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1 generation

검색결과 556건 처리시간 0.03초

서울 방언 어두 폐쇄음의 후속모음 F0 (F0 as a primary cue for signaling word-initial stops of Seoul Korean)

  • 변희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1호
    • /
    • pp.25-36
    • /
    • 2016
  •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voice onset time (VOT) of aspirated and lenis stops has been merged, and post-stop fundamental frequency (F0) has emerged as a primary cue to distinguish the two stops in the younger generation and female spe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VOT merger in aspirated and lenis stops occurs after an F0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ps becomes stabilized. In other words, unless post-stop F0, which is a redundant feature, is fully developed, it is hard for VOT merger to happen. Females have got a stable F0 difference in stops earlier than males. Therefore, VOT merger could happen, and as a result, females could take the lead in changing from VOT to F0 in initial stops. This study also shows that speakers who acquired F0 as a primary cue use F0 to the full to distinguish lenis stops from two other stops (aspirated and fortis).

이면교배에 의한 황색종담배 (Nicotiana Tabacum L.)의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분석 - II. $F_1$$F_2$ 세대의 heterosis와 반수체의 특성 - (Diallel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of Flue-cured Tobacco Varieties (Nicotiana tabacum L. ) II. Heterosis of the $F_1$ and $F_2$ generation and the characters of haploids from $F_1$ hybrids and their parents)

  • 이승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3-30
    • /
    • 1982
  • Six flue- cured cultivars of Nicotiana tabacum L., 15 possible $F_1$ hybrids and $F_2$ Populations among them, and 15 haploid Populations from Fl hybrids and haploids from Parents, were evaluated. Comparisons of the $F_1$, hybrids and $F_2$ Populations with the Parents indicated that heterosis values were small but significant for yield, plant height, days to flower, leaf length and width and total alkaloids from-6.0% to 5.4% in $F_1$ hybrids, and from -3.4% to 3.6% for Plant height days to flower leaves per plant in $F_2$ populations,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for yield, plant height, days to flower, leaves per plant and total alkaloids between diploid and haploid populations. Increase or decrease ratio of haploids to diploids of total alkaloids was appeared to 30.3%. Those for yield, leaf length and width, value arid reducing sugar were ranged from -4.1% to -27.6%.

  • PDF

화학적 불임유기물질 Hempa가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및 불임성의 전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Chemosterilant, Hempa, on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1.) and Transmission of Sterility)

