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COMPOSITION

검색결과 1,020건 처리시간 0.025초

Fisheries in Lake Tinishu Abaya (Ethiopia) could be managed using dietary na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1757)

  • Yirga Enawgaw Anteneh;Solomon Wagaw Mamo;Minichil Addis Tilah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491-499
    • /
    • 2023
  • Lake Tinisu Abaya is home to some fish species. The lake's native fish species include Barbus and Tilapia zilli. Tilapia fish (Oreochromis niloticus L.) were stocked in Lake Tinishu Aabaya in 1997.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s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to develop an appropriate fisheries management approach in the lake. 428 O. niloticus fish samples (2.5 to 30.9 cm and 1.1 to 475 g) were collected to calculate the diet composition. Out of the total of 428 gut contents examined, 55 (12.85%) were found to be empty and 373 (87.15%) to be containing one or more food items. The diet behavior of the stocked fish in the study lake revealed that phytoplankton (39.5% by volume) and macrophytes (25.81% by volume) were the most noteworthy food items followed by detritus (14.39%) and zooplankton (12.95%). With increasing fish size, the importance of phytoplankton, macrophytes, and detritus increased while the contribution of zooplankton, insects, and other foods with an animal origin decreased.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fish was evident (t-test; p < 0.05). Macrophytes, zooplankton, and detritus were the dominating food items during the wet season, while phytoplankton predominated during the dry seas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O. niloticus had phytoplanktivores that primarily consumed phytoplankton and that the seasons and fish siz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eeding preferences. The diet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comprised foods with both plant and animal origins. It concludes that the dietary habit of O. niloticus in the lake is, generally, the omnivorous type.

아산만 천해역 수심에 따른 어류 종 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ith Depth in Asan Bay)

  • 황학빈;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61
    • /
    • 1999
  • 1997년 10월부터 1998년 8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아산만 입구 입파도 부근에서 수심 1. 5m 이하인 정점 1에서는 갓후리그물로, 수심 5~7 m인 정점 2와 15 m 이상인 정점 3에서는 beam trawl로 어류를 채집하여 수심에 따른 종 조성의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총 43종이 채집되었으며, 정점 1에서 13종, 정점 2에서 28종, 정점 3에서 30종이 채집되었고, 밀도도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정점 1과 2에서는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이 전체 개체수의 55.7%, 38.9%를 차지하였고, 여름철에 출현 총수와 개체수가 많았으며, 대부분이 유어들이었다. 정점 3에서는 흰베도라치 (Pholis fangi)와 쉬쉬 망둑 (Chaeturichthys stigmatias)이 개체수 면에서 우점하였고, 주로 성어와 크기가 큰 개체들이 채집되었다. 이 정점에서도 난수기에 밀도가 낮았으나, 겨울에 상대적으로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결과 종 조성은 깊은 곳과 얕은 곳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아산만 어류는 서해 다른 해역에 비하여 출현 종수와 밀도가 낮았고, 아산만 내에서도 모래뻘질인 조사해역의 종 조성은 뻘로 구성된 내부해역과도 차이가 있었다.

  • PDF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 and Feeding Ration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 Cho, Sung-Hwoan;Jo, Jae-Yo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1-273
    • /
    • 2000
  • Recently, possibility of low protein diet with high energy level for improvement of fish production has been proposed in several fish species, especially under restricted feeding rate, fish responded better on high energy diet than low energy diet McGoogan and Gatlin (1999) stressed another benefit of low protein diet with high energy for fish production, in terms of reduction of nitrogen waste from fish metabolism However, others reported no effect of high lipid in feed on performance of fish (Jover et al. 1999). This was probably because that energy availability o requirement for fish varied based on fish species, protein content or quality in feed, rearing water temperature condition and feeding ration. (omitted)

  • PDF

rDNA와 말단소체 반복서열 탐침을 이용한 천마의 FISH 염색체 조성 분석 (Analysis of Chromosome Composi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using rDNA and Telomeric Repeat Probes)

