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M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수중 채널 환경에서 전송량 증대를 위한 다중반송파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Carrier System for Throughput Enhancement in Underwater Channel Environments)

  • 김민상;조대영;고학림;홍대기;김승근;임태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6호
    • /
    • pp.1193-1199
    • /
    • 2015
  • 최근 수중음향통신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면서 고속 데이터 전송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중음향통신 시스템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FMT(Filtered Multi-Tone)와 같은 다중반송파 방식을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기존 OFDM 방식은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채널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삽입하는 가상 부반송파(virtual carrier)의 사용과 인접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및 인접 채널간 간섭(Inter Channel Interference)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순환전치(cyclic prefix)는 전송량을 감소시킨다. 특히 수중은 육상에 비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채널 특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해야하는 순환전치 길이가 길어지며, 가상 부반송파에 더 많은 부반송파를 할당해야 하므로 데이터의 전송량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중 채널 환경에서 전송량 증대를 위한 OFDM 시스템과 FMT 시스템을 결합한 FMT-OFDM 시스템을 제안하며, 실해역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채널을 모델링하고 시스템 파라미터를 설정 후 성능을 분석하였다.

FMT 변조 기반의 해상 초단파 데이터 시스템의 구현 알고리즘 및 성능분석 (Implementation Algorithm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Maritime VHF Data System Based on Filtered Multi-Tone Modulation)

  • 박옥선;안재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3호
    • /
    • pp.254-262
    • /
    • 2013
  • 본 논문은 해상 초단파 대역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FMT(Filtered Multi-Tone) 변조 기반의 디지털 무선전송기술을 소개하고 선박국의 송신기 특성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성능과 시스템 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CSTDMA(Carrier Sens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와 프로토콜을 도출하였고, ITU-R M.1842-1에 제안된 변조 기술, 스펙트럼 마스크와 지연시간 등의 시스템 특성을 만족하도록 기저대역 모뎀과 RF 송수신단을 구현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해상이동서비스용 초단파 대역에서 50kHz-100kHz의 광대역 채널과 디지털 무선전송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속도를 최대 307.2kbps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e-Navigation을 위한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선상에서 로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연결하여 다른 데이터 서비스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정원창 구동형 인공중이의 출력 전달 방식에 따른 주파수 특성 연구 (A Study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utput Transmission Method of Round Window Driving Middle Ear Implants)

  • 성기웅;신동호;나승대;이정현;김명남;조진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83-187
    • /
    • 201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output transmission method of the round window driving type AMEIs (active middle ear implants) through the cadaveric experiment. For the experiment, we fabricated DRT (direct rod transducer) and FMT (floating mass transducer) type vibrational transducers based on our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their output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CBT (tri-coil bellows transducer) and DFMT (differential floating mass transducer) were implemented with the same driving forc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as one of DRT and FMT,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 using three human temporal bone, normal stapes vibration was measured with 1 Pa in front of tympanic membrane, and then was compared with each output of transducers. From the comparison, the DRT type vibration transducer was superior in overall energy transfer efficiency, especially in the low frequency ran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plantation difficulty between the two transduc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RT type vibrational transducer is more efficient and needs further study to overcome the low frequency degradation in round window approaching with FMT.

마르크스 가치론의 이시적 단일체계 해석에 대한 몇 가지 비판적 논점 (Some Notes on the Temporal Single-System Interpretation of Marxian Value Theory)

  • 박현웅
    • 사회경제평론
    • /
    • 제31권2호
    • /
    • pp.105-126
    • /
    • 2018
  • 본 논문은 마르크스 가치론의 이시적 단일체계 해석(TSSI)에 대한 두 가지 비판적 논점을 제시한다. 첫째, 일반적인 조건 하에서 마르크스주의 근본정리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는 것은 TSSI가 유일하다라는 TSSI 논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명목이윤 뿐만 아니라 실질이윤에 대한 두 개의 서로 다른 정의를 모두 고려할 경우, 마르크스주의 근본정리가 TSSI 내에서 성립하는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는다. 둘째, 오키시오 정리 비판으로 제시된 클리만 (1996)의 수리모형에 대해, 오키시오 정리에서 중요한 요소인 기술변화의 비용절감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 기존 문헌에서 지적된 바 있는데, 본 논문에선 이를 수리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통해 클리만 모형의 기술변화는 비용절감적이지 않고 따라서 오키시오 정리에 대한 내재적 비판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점을 보인다.