  • 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
    • /
    • 1973
  • 본 실험은 Hempa 처리가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과 부분불임성의 유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우화후 1-3일된 숫컷을 $0.0625\%,\;0.125\%,\;0.25\%,$$0.5\%$의 Hempa로 처리된 소맥에서 2일간 섭식처리하여 당대의 치사율, 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F_l,\;F_2,\;BC_1,\;F_3\;BC_2$ 세대에 미치는 처리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웅충의 평균수명은 대조구에 비하여 차가 없었으며 당대 치사율도 $0.5\%$ 처리시 보정 치사율은 $7.07\%$로 유의차가 없었다. (2) 처리웅충과 교배된 정상 자충의 3일간 평균 산란수는 무처리구 3.60에 비하며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3.78, 4.05, 3.75 및 3.61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비교배자충 구에서는 1.91로 현저한 산란수의 감소를 보였다. (3) 처리웅충과 무처리자충의 교배에서 얻은 $F_l$대의 처리후 27일간 총평균 부화율은 대조구 $86.82\%$에 대하여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64.77\%,\;53.47\%,\;40.33\%,\;24.78\%$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부화율이 감소되었다. (4) 처리후 산란 시기별로 산하된 란의 부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후 10-12일까지는 부화율이 감소하다가 그후 다시 증가하는 회복현상을 보였다. (5) 고농도 처리구인 $0.5\%$구에서는 처리후 1-3일에 산하된 란의 부화율이 낮았고 10-12일 이후에도 회복의 속도가 느렸다. 이와같은 현상은 배우자 형성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시기의 범위가 넓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6) 유충기 치사율은 대조구 $6.55\%$에 비하여 $0.0635\%,\;0.125\%,\;0.25\%,\;0.5\%$구에서 각각 $17.89\%,\;27.40\%,\;35.43\%,\;52.17\%$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치사율의 증가를 보였다. (7) 난기 치사율과 유충기 치사율의 관계는 $0.125,\;0.25,\;0.5\%$ 처리구에서 상관계수가 각각 r=+0.89, +0.83 및 +0.85로 난기 치사와 유충기 치사는 동일형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8) 치사인자 발현에 대한 난기와 유충기의 감수성은 각각 $SC_{50}=0.133\%$$LC_{50}=0.565\%$초 난기가 유충기보다 감수성이 쳤다. 또한 미우화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 둘의 공동작용의 결과임으로 $LC_{50}=0.09\%$로 더욱 감수성이 컸다. (9) $F_1$대의 우화 성충은 $0.125\%,\;0.25\%\;,\;0.5\%$ 처리구에서 암컷대 숫컷의 비율이 100 : 125, 100 : 108 및 100 : 124로 숫컷의 출현빈도가 높은 듯 하였으나 우화 개체수가 적은 관계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10) $P_1$이 처리후 16-18일에 산하한 난에서 우화한 $F_l$ 웅충을 무처리 자충과 교배하였을 때 $0.0625\%$구에서는 $13.88\%,\;0.125\%$ 구에서는 $33.04\%$의 난기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F_2$도 각각 $31.01\%$$38.73\%$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어 염색체 이상의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11) $F_2$ 세대의 유충기 치사율은 자충 퇴교배구가 웅충 퇴교배구 보다 높았고 $F_l$ 형매교배에서 가장 높았다. (12) $F_2$$BC_1$ 세대의 유충발육은 산난후 제17일에 1-2영충이 대조구 $10.98\%$에 비해 자충 퇴교배구, 웅충 퇴교배구 및 $F_2$구에서 각각 $7.26\%,\;32.98\%$$15.73\%$로 분화의 지연작용을 나타내는 듯하였다. (13) $F_3$ 세대에서도 난기 및 유충기 치사율이 형매교배구가 퇴교배구 보다 높았다. 이는 열성치사인자가 영향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14) Hempa 처리에 의하여 유기된 불임은 주로 전좌나 결실과 같은 염색체 이상로 유기되는 우성치사돌연변이에 기인된 것이라고 생각되었으며 이들 인자의 영향은 처리 후 제3세대에까지 전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구기자품종의 구기자혹응애 저항성 유전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Gall Mite(Eriophys macrodonis) in Boxthorn (Lycium chinese) Cultivars)

  • 최재을;차선경;김영창;김진희;강희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8-304
    • /
    • 2002
  • 구기자품종의 혹응애에 대한 저항성 반응 및 저항성 유전양식 을 검정하기 위하여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을 인공교배 하여 얻은F$_1$집단의 포장자연 발생율에 의하여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기자혹응애 저항성 품종인 일본 1호,중국 1호를 감수성인 CL42-56과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3 ; 1로 분리되었으며, 일본 1호와 중국 1호를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15 : 1로 분리 되었다. 2. 일본 1호와 중국 1호의 혹응애 저항성은 hetero 인 두 개의 우성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며, 저항성 유전자를 E1e1E2e2로 명명하였다. 3. 청양구기자를 CL42-56에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의 분리비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변이 의 폭이 크므로 청양구기자의 혹응애 저항성은 주동유전자와 polygenes에 의해 지배되었다. 4. 일본 1호와 중국 1호는 혹응애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모본으로 우수하였으며, 청양구기자도 저항성 모본으로서 가치가 인정되었다.

Next-generation probiotics, parabiotics 및 postbiotics (Next-generation Probiotics, Parabiotics, and Postbiotics)

  • 조광근;이승호;최인순;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5-602
    • /
    • 2021
  • 사람의 장내 미생물은 숙주의 대사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은 비만, 대사 증후군과 밀접하게 병리학적, 생리학적 상호작용을 한다. A. muciniphila는 최근 인간의 대변에서 분리되었으며, 장내 미생물의 약 1-4%를 차지하는 우점균이다. A. muciniphila 유래 외막(external membran) 단백질 Amuc_1100과 세포외 소포(EVs)의 이용은 비만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 A. muciniphila는 비만과 같은 대사 장애치료를 위한 차세대 probiotics로 고려되고 있다. F. prausnitzii는 next-generation probiotic로서 건강한 성인의 경우 장내미생물 균총의 약 5%를 차지하며 성인 장 건강의 지표이다. F. prausnitzii는 butyrate-producing bacterium로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면역 질환과 당뇨병 치료를 위한 next-generation probiotics로 기대된다. Postbiotics는 probiotics에 의해 분비되는 세포 상층액에 포함된 대사산물의 복잡한 혼합물이다. 반면, parabiotics는 probiotics를 불활성화 시킨 미생물 세포이다. Paraprobiotics와 postbiotics는 probiotics에 비해 명확한 화학구조(clear chemical structures)와 안전한 투여 용량(safety dose parameters), 장기간의 유통 기간(longer shelf life)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probiotics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장 생태계의 불균형을 정상적으로 복원하기 위해서 장내 공생 박테리아(commensal bacteria) 중 next-generation probiotics (NGPs)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런 방법이다. 따라서 next-generation probiotics 를 대상으로 parabiotics와 postbiotics와 같은 새로운 식품이나 약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Investigation of Genetic Diversity between Wild-caught and Hatchery-reare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Using Microsatellite DNA Analysis

