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DO2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52초

DID를 사용한 인증서 암호 복구 (A Design of Certificate Password Recovery Using Decentralized Identifier)

  • 김형욱;김상진;김태진;유형근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2호
    • /
    • pp.21-29
    • /
    • 2019
  • 한국에서 흔히 사용하는 공인인증서 기술에서 사용자들은 그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했을때 항상 다시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분산저장을 위한 블록체인과 PKI, DID를 활용하여 안전한 공인인증서 암호 복구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DID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블록 ID를 보호하기 위한 스키마이다. PKI에서 사용되는 개인키를 사용자의 생체인식, 예를 들어 지문으로 하여 복잡한 개인키를 기억하는 것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FIDO 인증 기술을 기반으로 블록 내부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거쳐 공격자가 데이터를 탈취하는 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보안 강화를 위한 NFC 기반 전자결제 시스템의 2 팩터 인증 기술의 초안 설계 (Draft Design of 2-Factor Authentication Technique for NFC-based Security-enriched Electronic Payment System)

  • 차병래;최명수;박선;김종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2호
    • /
    • pp.77-83
    • /
    • 2016
  • 오늘날 IT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은행을 비롯한 금융 산업 전체에서 거대한 혁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핀테크'라 부른다. 핀테크는 2016년 10대 인터넷 산업 이슈의 하나로 조명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강화를 위하여 FIDO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NFC 기반 전자 결제 및 쿠폰 시스템에 2 팩터 인증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초안을 설계한다. 세부적으로 프론트엔드의 단말 디바이스에는 2 팩터 인증과 전자 서명 기술의 적용과 백엔드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PG를 위한 분석회피형 악성코드 탐지기술을 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심층 학습 기반의 수기 일회성 암호 인증 시스템 (Handwritten One-time Password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 리준;이혜영;이영준;윤수지;배병일;최호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5-37
    • /
    • 2019
  • 심층 학습 및 온라인 생체 인식 기반 인증의 급속한 개발에 영감을 받아, 본 논문에서는 심층 학습을 기반으로 필체 인식 및 작성자 검증을 수행하는 수기 일회성 암호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기로 작성된 숫자를 인식할 수 있는 합성곱 신경망과, 입력된 필체와 실제 사용자의 필체 사이 유사성을 계산할 수 있는 Siamese 신경망을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성자 검증을 위한 NIST Speical Database 19 제 2판의 첫 번째 응용 사례를 제시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시스템은 네 장의 입력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숫자 인식 작업에서 98.58%, 작성자 검증 작업에서 93%의 정확도를 달성했다. 본 논문의 저자들은 제안한 필체 기반 생체 인식기술이 FIDO 프레임워크 기반의 다양한 온라인 인증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H.B. Robinson-2 pressure vessel dosimetry benchmark: Deterministic three-dimensional analysis with the TORT transport code

  • Orsi, Robert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448-455
    • /
    • 2020
  • The H.B. Robinson Unit 2 (HBR-2) pressure vessel dosimetry benchmark is an in- and ex-Reactor Pressure Vessel (RPV) neutron dosimetry benchmark based on experimental data from the HBR-2 reactor, a 2300-MW PWR designed by Westinghouse and put in operation in March 1971, openly available through the SINBAD Database at OECD/NEA data Bank. The goals of the present work were to carry out three-dimensional (3D) fixed source transport calculations in both Cartesian (X,Y,Z) and cylindrical (R,θ,Z) geometries by using the TORT-3.2 discrete ordinates code on very detailed 3D HBR-2 geometrical models and to test the latest broad-group coupled (47 neutron groups + 20 photon groups) working cross section libraries in FIDO-ANISN format with same structure as BUGLE-96, such as BUGJEFF311.BOLIB, BUGENDF70.BOLIB and BUGLE-B7. The results obtained with all the cited libraries were satisfactory and are here reported and compared.

Energy-Efficient Biometrics-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for Mobile Multimedia IoT Application

  • Lee, Sungju;Sa, Jaewon;Cho, Hyeonjoong;Park, Daihe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2호
    • /
    • pp.6152-6168
    • /
    • 2017
  • Recently, the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systems such as FIDO (Fast Identity Online) are increased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The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systems are performed on the mobile devices with the battery, the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s important issue. In the case, the size of images (i.e., face, fingerprint, iris, and etc.) affects both recognition accuracy and energy consumption, and hence the tradeoff analysis between the both recognition accuracy and energy consumption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efficient way to authenticat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with tradeoff analysis between the both recognition accuracy and energy consumption in multimedia IoT (Internet of Things) transmission environments. We select the facial information amo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specially consider the multicore-based mobile devices. Based on our experimental results, we prove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of GABOR+LBP+GRAY VALUE, GABOR+LBP, GABOR, and LBP by factors of 6.8, 3.6, 3.6, and 2.4 over the baseline, respectively, while satisfying user's face recognition accu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