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26B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5초

국산 유용 수종재의 인공건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Kiln Drying Characteristics of Several Commercial Woods of Korea)

  • 정병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8-12
    • /
    • 1974
  • 한국의 목재 인공 건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필자의 전직 대학인 전북대학교 전 김두헌 총장님, 동농대전 백남혁학장 및 동농대교수 제위의 각별한 협조를 얻어 1956년 고액을 지불하고 미국 More Dry Kiln Co.에서 최신의 목재 인공 건조 장치를 도입하여 전북 농대 임학과에 설치하게된 것이다. 그러나 이 건조 시설을 활용하는데는 많은 지장이 있었으므로 1959년 전기 More Dry Kiln의 온, 습도 조절장치만을 이용한 소형 Dry kiln을 제작하여 본 시험을 실시한 것이다. 공시수종은 소나무, 낙엽송, 은행나무, 전나무, 밤나무 및 감나무등이며, 공시목의 크기는 것이 60cm, 넓이 10cm 및 두께 15-35mm이다. 실험한 건조 조건은 건조 온도를 일정히 ($170^{\circ}F$)하고, 관계습도를 각종으로 변화할때 얻어지는 건조 속도를 측정하는 동시에 각 건조조건에 의하여 유발되는 건조결함을 조사하여 공시목의 초기 함수율과 건조 최경함수율 특히 shell의 함수율과의 비가 이들의 결함 형성 특히 표면경화(casehardening)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으며 또한 casehardening 계산식을 유도하였다. 1. 목재내부에 형성된 응력 즉 prong이 개주할 때의 응력은 prong이 서로 접합할 때의 응력을 100으로 하는 백분율에 의하여 다음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 응력 측정에 사용한 prong은 그림 1과 같이 작성하여야 한다. $CH=\frac{(A-B') (4W+A) (4W-A)}{2A[(2W+(A-B')][2W-(A-B')]}{\times}100%$ 상식은 다음과 같은 간이식을 사용할 수 있다. $CH=\frac{A-B'}{A}{\times}200%$ 2. 일정 한 건조 조건하에 건조하여 항중에 달하고, 또한 normal casehardening을 형성하는 경우에 는, 그 sample board의 shell 의 함수율은 특히 얇은 sample board에 있어서 US Dep. Agr., Forest Products Laboratory에서 발표한 EMC 보다 낮다. 3. 본 실험에서 측정한 1시간당 목재 건조 표면적 $1cm^2$ 당 증발하는 증발량 즉 건조속도를 비교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순위로 되었으며, 비교 검토한 5수 종중 최대치를 유하는 은행나무 MC 20% 에 있어서 최저치를 표시한 밤나무의 3.8배가 된다. (표 1 참조) (1) 은행나무 (2) 감나무 (3) 소나무 (4) 낙엽송 (5) 밤나무 특히 함수율 26% 이하에 있어서 각 함수율에 대한 증발속도치는 다음과 같은 일차식으로 표시 할 수 있으며, 그 회귀계수 유의성 검정에 있어서의 T치는 다음과 같이 각각 고율의 유의성을 표시하였다. (표2 참조) 상기중 Y는 증발속도($g/cm^2hr$.), X는 함수율을 각각표시한다. 이들 회귀직선을 도시하면 그림 2와 같다. 4. 초기함수율과 건조 최종기에 있어서의 목재의 표층 함수율 즉 shell의 함수율과의 비(SR)가 casehar dening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어떤 SR 값에 관하여 그 SR 값 이하를 유하는 총개제수(N) 중 CH 제4급이 출현하는 수(D)의 확율 즉 N에 대한 D의 출현확율 P%는 표 3과 같다. (D의 출현확율 P%를 위험확율이라고 가칭한다.) 표 4에 있어서 종란의 1,2,3의 숫자는 각각 다음과 같은 사항을 표시한다. (1) CH 값 제 4급이 출현하지 아니 하는 안전한 최소 SF 값 (2) 위험을 30%를 허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SF 값의 한계 (3) CH 값 제 4급 이하가 발생하지 아니하는 위험율 100%의 값의 범위 상기한 실측 결과에 의하여 밤나무, 낙엽송등은 내부응력 형성이 용이한데 비하여 감나무, 소나무등은 내부응력 형성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특히 전나무, 은행나무등은 타수종과 동일한 건조조건에 있어서 reverse casehardening을 초래함에 비추워 타수종에 비하여 현저히 내부응력 특히 normal casehardening이 잘 형성되지 아니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casehardening을 제외한 각종의 drying defects는 long time loading에 있어서 그 내부응력이 ultimate stress를 초과할 때 나타나는 것인데 건조조건 온도 $170^{\circ}F$에 대하여 습도를 낮게하여도 그렇게 심하지 아니하나, 온도 $200^{\circ}CF$의 저습에 있어서 end coating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발생한다. 특히 밤나무는 실험한 타수종에 비하여 casehardening 및 활열성 defects가 강한 것을 지적할 수 있다.