수동대기모드를 고려한 셋톱박스 모드전환 기술의 에너지 절감 성능 분석 (Power consumption evaluation of Set-top box mode transition scheme considering passive stand-by mode)

  • 김용호;김훈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35-142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of set-top box (STB) stand-by mode transition schemes. A stand-by mode transition scheme characterizes the timing of mode transition. The timing of mode transition affects the duration of stand-by mode opera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s of STB as well. Recently a fast stand-by mode transition scheme (FMT) has been proposed based on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device to be connected to TV. In this paper, we evaluate power consumption of FMT and a conventional mode transition scheme. For the computation of the duration of stand-by mode operation, the user input events are modeled as Poisson process.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modeling reveals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effective in power saving than the conventional scheme by up to 30%.

  • PDF

이식형 인공중이 시스템을 위한 차동 플로팅매스형 전자 튜랜스듀서 (DFMT Electromagentic Transducer for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Aid)

  • 송병섭;박재훈;윤영호;배상곤;채승표;김명남;이상흔;이건일;조진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5-632
    • /
    • 1999
  • 이식형 인공중이에 사용되는 전자트랜스듀서는 압전형 트랜스듀서에 비해 음향특성은 좋으나 부피가 크고 효율이 낮으며 수술시 정밀한 코일-자석 간격 조정이 필요하며, 최근 제안된 FMT 트랜스듀서는 외부 자장의 변화에 민감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일-자석 간격조정이 필요 없고 외부자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차동 플로팅메스형 전자 트랜스듀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2개의 소형 자석을 같은 극끼리 접합함으로써 외부자장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고 효율이 높은 등의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트랜스듀서의 진동력 및 효율에 관한 정량적인 해석을 하였으며 기존의 트랜스듀서와 비교분석을 행하였다. 그리고 공급전류에 대해 발생되는 진동력의 크기를 계산함으로서 실제 이식형 인공중이의 제작에 필요한 객관적인 설계데이타를 제시하였다. 한편, 시험 제작된 트랜스듀서의 해석결과 제안한 트랜스듀서는 기존의 FMT 트랜스듀서보다도 효율이 1.5배 정도의 향상됨을 보였으며 무부하시험 및 사체의 이소골 진동실험을 통하여 적절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이소골에 전달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Combined Optical Distance Measurements Using a Femtosecond Pulse Laser

  • Joo, Ki-Nam;Kim, Seung-Wo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6권4호
    • /
    • pp.396-400
    • /
    • 2012
  • We introduce a combined technique and the mathematical description for distance measurements using a femtosecond pulse laser in a long range and a fine resolution. For distance measurements, the maximum measurable range can be extended by combining measurement results from several different methods while requir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different measurement uncertainties and unambiguity ranges. This paper briefly explains why the uncertainty of a rough measurement technique (RMT) should be, at least, smaller than the half unambiguity range of a fine measurement technique (FMT) in order to combine a FMT with a RMT. Further discussions about the total measurement range, resolution, and uncertainty for various optical measurement techniques are also discussed.

기능적 전기자극을 병행한 거울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th mirror therapy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동훈;김경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09-1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 전기자극을 병행한 거울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선정기준에 따라 만성 뇌졸중 환자를 35명을 대상으로 세군으로 실시하였다. FMT군은 기능적 전기자극을 병행한 거울치료(n=11), MT군은 거울치료를 시행하였고(n=12), CON군(n=12)은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훈련은 1일 30분, 1주 5번, 총 4주간 시행하였다. 중재 전 훈련 4주 후에 균형과 보행능력을 검사실시하였다. 훈련결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병행한 거울치료 훈련군이 버그균형척도, 신체의 이동거리, 활보장, 분속수, 그리고 평균보행속도에서는 거울치료군과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거울치료 융합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뇌졸중 환자를 위한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