  • ;박응준;김현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3-118
    • /
    • 2018
  • Background: Gastrodia elata Blume is a saprophytic perennial plant in the Orchidaceae family, because of its agricultural and medicinal effectiveness, researchers focus on its genome and chemical components. However, cytogenetic information based on the chromosome structure and composition to construct chromosomal backbone for genome sequencing research and for the development and breeding of plants is very limited. Methods and Results: We determined the metaphase chromosome composition of the G. elata genome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using 5S and 45S rDNAs and telomeric repeat probes. The nuclear genome of G. elata was organized into 2 n = 36, with relatively small ($2.71-5.50{\mu}m$)chromosomes that showed gradual decrease in size. Conglutination phenomenon was observed among the metaphase chromosomes, and it was distinguished from that in other plant metaphase chromosome spreads. One pair of signal was detected for each 5S and 45S rDNA in the pericentromeric region and interstitial region on the short arm of chromosomes 10 and 4, respectively, and telomeric DNA signals were detected in the terminal region of most chromosomes. Conclusion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FISH chromosome composition result in G. elata and could be useful in more comprehensive molecular cytogenetic and genomic analyses as well as breeding programs of the medicinal plant G. elata.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흥해 연안어류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Net off Heunghae, Korea)

  • 황선도;박영조;최수하;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5-113
    • /
    • 1997
  • 흥해 연안에서 1989년 5월에서 1990년 10월 사이 삼중자망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채집시기에 따른 종조성을 파악하고, 우점종의 체장 분석을 통하여 망목에 따른 어종별 체장 선택성을 분석하였다. 총 28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개체수와 생물량은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겨울에서 여름 사이에는 주거종인 볼락, 노래미 및 쥐노래미가 우점하였고, 가을에는 회유종인 쥐치와 말쥐치가 우점하였으며 주거종의 수는 감소하였다. 자망 100m 당 12시간 평균 어획량은 11마리, 1,938 g이었으며, 채집된 주어종들은 3세 이상의 체장 20cm 이상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 PDF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Seagrass Bed of Aenggang Bay in the South Sea of Korea)

  • 이승환;이용득;신민규;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9-259
    • /
    • 2016
  •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을 이용하여 월별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를 달리하여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우점종의 출현 양상을 고려할 때 유어는 수심이 얕은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앵강만 잘피밭에서는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날 매퉁이, 쑤기미, 꼬치고기 그리고 흰점꺼끌복이 채집되었다.

경제적인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설계 및 평가 (Evaluation of Economical Feed Formulations for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전임기;이창국;임치원;김태진;민진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5-264
    • /
    • 1996
  • 여러 가지 종류의 단백질 원료를 혼합하여 성장이 좋고, 가격이 싼 조피볼락용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설계한 사료의 효과를 사육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북양어분 간접식 $29\%$와 갈색 어분 $29\%$ 첨가구를 대조구로 정하고 원료의 필수아미노산 조성을 고려하여 대두박, 콘글루텐 밀, 육분, 혈분, 우모분, 소맥분을 각각 다른 비율로 첨가하여 어분 단백질원인 북양어분과 갈색어분을 $40\%$에서 $65\%$까지 대체한 사료 6종류와 RMP(생사료+분말사료)구를 선정하여 총 8종류의 실험사료를 제조하였다. 33 g 전후의 조피볼락을 실험사료마다 각각 3반복으로 15주간 사육 실험한 결과, 증체율은 사료 2, 3, 4구와 RMP 사료가 대조구와 유의차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반면에 사료효율은 RMP구가 가장 높았고, 사료 7이 가장 낮았다. 어체 1 kg 증육시키는데 소요되는 사료원가는 RMP구가 1,332원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가 539원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사료들은 $452\~498$원으로 비슷하였다. 위와 같이 사료 $5\~7$을 제외한 사료들은 성장효과가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어 30 g 이상의 어체에서는 식물성 및 동물성 원료를 적절히 혼합 첨가하면 사료중의 어분을 $55\%$까지 대체 가능하였으며, 양식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류폐기물의 탄화처리시 효율적 탄화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icient Carbonizing Conditions When Carbonizing Fish Offal)

