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12K

검색결과 3,566건 처리시간 0.036초

ON THE STABILITY OF A MODIFIED JENSEN TYPE CUBIC MAPPING

  • Kim, Hark-Mahn;Ko, Hoon;Son, Jiae
    • 충청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9-138
    • /
    • 2008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Jensen type cubic functional equation $$f\(\frac{3x+y}{2}\)+f\(\frac{x+3y}{2}\)\\=12f\(\frac{x+y}{2}\)+2f(x)+2f(y),$$ and then investigate the generalized Hyers-Ulam stability problem for the equation.

  • PDF

DYNAMICAL PROPERTIES ON THE ITERATION OF CF-FUNCTIONS

  • Yoo, Seung-Jae
    • 충청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if the Fatou set F(f) of a CF-meromorphic function f has two completely invariant components, then they are the only components of F(f) and that the Julia set of the entire transcendental function $E_{\lambda}(z)={\lambda}e^z$ for 0 < ${\lambda}$ < $\frac{1}{e}$ contains a Cantor bouquet by employing the Devaney and Tangerman's theorem[10].

  • PDF

C-terminal truncation of a bovine B12 trafficking chaperone enhances the sensitivity of the glutathione-regulated thermostability

  • Jeong, Jinju;Park, Jihyun;Lee, Dong-Yeon;Kim, Jihoe
    • BMB Reports
    • /
    • 제46권3호
    • /
    • pp.169-174
    • /
    • 2013
  • The human $B_{12}$ trafficking chaperone hCblC is well conserved in mammals and non-mammalian eukaryotes. However, the C-terminal ~40 amino acids of hCblC vary significantly and are predicted to be deleted by alternative splicing of the encoding gen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thermostability of the bovine CblC truncated at the C-terminal variable region (t-bCblC) and its regulation by glutathione. t-bCblC is highly thermolabile ($T_m={\sim}42^{\circ}C$) similar to the full-length protein (f-bCblC). However, t-bCblC is stabilized to a greater extent than f-bCblC by binding of reduced glutathione (GSH) with increased sensitivity to GSH. In addition, binding of oxidized glutathione (GSSG) destabilizes t-bCblC to a greater extent and with increased sensitivity as compared to f-bCbl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bCblC is a more sensitive form to be regulated by glutathione than the full-length form of the protein.

$SrAl_{12}O_{19}:Mn^{4+}$ 적색 형광체의 플럭스와 Mn 농도에 따른 영향 및 발광특성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SrAl_{12}O_{19}:Mn^{4+}$ red phosphor depending on Mn concentration and fluxes)

  • 박우정;정몽권;문지욱;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6-15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장파장 UV 영역하에서 비교적 우수한 발광강도를 가지는 적색 형광체를 얻기 위하여 고상법으로 합성하여 발광특성을 관찰하였다. $SrAl_{12}O_{19}:Mn^{4+}$ 적색 형광체의 발광강도는 $Mn^{4+}$$^2E\to^4A_2$ 천이 때문에 643, 656, 666, 671 nm에서 4개의 sharp한 peak이 $600{\sim}700 nm $의 영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여기 스펙트럼은 $250{\sim}550 nm$ 넓은 영역에서 338, 398, 468nm 3개의 peak이 발생하였다. 또한 $SrAl_{12}O_{19}:Mn^{4+}$에 0.67mol% MgO를 함유한 $SrAl_{12}O_{19}:Mn^{4+}$의 상대적인 발광강도는 $SrAl_{12}O_{19}:Mn^{4+}$ 보다 약 30% 정도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원인은 MgO가 첨가되어 $Al_2O_3$ 부분에 대체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광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0.67mol% MgO를 함유한 $SrAl_{12}O_{19}:Mn^{4+}$ 시료에 $CaF_2$를 첨가하였다. 0.67mol% $CaF_2$와 0.67mol% MgO를 함유한 $SrAl_{12}O_{19}:Mn^{4+}$의 656nm에서의 상대적인 발광강도는 융제를 첨가하지 않은 $SrAl_{12}O_{19}:Mn^{4+}$보다 약 48% 이상 증가하였다.

Fe(III)-Salicylic acid의 착물 형성에 관한 연구 (The Complex Formation of Fe(III)-Salicylic acid)

  • 차기원;박광원
    • 분석과학
    • /
    • 제8권3호
    • /
    • pp.305-311
    • /
    • 1995
  • Salicylic acid($C_6H_4(OH)COOH=H_2A$)와 전이금속인 Fe(III) 사이에 형성되는 착물의 안정도상수를 $20^{\circ}C$, 0.1M $KNO_3$ 수용액 중에서 자외-가시선 흡수광도법 및 pH 전위차적정법으로 측정하여 문헌값($logK_f=16.48$)과 비교하였다. $H_2A$$pK_{a1}$$pK_{a2}$$2.92{\pm}0.08$$12.90{\pm}0.13$이며, Fe(III)-$H_2A$의 1:1 착물의 $logK_f$$20^{\circ}C$에서 $11.88{\pm}0.12$였다.

