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 moniliform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비병원성(非病原性) Fusarium균(菌)을 이용(利用)한 아스파라거스의 병원성(病原性) Fusarium균(菌)의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 (Biological Management of Virulent Fusarium Species on Asparagus with Avirulent Fusarium Species In Vitro)

  • 이윤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8-300
    • /
    • 1994
  • 재배지에서 경작된 아스파라거스의 이병조직으로 부터 Fusarium oxysporum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F. moniliforme와 F. solani가 그다음 순으로 분리되었다. 유묘와 조직배양을 통해 얻은 개체를 이용한 병원성 검정 결과, F. oxysporum과 F. moniliforme는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F. solani와 잠두의 배축으로 부터 분리한 비 병원성 F. oxysporum (AVFO)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F. moniliforme가 F. oxysporum 보다 병원성이 더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F. moniliforme가 F. oxysporum보다 더욱 일관된 병원성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비병원성 Fusarium균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실험 결과, 병원성 균주를 접종하기 5-7일전에 비병원성 균주들을 접종하여 방제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비병원성 F. oxysporum (AVFO)은 F. oxysporum에 대해서 보다 F. moniliforme에 대해 더욱 효과적인 방제효과를 나타냈고, F. solani는 F. moniliforme에 대해서 보다 F. oxysporum의 방제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 PDF

포장(圃場)에서 Fusarium속균(屬菌)의 종자(種子) 감염(感染)과 소독제(消毒劑)의 선발(選拔) (Rice Seed Infection of Fusarium spp. at Paddy Field and Selection of Seed Disinfectants)

  • 성재모;이종은;양성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3
    • /
    • 1985
  • 품종(品種)별로 포장(圃場)에서 임의(任意)로 채집(採集)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한 결과(結果) Fusarium moniliforme와 F. roseum 'Graminearum' 품종(品種)에 따라 분리(分離) 비율(比率)이 다르나 공시(供試)한 품종(品種)에서 거의 다 분리(分離)되었다. 특(特)히 F. roseum 'Graminearum'은 현미(玄米)에서도 높은 분리비율(分離比率)을 보였다. 참새 피해(피해)를 받은 이삭에서 F. moniliforme의 Sporodochia가 많이 형성(形成)되었으며 벼 별구에서도 . F. moniliforme등 많은 병원균(病原菌)이 분리(分離)되었다. 저지원 시험결과 P242가 F. moniliforme에 대하여 저지비교(效果)가 가장 좋았으나 소독(消毒)후 종피(種皮)에서는 병원균(病原菌)이 거의 분리(分離)되지 않았으나 현미(玄米)에서는 키다리병원균(病原菌)인 F. moniliforme가 많이 분리(分離)되었다. 소독시간별(消毒時間別) 약효(藥效)를 보면 4시간 동안 처리하면 12시간 24시간 36시간 보다 약효가 띨어졌으며 $30^{\circ}C$에서 36 시간 처리한것이 가장 종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usarium moniliforme 감염벼종자의 소독과 주사전자현미경적 조직관찰 (Effect of Seed Treatment and Observation of Seeds Infested with Fusarium moniforme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성재모;이형순;유승헌;신관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5
    • /
    • 1985
  • Fusarium moniliforme에 감염된 벼줄기의 도관부에서도 균사가 관찰되었다. Benlate T와 Busan 30을 처리한 종자에서도 소독시간에 관계없이 F. moniliforme가 분리되지 않아 소독효과가 인정되었으나 현미에서 소독시간에 관계없이 F. moniliforme가 검출되어 방제효과가 떨어졌다.

  • PDF

한국에서의 Fusarium균에 의한 보리의 토양전염성병 (Soil-borne Diseases of Barley in Barley in Korea Caused by Fusarium spp.)