  • 정병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3
    • /
    • 2014
  • 어판장에서 발생되는 생선 손질 폐기물의 자원화를 목적으로 탄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어류폐기물의 원소조성을 살펴본 결과 탄소함량과 수소함량이 각각 51.1%와 7.6%, 산소함량이 30.5%로 나타났다. 특히 질소와 황의 함량이 각각 9.8%와 1.0%로 높아 악취문제 등이 심각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류폐기물의 원소조성을 다른 폐기물과 비교해볼 때 탄소 및 수소의 함량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생선폐기물의 최종처리는 열적처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어, 갈치, 조기를 대상으로 내장이나 몸통, 개별 생선이나 이들을 혼합한 시료 모두에 대하여 탄화실험을 실시한 결과 탄화되는 패턴은 시료 종류에 관계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탄화시간에 따른 수율변화는 탄화시간 5분, 10분일 때 탄화온도 변화에 따른 수율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탄화시간 15분 이후에는 탄화온도 변화에 따른 수율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탄화시간 30분 이상부터는 각 온도별로 시간변화에 따른 수율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탄화시간에 따른 수율변화는 30분 이상부터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화온도에 따른 차이는 탄화온도 $400^{\circ}C$에서는 1차 휘발이 미미하여 2차 휘발이 일어난 $500^{\circ}C$와의 수율차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탄화온도를 $600^{\circ}C$, $700^{\circ}C$로 하여 10분 이상 탄화시킨 결과 수율차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어기 조피볼락 사료내 β-1,3 글루칸의 첨가가 성장 혈액 및 전어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etary β-1,3 Glucan on Growth, Hematological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영철;김강웅;박건준;이준호;손맹현;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09-613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on growth, hematological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ed the white fish meal based diets for 6 week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control (without supplementation of glucan), 0.05%, 0.1% and 0.5% (this diet was fed to fish daily, bi-weekly as three different dietary treatments) $\beta$-1,3 glucan per kg diet (Control, $D_{0.05}$, $D_{0.1}$, $D_{0.5}$, $B_{0.05}$, $B_{0.1}$, $B_{0.5}$). Fish averaging $4.0\pm0.1g$ (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aquarium as triplicate groups of 23 fish. Weight gain (WG, %)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 of fish fed $D_{0.5}$ die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P<0.05). Feed efficiency (FE) of fish fed $B_{0.05}$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D_{0.1}$, $D_{0.5}$, $B_{0.1}$ and $B_{0.5}$ diets (P<0.05).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of fish fed $B_{0.05}$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D_{0.1}$ and $D_{0.5}$ diets (P<0.05).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upplementation of 0.05% $\beta$-1,3 glucan daily and/or biweekly is optimum in juvenile Korean rockfish.

Effects of Dietary Nutrient Composition on Compensatory Growth of Growe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nder Different Feeding Regimes at Suboptimal Temperature

  • Kim, Kyoung-Tae;Choi, In-Cheol;Cho, Young-Jin;Lee, Jong-Ha;Kang, Yong-Jin;Cho, Sung-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294-299
    • /
    • 2010
  • The effects of dietary nutrient composition on compensatory growth of growe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nder different feeding regimes at suboptimal temperature were determined. Four hundred five fish weighing 271.2 g were distributed into 27 300 L flow-through tanks (15 fish per tank). Nine treatments were prepared in triplicate: fish were hand-fed with control (C) diet for 12 weeks (12WF-C); four groups of fish were starved for 1 week and then fed C, high-protein (HP), high-lipid (HL), or combined high-protein and high-lipid (HPL) diets for 11 weeks; these groups are referred to as 11WF-C, 11WF-HP, 11WF-HL, and 11WF-HPL, respectively. Four other groups of fish were starved for 2 weeks and then fed C, HP, HL, and HPL diets for 10 weeks; these groups are referred to as 10WF-C, 10WF-HP, 10WF-HL, and 10WF-HPL, respectively.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rom 12WF-C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of fish from 11WF-C, 11WF-HP, 11WF-HL, 10WF-C, 10WFHP, and 10WF-HL groups,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rom 11WF-HPL and 10WF-HPL groups. Feed-efficiency ratio of fish from 12WF-C, 11WF-HP, 11WF-HPL, 10WF-HL, and 10WF-HPL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in 11WF-C, 11WF-HL, 10WF-C, and 10WF-HP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rower olive flounder subjected to 1- or 2-week feed deprivation were able to achieve full compensatory growth at suboptimal temperature only when fed HPL di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