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CL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더덕,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Beneficial constitu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s by Lentinula edodes mycelium)

  • 고영우;윤경원;김경제;진성우;임승빈;하늘이;정희경;김승주;김복선;최유진;송다혜;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0-309
    • /
    • 2021
  • 한약재로 사용되는 더덕과 도라지에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더덕표고균사발효물(FCLM)과 더덕도라지균사발효물(FPLM)을 제조하였다. 두 가지 발효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𝛽-glucan, ergothioneine, ergosterol, vitamin D2 함량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FCLM에서 조섬유와 조지방함량이 FP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FPLM은 조단백질과 가용성무질소물의 함량이 FC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FCLM과 FPLM 모두 arabinose, glucose, sucrose 3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당 함량은 FPLM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발효 후 FCLM과 FPLM에서 낮게 나타났다. 𝛽-Glucan 함량은 FCLM과 FPLM 두 발효물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ergothioneine의 함량은 FCLM이 FPLM보다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D2는 발효물들에서만 검출되었으며, FPLM (0.58±0.01 mg%)가 FCLM (0.47±0.01 m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더덕과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인 FCLM과 FPLM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하여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FCLM과 FPLM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억제하여,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Flexible Flat Cable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가압용 히팅롤러의 온도제어개선 (Temperature Control Improvement of Pressure Heating Roller for Flexible Flat Cable Production)

  • 김재학;이호중;전경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55-163
    • /
    • 2005
  • Pressure heating rollers with temperature control were mounted to a flat cable laminating machine (FCLM). Pressure heating rollers should be heated up to the setting temperature $(175^{\circ}C)$ and kept on to producing good quality flexible flat cables (FFC). Existing Pressure heating rollers took more than 70minutes to the setting temperature and did not keep on the setting temperature in production. Temperature controller, electric power controller, material and diameter of rollers and heat capacities were changed to improve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pressure heat rollers for better production of the FFC. Thus, the reaching time to the setting temperature (RT), temperature stability time (TST) and temperature hunting (TH)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essure rollers case. The RT of A roller was shortened by 50minutes, and B roller was shortened by 15minutes. The TST of A roller was shortened by 13minutes, and B roller was shortened by 15minutes. The THs of both A and B rollers were settled up to ${\pm}5^{\circ}C$. Finally, the productivity of the FCLM and the quality of the FFC were increased.

슈퍼바이저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가맹점별 계약관리 성과 : 프랜차이즈 '간이역' 사례를 중심으로 (Franchise Contract Management Performance by Supervisor Type : A Case of 'Ganiyeok')

  • 박금용;박현식;박희나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6권1호
    • /
    • pp.42-68
    • /
    • 2015
  • As franchise industry has grown, the role of a supervisor who is a contact point between franchisor and franchisees has become more vital to success of the business. This research, focusing on his/her specific role, explores communication type, leadership type, and followership type of the supervisor in relations with the organization, franchisor, and franchisees, respectively. Furthermore, we compared performance of franchises by the three types above through the franchise contract management leverage (FCML) which reflects business performance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supervisors of a franchise business, 'Ganiyeok', the majority of supervisors' communication type were either supportive style or directive style. For the leadership type, team-type and impoverished-type leaders were the majority, while effective or passive followership appeared highest in followership type. In addition, supportive supervisors in communication style, team-type supervisors in leadership style, and effective supervisors in followership had highest FCML, while reflective and directive styles, impoverished style, and passive style had lowest FCML. Primary goal of a franchise business is stable profit generation.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what characteristics supervisors need and which style is insufficient, but also proposed tailored solutions for each style. Thus, we confirmed that debates on franchise can be approached in perspective of both communication and business, and we further suggest diverse approaches on future franchise business.

Pickup Point 최적입지선정을 위한 Greedy Heuristic Algorithm 개발 및 적용: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시스템을 대상으로 (Greedy Heuristic Algorithm for the Optimal Location Allocation of Pickup Points: Application to the Metropolitan Seoul Subway System)

  • 박종수;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6-128
    • /
    • 2011
  • 서울 수도권 지하철 승객이 인터넷으로 구매한 채소 등의 신선 식품을 퇴근하는 도중에 이동 경로상의 지하철역 구내의 서비스 시설물에서 배달 받는다고 가정하면, 제기되는 문제는 어떤 지하철역에 서비스 시설물을 설치하면 얼마나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픽업 문제로 알려져 있고, 픽업 문제를 풀려면 교통 흐름을 설명하는 교통 네트워크가 있어야 되고 각 교통 흐름의 이동 경로도 알 수 있어야 된다. 서울 수도권 교통카드 시스템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하철 승객의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 움직이는 이동 경로인 승객 흐름을 구할 수 있으므로, 서울 수도권 지하철 교통 시스템에서 픽업 문제는 승객 흐름을 최대한 많이 포착하는 서비스 시설물들을 설치할 지하철역들을 선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서울 수도권 지하철 시스템과 지하철 승객들의 흐름을 픽업 문제의 모델에 맞추어 수식화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지하철 승객들의 흐름을 기종점 통행 행렬을 만들어 단계별로 가장 많은 통과 승객수를 갖는 픽업 역을 계산해내는 빠른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대용량 교통 네트워크와 교통 흐름에 해당되는 약 400여 개의 지하철역을 가진 서울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와 약 500만 명의 지하철 교통카드 트랜잭션들을 입력으로 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선정된 픽업 역들을 빠른 시간 내에 얻었고, 그 중에서 상위 10개 픽업 역들을 지하철 안내 지도에 표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가 거의 최적해와 같음을 추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