  • 성재모;;정봉구;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19
    • /
    • 1977
  • Fusarium spp가 1976년 포장에서 채집한 벼밀 보리에서 분리되었다. 병원성이 있는 것은 Fuarium(Calonectria) nivale, F.(Gibberella) moniliforme와 F.(Gibberella) roseum 'Graminearum'과 'Avenaceum'이었다. 부생균가운데 F.(Nectria) episphaeria가 분리되었다. F. nivale와 F. episphaeria의 완전시대인 Calonectria Nectria가 발견되었고 이것들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분리된 Fusaria는 벼에서 $66.3\%$가 F. moniliforme 이고 보리, 밀에서$68.2\%$가 F. roseum 'Graminearum 이었다. 자낭각은 실험실 조건하에서 형성되었고 F. moniliforme는 밀이삭, 보리씨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나타났다.

  • PDF

Fusarium속(屬)의 염색체(染色體)에 관한 연구(硏究)(I)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Fusarium(I))

  • 민병례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3-256
    • /
    • 1986
  • fusarium속(屬)에 속하는 3 종(種)인 F. solani, F. moniliforme, F.cocophilum을 실험재료로 하여 그들의 균사내(菌絲內)에서 일어나는 핵분열(核分裂)을 관찰하고, 그들의 염색체수(染色體數)를 확인하였다. Fusarium속(屬)의 핵분열(核分裂)은 생장(生長)하고 있는 끝부분(hyp-hal tip)에서 좀 더 관찰이 잘 되었고 염색체(染色體)의 형태(形態)는 대체로 점(點)(dot)모양이었으며, 확인한 염색체(染色體)의 수(數)는 F. solani는 n=8, F. moniforme는 8, F. cocophilum은 n=6개였다.

  • PDF

Fusarium속의 염색체 분석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Fusarium)

  • 민병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2-347
    • /
    • 1989
  • Fusarium 속의 20균주를 PDA 배지에서 배양하고. HCI-Giemsa 염색법을 이용하여 균사 내에서의 영양핵의 핵분열을 관찰하였고, 염색체 수를 세었다. 관찰한 모든 Fusarium 속의 균주들익 염색체 수는 4-8개 사이에 있었다. 그 중에서 3균주인 F. solari S Hongchun D4. F. moniiforme(from banana), F. raphani (from radish)는 n=8개이고, F, solani 7468(from Sydney), F, solani 7475 (from Sydney), F, oxyporum (from tomato), F, oxyporum(from tomato). F F. roseum(from rice), F, sporotrichioides C. Jungsun 1, F. avenaceum C Kosung 6. F, avenaceum46039 등의 7균주에서는 n=7개였다 F. monilzfonne (from rice), F. graminellrum, F. probiferatum 6787(from Sydney), F. anguioides ATCC20351의 5균주는 n=6개 F. moniliforme NRRL2284. F. poae NRRL3287. F. tricintum NRRL 3299의 3균주는 n=5개였고 가장 적은 수의 n=4개인 균주로는 F. sporotrichioides NRRL3510과 F. equiscli KFCC 11843 IFO 030198의 3균주였다. 이상의 균주들의 염색체 수를 비교 고찰할 때 Fusarium 속의 기본 염색체 수는 반수체가 4개이며 종 분화과정에서 이수체와 배수체가 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 PDF

녹두종자, 뿌리와 녹두 재배토양에서 분리된 Fusarium spp.와 병원성 (Fusarium spp. Isolated from Seed, Root and Cultivated Soil of Phaseouls vidissimus and Their Pathogenicity)

  • 백수봉;도은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2
    • /
    • 1987
  • 경기도 농촌진흥원에서 분양받은 녹두종자와 녹두 시험포의 뿌리 및 재배토양에서 Fusarium oxysporum, F. monitiforme, F. solani, F. equiseti, F. semitectum 및 F. sporotrichioides가 검출되었다. 종자를 대형 Petridish에서 발아시킨 유묘검정에서는 $7\%$, 자엽 및 배에서도 $2\%$의 감염율을 나타냈다. 녹두 종자에서 분리한 F. moniliforme, F. semitectum, F. equiseti 및 F. sporotrichioides를 Water-agar에서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이병근에서 F. oxysporum과 F. solani가 분리되었고, 이들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Water-agar에서는 병원성이 인정되었으나 병원균접종토양에서는 약하게 나타났다. 재배토양에서는 F. oxysporum, F. solani 및 F. equiseti가 분리되었는데 이들도 Water-agar에서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병원균접종토양에서는 F. oxysporum과 F. equiseti는 병원성이 인정되었으나 F. solani는 병원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 PDF

