
  • 대형화, 초고층 및 고스팬에 부응하기 위한 강재 기술개발의 노력으로 용접성능과 내진성능 그리고 내화성능이 부여된 새로운 강재인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TMCP) 내화강재가 개발되었다. TMCP 내화강재는 기존의 내화강재 생산과정 시 압연과 동시에 정밀한 열처리를 병행함으로 인장력과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인 TMCP 방법으로 개발되었으며, 화재와 같은 고온에서의 구조적 안전성에 관한 내력평가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온 시 TMCP 내화강재의 내력평가를 목적으로 고온 시 항복강도, 탄성계수를 평가하고 각각에 대한 온도영역별 실험식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일반 내화강재의 고온 특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소재로 설정된 H형강 기둥부재를 대상으로 고온 시의 내력을 계산하여 그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TMCP 내화강재의 고온 시 내력특성은 일반강 내화강재의 고온 내력저하 특성보다 열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화강재의 고온특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aking Databases for Fire Resistant Steel at High Temperature)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7
    • /
    • 2013
  • 가연물의 증가는 건축물 화재의 발생 위험성과 재해발생 규모를 점차적으로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강구조 건축물의 화재에 대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었으며, 이 결과로 내화강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FR 490강재의 고온 시 기계적, 열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이 결과를 상온 시 구조적 내력이 동일한 용접구조용 강재인 SM 490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고온 시의 내력유지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tructural stability of fire-resistant steel (FR490) H-section columns at elevated temperatures

  • Kwon, In-Kyu;Kwon, Young-Bong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7권1호
    • /
    • pp.105-121
    • /
    • 2014
  • A fundamental limitation of steel structures is the decrease in their load-bearing capacity at high temperatures in fire situations such that structural members may require some additional treatment for fire resistance. In this regard, this paper evaluat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fire-resistant steel, introduced in the late 1999s, through tensile coupon tests and proposes some experimental equations for the yield stress, the elastic modulus, and specific heat. The surface temperature, deflection, and maximum stress of fire-resistant steel H-section columns were calculated using their own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ccording to a comparison of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fire-resistant steel and Eurocode 3, the former outperformed the latter, and based on a comparison of structural performance between fire-resistant steel and ordinary structural steel of equivalent mechanical properties at room temperature, the former had greater structural stability than the latter through $900^{\circ}C$.

양단 고정단인 건축용 내화강재 적용 보부재의 해석적 내화성능 연구 (Analytical Study of the Fire Resistance for Beams Consisting of Fire Resistant Steels with a Both Fixed Boundary Conditions)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82-86
    • /
    • 2016
  • 건축용 내화강재가 적용된 양단 고정단 보부재의 고온 시 최대 내력과 처짐을 해석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결과를 일반강재 적용 정정 보부재와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건축용 내화강재 적용 부정정 보부재의 내화성능을 일반 강재 정정 보부재로 평가되는 것은 안전측이었으며, 부재길이가 길어지면 처짐의 증대와 최대 내력의 감소가 유발되는 등 이에 대한 보완책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다수정난자의 체외배양시 Fragmented Embryo와 Non-fragmented Embryo에서의 Methionine 유입량 및 미토콘드리아 분포양상의 비교 (Mitochondrial Distribution and Methionine Uptake in Fragmented and Non-fragmented Embryos Derived from Multi-pronuclei Zygotes in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IVF) Program)

  • 도병록;정미경;장미경;이경아;고정재;윤태기;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2권3호
    • /
    • pp.279-285
    • /
    • 1995
  • Despite the frequent incidence of embryo fragmentation in early human embryos, the reason of the embryo fragmentation has not been known y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istological difference(s) between fragmented (FR) and non-fragmented (NFR) human embryos focusing on comparison of mitochondrial distribution and protein synthesis. Multi-pronuclei zygotes (MPZ) such as three or more pronuclei containing in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program were used for this study. MPZ were cul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0% of human fetal cord serum (hFCS) in 5% $CO_2$ incubator at $37^{\circ}C$ for 24 hours. The cleaved embryos to 2-4 cells after 24 hours were grouped by their grade of fragmentation. Embryos were stained with Rhodamine123 (Rh123) and fluorescence was evaluated under the fluorescence microscope through PB 450-490 filter (Leitz). Regarding to protein synthesis during early human embryogenesi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ynthetic proteins between FR and NFR embryos. Distribution of cytoplasmic organelles in embryos was evalu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The cytoplasmic distribution of mitochondria was different between FR and NFR embryos. The mitochondrial distribution was even in NFR, whereas severely aggregated in FR. It is not able to clarify in the present study whether this uneven mitochondrial distribution in FR embryo is the reason for embryo fragmentation or is the result from fragmentation. Physiological disparity related to the mitochondrial distribution may be one of the reasons for embryo fragmentation. Further studies should be address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FR and NFR embryos.