  • Kim, Mi-Jung;An, Hye-Suck;Hong, Seong-Wan;Park, Jung-Yo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82-87
    • /
    • 2008
  • Marine fisheries are important natural resources and must be maintained, especially fish species that are important sources of food. Despite the increase in stocking programs to maintain fisheries with artificially raised fish, the genetic impact stocking has on the wild fry population has not been addressed. Genetic variation in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within and between wild-caught parents and the $F_1$ generation produced by them in 1 day was assayed using nine highly variable micro satellite markers. The nine micro satellite loci used in this study displayed diverse polymorphisms, and in total, 98 different alleles were observed over all loci. Differences in genetic variability of the $F_1$ offspring compared to their wild-caught parents (brood stock) were observed in terms of allele frequency, gene diversity, and heterozygosity. Although the $F_1$ generation of rock bream was missing 16% of the micro satellite alleles, no significant reduction was found in mean heterozygosity of the $F_1$ population compared to the brood stock. Eight of nine loci showed significant Hardy-Weinberg equilibrium (HWE) deviations in the $F_1$ population, while the brood stock deviated from HWE at three micro satellite loci (KOF85, KOF360 and KOF374). These deviations showed mostly a deficit of heterozygotes. Our results provide evidence for genetic differences in the $F_1$ hatchery offspring compared to their wild-caught parents and reinforce the need for a series of consecutive egg collections to avoid the loss of genetic variability. This also furth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genetic variability of hatchery popul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ock bream resources.

움직이는 스핀입자를 이용한 양자얽힘 생성 방법 (Entanglement Generation by Using the Moving Spin)

  • 이혁재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9
    • /
    • 2007
  • 양자얽힘 상태를 만들어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근거리에 있는 두 계를 양자얽힘 상태로 만드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으나 직접 상호작용이 불가능 할 정도로 멀리 떨어져서 고정되어 있는 계들을 양자적으로 얽히게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다. 본 논문에서는 먼 거리에 떨어져있는 스핀-1/2입자들 사이에 양자얽힘 상태를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아니라 제 삼의 스핀-l/2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상호작용으로는 $F\"{o}rster$ 상호작용과 스핀-스핀 교환 상호작용을 사용하였다.

2n性 單爲생殖 이용에 의한 固定 $F_1$種子 생산과 그 展望 (Prospect on the Fixation of $F_1$ Hybrid Seed by Means of 2n Apomixis)

  • 한창열;한지학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9-256
    • /
    • 1997
  • Plant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2n apomixis or agamospermy form embryos and seeds without the processes of normal meiosis and syngamy. Seeds produced in this way have identical genotype of their maternal parent. Three different types of agamospermy are recognized: diplospory, apospory, and adventitious (adventive) embryony. $F_1$ hybrid cultivars cannot be used as seed sources in the next ($F_2$) generation because this generation would be extremely variable as a result of genetic segregation. Hybrid vigor is also reduced in the $F_2$ generation. Therefore, parental stocks for hybrid seed production need to be maintained and cross must be continuously repeated. Agamospermic 2n apomixis would make it possible to fix the genotype of a superior variety so that clonal seeds faithfully representing that genotype could be continuously and cheaply produced independent of pollination. That is, $F_1$ hybrid seeds could be produced for many generations without loss of vigor or genotype alteration. Production of apomictic $F_1$ hybrid seed would be simplified because line isolation would not be necessary to produce seed or to maintain parental lines, and the use of male-sterile lines could be avoided. Overall, apomixis would enable a significant reduction in hybrid seed production costs. Additionally, the production of clonal seed is not only important for seed propagated crops, but also for the propagation of heterozygous fruit trees and timbers. Clonal seed would help avoid costly and time-consuming vegetative propagating methods that are currently used to ensure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these plants. Apomixis is scattered throughout the plant kingdom, but few important agricultural crops possess this trait Therefore, most research to date has centered on introgressing the trait of apomixis into agricultural crops such as wheat, maize, and some forage grasses from wild distant relatives by traditional cross breeding. The classical breeding approach, however is slow and often impeded by many breeding barriers. These problems could be surmounted by taking mutagenesis or molecular approach. Arabidopsis thaliana is a tiny sexually reproducing plant and is convenient in constructing and screening in molecular researches. Male-sterile mutants of Arabidopsis are particularly suitable genetic background for mutagenesis and screening for apomictic mutants. Molecular approaches towards isolating the genes controlling the apomictic process are feasible. Direct isolation of genes conferring apomixis development would greatly facilitate the transfer of this trait to wide variety of crops. Such studies are now in progress.