곡류저장시 Fusarium moniliforme에 의한 Fusarin C 생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Fusarin C in Cereals during Storage by Fusarium moniliforme)

  • 안명수;현영희;정태영;김덕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1
    • /
    • 1989
  • 우리나라에서 상응되고 있는 12종의 곡류 중에서 Fusarin C의 존재여부와 몇종의 곡류배지에서의 F. moniliforme에 의한 Fusarin C의 생성능력 및 Fusarin C의 생성과 수분활성도와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서울지역에서 상용하고 있는 곡류 12종 중에 쌀, 차조, 수수, 옥수수에서 Fusarin C가 상당량 검출되었으며 평택지역에서는 보리와 율무에서만, 서울지역의 곡류들보다 훨신 적은 양이 검출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에서, 지역 간의 판매 유통기간중의 보관상태가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된다. 2. 곡류를 배지로 한 F. moniliforme의 배양시에 생성되는 Fusarin C의 양은 쌀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보리에서도 옥수수보다 많은 양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가 상식하고 있는 쌀 및 보리가 F. moniliforme의 배지로서 옥수수보다 더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수분활성도가 Fusarin C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쌀보다 옥수수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의 경우 수분황성도가 높을수록 Fusarin C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되며, 수분활성도가 높은 부분에서는 1주에서 최고 값을 나타내었으나 2주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 PDF

콩나물 부패를 일으키는 Fusarium spp.의 동정과 병태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sarium spp. Causing Soybean Sporut Rot)

  • 오병준;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71-475
    • /
    • 1996
  • 콩나물의 생육부진과 부패는 콩나물 재배에 중요한 제한요인이다. 콩나물 부패 병원 진균으로 Fusarium moniliforme, F. oxysporum과 F. solani를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은 종자 발아 후 3∼5일이 지난후 콩나물의 중간 이하에 연한 갈색의 외부 병징을 만들며 발아 후 6∼7일 경에 병징이 더욱 진전하여 진한 갈색의 외부 병징을 나타냄으로써 콩나물에 대한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Hand-section과 microtome-section에 의한 병태 조직학적 관찰에서 F. oxysporum 접종 후 4일이 경과하여 초기 병징을 보인 조직에서 균사가 피층, 세포간극, 목부, 사부, 수에 분포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중국산 옥수수로부터 분리한 Fusarium균주의 독성 및 Fumonisin B1의 생성 (Toxicity and Fumonisin B1 Production by Fusarium Isolates from Chines Corn Samples)

  • 이인원;강효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9-135
    • /
    • 1994
  • Ninety-two isolates of Fusarium species were obtained from Chinese corn samples. The predominant Fusarium species isolated from corn seeds were F. moniliforme, F. proliferatum, F. oxysporum and F. subglutinans, and all 13 species were identified. Each isolate was grown on autoclaved wheat grains and wheat cultures were fed by twenty-one-day-old female rats for the toxicity test. Twenty-six out of 92 isolates caused the death accompanying feed refusal, severe weight loss, liver damage, and hemorrhages in the stomach and intestines. Of the toxigenic isolates, 17 isolates of F. moniliforme, 4 of F. oxysporum, 3 of F. proliferatum, and one of each F. sporotrichioides and unknown species were lethal to rats. The analyses of fumonisin B1 production of the 26 toxigenic Fusarium isolates were carried out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fumonisin B1 was confirmed by mass spectrometry. Fumonisin B1 was produced in wheat culture at levels ranging from 280 $\mu\textrm{g}$/g to 3,952 $\mu\textrm{g}$/g by all of toxigenic F. moniliforme and F. proliferatum, but by none of the other toxigenic Fusarium specie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e high possibility of natural occurrence of fumonisin B1 in corn samples imported from Chin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