  • PDF

마이크로스트립 급전 무선랜용 이중대역 모노폴 안테나 설계 (Design of Microstrip-fed Dual Band Monopole Antenna for WLAN)

  • 남주열;이영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90-4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 2.4 GHz 대역 (2.4 ~ 2.484 GHz), 및 5 GHz 대역의 (5.15 ~ 5.825 GHz) 이중 대역용 마이크로 스트립 급전 인쇄형 모노폴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간결한 구조 및 우수한 무지향성 방사패턴을 얻기 위하여 2.4 GHz 모노폴 안테나에 5 GHz 대역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접지면과 이격되는 수정된 역 L-형 슬롯이 에칭된다. 제안된 안테나는 크기가 $30{\times}45mm^2$, 두께는 1.6 mm, 유전상수가 4.3인 FR4 기판에 설계 및 제작 되었다. 제안된 안테나의 제작 및 측정 결과, 임피던스 대역폭(${\mid}S_{11}{\mid}{\leq}-10dB$)이 2.4 GHz 대역에서는 270 MHz (2.22 ~ 2.48 GHz), 5 GHz 대역에서는 890 MHz (5.08 ~ 5.97 GHz)인 대역폭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두 대역에서 안정되고 우수한 무지향성 방사패턴을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약 4dBi 이상의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Genetic and Phenotypic Evaluation of Milk and Fat Production Trait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in (Zebu×European) Crossbred Cattle Using Parent Group Mixed Model

  • Singh, D.;Yadav, A.S.;Dhaka,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9호
    • /
    • pp.1242-1246
    • /
    • 2003
  • Data pertained to 335 crossbred cows comprising of 1/2 Friesian (F) + 1/2 Hariana (H), 1/2 F + 1/4 Jersey (J) + 1/4 H, 1/2 F + 1/4 Brown Swiss (BS) + 1/4 H, 1/2 F + 1/4 Red Dane (R) + 1/4 H, FR (I) and FRH (I) genetic groups extending over a period of 21 years (1970-1990) maintained at Animal Farm of CCS HAU, Hisar. The averages for first lactation milk yield was $2,486.24{\pm}80.26kg$ and peak yield of first three lactation were $11.35{\pm}0.72kg$, $13.97{\pm}0.60kg$ and $16.02{\pm}0.42kg$, respectively. The lifetime milk production was observed as $11,305.16{\pm}1,004.52kg$ in crossbred cattle. The average first lactation fat yield was observed as $102.06{\pm}0.01kg$ and peak fat yield of first three lactation were $0.458{\pm}0.01$, $0.490{\pm}0.01$ and $0.500{\pm}0.02kg$, respectively. The lifetime fat production was estimated as $502.31{\pm}45.90kg$. LTMP and LTFP had reasonably good additive genetic variance which could be exploited either through mass selection/combined with family or pedigree selection. FLMY, peak yields and LTMP had significant positive phenotypic correlation with FLFY and LTFP and the correlation at the genetic level were also higher and positive for these traits. Finally, peak week milk yield of first lactation (PMY1) was the earliest available trait having desirabl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at phenotypic and positive at genetic level with FLFY, PFY1 and PFY2, PFY3 and LTFP and selection for this trait will help in early evaluation of sires and dams and will increase genetic advancement per unit of time.

약광기 HPS와 PLS lamp를 이용한 오이의 보광재배효과 (Supplemental Lighting by HPS and PLS Lamps Affects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during Low Radiation Period)

  • 권준국;유인호;박경섭;이재한;김진현;이중섭;이동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0-406
    • /
    • 2018
  • 본 연구는 HPS (high-pressure sodium lamp, 고압나트륨등, 700W)와 PLS (Plasma Lighting System, 플라즈마등, 1,000W) 램프를 이용하여 겨울재배 오이의 보광재배 효과를 구명하고자, 양지붕형 유리온실 3동에 무보광을 대조구로 하여 오이('후레쉬' 품종)를 2015년 11월 2일에 정식하여 2016년 3월 15일까지 재배하였다. 보광은 2015년 11월 20일부터 2016년 3월 15일까지 약 4개월 동안 명기를 14시간/일(일몰 전 약 30분에 점등 개시)으로 정하여 실시하였고, 낮동안의 일사량이 $100W{\cdot}m^2$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점등이 되도록 제어하였다. 분광투과특성은 PLS의 경우 광합성유효광(400-700nm)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나 HPS는 400-550nm 광량이 매우 적은 반면, 550-650nm 광원이 PLS보다 많이 분포되었다. 330-1,100nm 광은 HPS가 PLS에 비해 6% 많았고 UV와 적색광은 비슷하였다. 광합성유효광(400-700nm)은 HPS에 비해 PLS가 12.6% 많았고, 근적외선(700-1,100nm)은 HPS에 비해 PLS가 12.6% 적었으며, R/FR은 HPS가 높았다. 오이의 초장, 엽수, 마디수, 건물중 등의 생육은 무보광에 비해 두 보광등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높았다. 광합성능력은 두 광원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주당 과실 개수(무게)는 무보광 21.2개(2.9kg)에 비해 PLS가 38.7개(5.5kg), HPS가 40.4개(5.6kg)로 1.8~1.9배 많았다. 보광등의 설치비와 전기에너지 비용을 고려하여 오이 보광재배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PLS와 HPS 보광등은 각각 37%와 62%의 소득증대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