  • PDF

Bisphenol A와 butyl benzyl phthalate 동시투여가 임신랫드와 차산자에 미치는 영향 (The Reproductive Toxicity by Combined Treatment of Bisphenol A and Butyl Benzyl Phthalate During Gestation, Lactation Period in Rats)

  • 최경호;황성희;권은아;김판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78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developmental and estrogenic activity of bisphenol A (BPA) and butyl benzyl phthalate (BBP) to the second generation of Sprague-Dawley rats ingested during gestational or lactational periods. Rats were given BPA 20$\mu\textrm{g}$/kg BBP 100mg/kg of pregnancy or lactation periods. Maternal body weight and neonatal body weight were recorded. The rats were sacrificed on day 21 after birth. Reproductive organs of dam and neonate were utilized for receptor binding assay.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BPA and MBep, one of the major metabolites of BBP were analyzed with HPLC. The co-administration of BPA and BBP induced slow weight gain compared with single administration in dams. Also, such mixture induced low neonatal body weights in next generation. The dams treated with BPA and BBP during lactational periods showed significant organ weight changes in liver and spleen. The dams exposed during lactational periods showed significant organ weight changes not only in liver and spleen but also in kidney, uterus and ovary. The F1 female rats exposed during lactation periods showed significant organ weight changes in liver, spleen, ovary. The F1 male rats showed significant organ weight changes in liver, kidney, epididymis, vesicular glands, prostate. However, no clear synergistic effects of BPA and BBP were note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ER$\alpha$ expression pattern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However, ER$\alpha$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F1 male testis and female uterus. PI male showed distinct ER$\alpha$ expression, especially in the group of lactational combined exposure. Synergistic ER$\alpha$ expression was found by combined treatment of BPA and BBP. We could not find any evidences of synergistic effects on BPA and/or BBP combined administration on dams and their fetuses, except in ER$\alpha$ expression of F1 male.

밀 잡종 후기 세대에서 단백질 함량 및 경, 연질의 선발 효과 (Selection Efficiency for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in Progenies of Hybridized Wheat)

  • 송현숙;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14
    • /
    • 1993
  • 가공 적성면에서 가장 중요한 품질요인인 단백질의 양과 질을 육종 목표로 했을 때 잡종 후기 세대에서의 선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조광 x Lancota, 수원 210호 x Atlas 66의 두 조합의 후대를 공시하여 단백질함량, 심전가, Mixogram pattern, 제빵 특성을 검토하였다. 1. F4 세대에서 선발된 고단백 집단의 단백질함량은 저단백 집단에 비해 F5 세대에서는 유의성 있게 높은 값을 보였으나 F6 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심전가 고단백은 경질 Group과 저단백 연질 Group간에서만 차이가 인정되었다. 3. F6 세대에서 개체별로 수확하여 단백질함량과 심전가를 분석한 결과, 분포영역은 저단백 연질, 저단백 경질, 고단백 연질, 고단백 경질 Group의 순서로 단백질 함량 및 심전가 높은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수원 210호 x Atlas 66 조합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4. 밀가루 반죽의 특성을 나타내는 Mixogram pattern은 각 특성 Group별로 고유의 형태를 보여 선발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5. F6 세대의 제빵 특성은, 수원 210호 x Atlas 66 조합은 고단백 경질 Group이 저단백 연질 Group에 비해 빵의 부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광 x Lancoa 조합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