  • PDF

국내 포도나무 혹병(Agrobacterium vitis)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Agrobacterium vitis Strains in Korea)

  • 김종군;최재을;강희완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37-144
    • /
    • 2007
  • 거봉 포도나무에 혹병을 일으키는 A. vitis 균주간의 DNA 다양성 평가를 하기 위하여 12종류의 URP primer 적용 성을 조사한 결과 URP1F, URP2F, URP2R, URP4R, URP17R primer가 균주 간 DNA 다형성검정에 유용하였다. 국내외에서 분리한 59 A. vitis 균주를 URP-PCR 증폭하였던 바 균주간의 매우 다양한 PCR 다형성 밴드를 형성 하였으며 12 strain type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거봉포도로부터 분리된 A. vitis 균주는 4 strain type의 비교적 단순한 유전적 다양성으로 나타났으나, 거봉이외의 다른 포도 품종이나 국외에서 도입된 A. vitis 균주는 8 strain type의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 거봉품종 유래 국내 균주와는 PCR 다형성 type에 있어 차이점을 보였다. URP-PCR 다형성 밴드를 집괴 분석하여 UPGMA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7개의 대 Group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룹 간에는 $62{\sim}100$%까지 다양한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다.

표면균열의 거동과 피로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Surface Crack Behavior and the Fatigue Life Prediction of Notched Specimens)

  • 서창민;이정주;정은화;박희범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097-1103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이 좁은 벤트내에 자료가 모이는 피로균열의 특성을 이용하여 표면피로균열의 성장거동을 파괴역학적으로 해석, 연구하여 균열의 성장특성과 $S-N_{f}$ 곡선의 추정을 마이크로 컴퓨터로 계산하였다.

TLD를 이용한 X-선 수중 흡수선량 측정 및 해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X-ray Absorbed Dose in Water Phantom using TLD)

  • 오장진;전재식;하석호;김원식;황선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21-28
    • /
    • 1988
  • LiF : PTEE를 사용하여 중경 X-선(HVL : 0,29, 0.84, 1.60, 2.62mmCu) 영역에 대한 수중 흡수선량을 측정 해석하였다. 이때 선량계 (0.4mm ${\times}\;{\phi}$12.5mm, hot-pressed LiF TLD-700)는 루사이트로 둘러 싸여 있고 물의 흡수선량은 각각의 TL출력 값에 Burlin의 공동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물 팬텀 속 깊이 5cm에서 흡수선량률의 측정 오차는 최대 ${\pm}5%$로 나타났다. 이 측정값을 측정 오차가 ${\pm}2%$의 간접절대측정방법인 이온화법에 의한 측정값과 비교한 결과 두 값의 차이는 LiF : PTFE의 측정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였다. 이와같은 결과로 LiF : PTFE를 이용한 수중 흡수선량 측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중경 X-선 영역에 대한 선량당량 평가의 근거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염침지 및 마이크로파 처리 두태류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ites of Legumes subjected to Salt Solution and Microwave Heating)

  • 박종대;전향미;최봉규;금준석;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86-690
    • /
    • 2006
  • 백미와 함께 혼합 취반하여 섭취하는 두태류의 영양소 손실이나 식미감의 감퇴, 편이성과 저장성의 문제 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리태와 팥을 대상으로 가염 침지후 마이크로파 건조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가염 두태류의 제조는 $25^{\circ}C$, 3% 소금물에 서리태는 6시간 동안, 팥은 12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침지 후 측정한 두태류의 수분함량은 서리태 35.8%, 팥 35.1%이었다. 여기에 1차 마이크로파 조사를 한 후 $5{\sim}10^{\circ}C$ 냉풍으로 급속냉각 시킨 다음 2차 마이크로파 조사와 냉각을 실시하여 수분함량을 최종 $12{\sim}14%$로 하여 최종제품으로 가공하였다. 최종 가공된시료 색차 변화 양상은 품종간 차이가 있었으며, 경도는 가염 서리태가 $3,309g_f$로 일반 $12,863g_f$에 비하여 낮아졌다. 또한 일반 백미와 두태류의 비율을 7:3으로 하여 혼합 취반한 결과, 경도가 $3,165g_f$으로 일반 혼합곡밥에 비하여 낮았고, 관능평가결과 가염 처리한 혼합곡밥이 이미의 냄새와 경도가 일반 혼합곡밥에 비해 낮고 외관과 냄새, 맛, 조직감에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 또한 8.0으로 일반 혼합곡밥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염 침지 및 마이크로파건조로 전처리한 두태류는 취반전 별도의 침지과정이 필요 없으며, 일반 두태류 취반에 비하여 식미와 조직감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