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D packaging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몰리브덴 팁 전계 방출 표시 소자의 프릿 실링에 있어서 분위기 기체가 전계 방출 성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mbient Gases on Field Emission Performance in the Frit-sealing Process of Mo-tip Field Emission Display)

  • 주병권;김훈;정재훈;김봉철;정성재;이남양;이윤희;오명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7호
    • /
    • pp.525-529
    • /
    • 1999
  • The influence of ambient gases on field emission performance of Mo-field emitter array(FEA) in the frit-sealing step of field emission display(FED) packaging process was investigated. Mo-tip FEA was mounted on the glass substrate having a surrounded frit(Ferro FX11-137) and fired at $415^{\circ}C$ in the ambient gases of air, $N_2$ and Ar. The Ar gas was proved to be most proper ambient among the used gases through evaluating the turn-on voltage and field emission current of the fired Mo-tip FEA devi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 surface fired in Ar ambient was less oxidized when compared with another ones annealed in air and Ar ambient by the AFM, XPS, AES and SIMS analysis. Finally, the 3.5 inch-sized Mo-tip FED, which was packaged using frit-sealing process in the Ar ambient, was proposed.

  • PDF

Emission Characteristics of 0.7' Monochrome MOSFET-Controlled Field Emission Display in a High Vacuum Chamber

  • Lee, Jong-Duk;Oh, Chang-Woo;Kim, Il-Hwan;Park, Jae-Woo;Park, Byung-Gook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2권3호
    • /
    • pp.66-71
    • /
    • 2001
  • MCFEDs (MOSFET-Contoolled Field Emission Displays) were fabricat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MCFEA for display applicati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FEAs (Field Emitter Arrays), HVMOSFETs (High-Voltage MOSFETs), and MCFEAs (MOSFET-Controlled Field Emitter Arrays) were measured. The extraction gate voltage of the FEAs to obtain the anode current of 10 nA/tip was around 71 V. The breakdown voltages of the HVMOSFETs were above 81 V for all the samples. The I-V characteristics of the MCFEAs showed that the emission currents of the FEAs were well controlled depending on the control gate voltages of the HVMOSFETs. To avoid the harmful effects during the packaging process, the performance of the MCFEDs was evaluated in a high vacuum chamber. The emission images of the MCFEDs were controlled through very-through operation. From the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FED, it was proven that the poor uniformity of FED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HVMOSFET.

  • PDF

LTCC 기반 ME Dipole 안테나 구조를 활용한 X-Band 용 8 × 4 이중편파 배열안테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8 × 4 Dual-Polarized Array Antenna for X-Band Using LTCC-Based ME Dipole Antenna Structure)

  • 정재웅;서덕진;유종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3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X-Band 대역에서 이중 편파 특성을 갖는 Magneto-Electric(ME) dipole 배열안테나를 제안하고, 이를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공정을 이용하여 구현 및 측정하였다. 제안된 배열안테나는 LTCC로 구성된 1 × 1 ME dipole 안테나 32 개를 Teflon PCB에 배열하여 8 × 4 배열 안테나로 구성된다. 1 × 1 ME dipole 안테나는 두 쌍의 방사체에서 각각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를 방사하여 이중 편파를 구현하게 된다. 2개의 Port 급전은 LTCC를 이용한 적층 공정을 통해 구현하였으며, 각 각의 Port는 포트 간 격리도를 확보하기 위해 Γ-shaped feeding strip을 통해 독립적으로 방사체에 급전된다. 안테나 배열에 사용된 Teflon PCB는 4층 구조로 형성하였으며, 상단 면과 하단 면을 통해 2개의 Port가 급전된다. 그리고 배열되는 안테나와 Teflon PCB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Teflon PCB의 전송선로에 λg/4 변환기를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 파라미터를 얻었다. 구현된 ME dipole 8 × 4 배열안테나의 크기는 15.5 mm × 11 mm × 4.2 mm이며, Port 1 급전 시 측정된 방사 최대 이득은 18.2 dBi, cross-pol은 1.0 dBi이고 Port 2 급전 시 측정된 방사 최대 이득은 18.1 dBi, Cross-pol은 3.2 dBi로 확인하였다.

전계방출표시소자에서 나노 카본의 응용 (Application of Nano-carbons in Field Emission Display)

  • 김광복;송윤호;황치선;정한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6
    • /
    • pp.76-79
    • /
    • 2003
  • The characteristic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 and herringbone nano fiber (HB-CNF) emitters was described. SW-CNT synthesized by arc discharge and HB-CNF prepared by thermal CVD were mixed with binders and conductive materials, and then were formed by screen-printing process. In order to obtain efficient field emissions, the surface treatment of rubbing & peel-off was applied to the printed CNT and CNF emitters. The basic structure of FED was of a diode type through fully vacuum packaging. Also, we proposed a new triode type of field emitter using a mesh gate plate having tapered holes and could achieve the ideal triode properties with no gate leakage currents.

  • PDF

잣 성분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Pine Nut in Plasma of Rats)

  • 박영서;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02-708
    • /
    • 2005
  • 잣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식이(정상군), 기본식이에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대조군), 그리고 기본식이에 콜레스테롤과 여러 농도의 잣을 함유한 실험식이(실험군)를 각 군별로 섭취하게 한 결과 잣의 농도에 따른 식이섭취량과 체중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효율은 저농도로 잣을 섭취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0% 이상의 고농도의 잣을 섭취한 경우에는 식이효율이 높았다. 본 연구에 사용한 농노범위(1-20%)에서는 잣 섭취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잣에 함유된 다량의 지방이 섭취됨으로써 잣이 지니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감쇄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잣 성분이 HMG-CoA reductase와 cholesterol esterase의 저해활성을 지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exane과 물을 사용하여 잣 성분을 추출한 후 각 추출물에 대한 HMG-CoA reductase와 cholesterol ester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잣의 hexane 추출물은 66%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물 추출물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잣의 hexane 추출물과 물 추출물은 cholesterol ester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지니고 있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 저하효과는 가공하지 않은 잣의 섭취에 의해서는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향후 잣의 hexane 추출물 중의 유용성분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효과를 지니는지에 대한 동물실험을 수행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라이코펜 급여와 포장방법이 재래돼지 등심육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ycopene Supplementation and Packaging on Quality Traits in Longissimus Muscle of Korean Native Pigs during Storage)

  • 김동훈;임동균;성필남;하경희;조수현;김진형;이종문;김영태;김일석;진상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27-236
    • /
    • 2008
  • 본 연구는 라이코펜 급여에 따른 재래돼지고기 등심육의 저장 중 품질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주 재래돼지 농장에서 처리구별로 200 (T1), 400 (T2) 및 800 ppm (T3)의 라이코펜 급여구를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H의 경우 라이코펜 첨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고, 저장기간 중 총균수의 경우(Table 3) 저장 0일차의 대조구(무첨가구) 보다 라이코펜 첨가구에서 미생물수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저장기간 중 젖산균수와 대장균군수의 경우 저장 0일차의 첨가구(400, 800 ppm)가 무첨가구나 첨가구(200 ppm) 보다 유의적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 함기포장, 진공포장 모두 대장균군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5). 또한, 라이코펜 첨가구의 보수력이 무첨가구 보다 낮았으며, 가열감량의 경우는 이와 반대로 라이코펜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라이코펜 급여 재래돼지고기는 일반재래돼지고기의 품질과는 다른 미생물수의 차이를 보였으며 VBN, 보수력 및 가열감량에서 다른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최근 소비자의 건강지향성 등을 고려할 때 재래 돈육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