  • PDF

유채 잡종 1세대의 소포자 배양에 의한 배가반수체 집단 선발 및 지방산 조성 분석 (Production of doubled haploid population derived from the microspore culture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F1 generation and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 이지은;박주현;김광수;안다희;차영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74-81
    • /
    • 2022
  • 유채(Brassica napus)는 배추와 양배추의 자연 교잡에 의해 만들어진 이질사배체 작물(AACC, 2n = 38)로, 유채유를 생산하는 기름 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올레산 함량이 높은 유채 EMS26 계통과 J8634-B-30 계통의 잡종 1세대 소포자를 이용하여 배양을 실시하였고, 재분화 식물체의 배수성을 검정하고 배가반수체 집단을 선발하여 C18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꽃봉오리의 크기에 따른 소포자 발달 단계를 확인하였으며, 소포자 배 발생 효율이 높은 1핵기 말과 2핵기 발달 단계를 보이는 꽃봉오리 크기는 2.6 ~ 3.5 mm였다. 본 크기의 꽃봉오리만을 이용하여 소포자 배양을 실시하였으며, 배양 10일 후에 구형배와 심장형배가 관찰되었다. 소포자배는 캘러스를 형성하여 2차배로 발달하였으며, 이후 발달된 multilobe로부터 108 계통의 재분화 식물체를 획득하였다. 재분화된 식물체의 배수성은 4배체가 66.7% (72계통)로 다수였으며, 8배체는 27.8% (30계통), 그리고 2배체는 5.6% (6계통)로 확인되었다. 각 배수성에 따른 기공 세포의 크기는 4배체, 8배체, 2배체 각각 25.5 ㎛, 35.6 ㎛, 19.9 ㎛로 나타나, 배수성과 세포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 4배체 배가반수체 식물체 62계통을 선별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올레산(C18:1) 함량은 72.3%, 리놀레산(C18:2) 11.8%, 리놀렌산(C18:3) 6.2%로 나타났다. 특히 올레산 함량이 가장 높은 계통은 DH22 계통으로 77.6%였으며, 리놀렌산 함량은 DH19계통에서 13.4%로 가장 높았다. 또한 모부본 보다 높은 올레산과 리놀렌산 함량을 보이는 계통은 각각 5개와 14개로 초월 분리(Transgressive segregation) 현상을 보였다. 이렇게 확보된 배가반수체 유전 집단은 유채의 불포화 지방산 생합성 기작 및 관련 유전자 탐색에 활용 가능하며, 올레산 함유량이 높은 계통들은 고품질 유채유 생산 품종 육종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젊은 유방암 환자 배우자의 돌봄 부담감 영향요인 (Influence factors on Care Burden among Spouses of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 배주희;최윤숙;김남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23-43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유방암 환자 배우자의 돌봄 부담감과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에서는 젊은 유방암 환자 배우자의 부부 친밀감, 희망 및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에서 입원 중이거나 외래를 방문한 젊은 유방암 환자 배우자 130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월 3일부터 3월 31일까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mea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젊은 유방암 환자 배우자의 돌봄 부담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41, p<.001)였고, 다음으로 부부 친밀감(β=-.26, p=.001), 나이(β=-.18, p=.009), 지각한 경제적 상태(β=-.14, p=.039)를 포함하여, 총 4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4.41, p<.001).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젊은 유방암 환자 배우자의 돌봄 부담감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부부 친밀감, 나이, 지각한 경제상태를 고려한 차별적인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화학제품제조업에서 배출되는 폐 유기성슬러지의 열적 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Waste Organic Sludges Discharged from an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 김민철;이강우;이만식;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45-1753
    • /
    • 2008
  • 본 연구는 산업단지의 화학제품제조업 및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성슬러지에 대하여 삼성분, 원소조성, 발열량, 열중량 분석 및 연소시험을 실시하였다. 삼성분 분석 결과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수분함량 75.11, 가연분 17.42, 불연분 7.45%로 나타났으며, "코크스, 석유 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의 경우 평균값은 수분함량 77.54, 가연분 18.25, 불연분 4.22%로 나타났다. 원소분석 결과 평균값은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 경우 C 33.06, H 4.34, O 24.81, N 5.18, S 0.72wt%로 나타났으며, "코크스, 석유 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의 경우 C 36.58, H 4.74, O 26.79, N 5.09, S 0.49wt%로 나타났다. 열중량분석 결과, B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700^{\circ}C$ 이상에서 그리고 F와 N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600^{\circ}C$ 정도의 온도에서도 연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소테스트 결과, 산화반응과 동시에 열분해 반응으로 고농도의 일산화탄소가 배출되므로 이로 인한 로의 국부과열이나 파손현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지나해의 초음파 산란층에 관한 연구 ( 2 ) -체적산란강도의 연직분포- (Acoustic Scattering Layers in the East China Sea ( 2 ) -Vertical Distribution of Volume Scattering Strength-)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1호
    • /
    • pp.20-25
    • /
    • 1990
  • 동지나해의 초음파산란층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서 어군탐지기에 의해 탐지한 어군의 체적산란강도의 연직분포와 수온의 연직분포를 상호 비교\ulcorner검토하고, 또 트로올조업에 의한 어획시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해역에서 표층에 가장 인접하여 형성된 수온약층의 수심구간은 8m~12m였고, 이 수온약층의 상\ulcorner하한에 대한 수온차는 8.6$^{\circ}C$였다. (2) 수온약층이 형성된 해역에 있어서 야간의 경우, 어군분포는 수온약층 상부의 혼합층에서 군집도가 가장 높았으나, 주간의 경우에는 수온약층에 관계없이 해저부근에서 어군의 군집도가 매우 높았다. (3) 본 조사에서 탐지한 어군의 각 수심층에 대한 평균체적산란강도의 최대치는 -49.3 dB~-48.0 dB 범위였다. (4) 주간에 해저부근에서 탐지한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의 최대치는 -48.6 dB로서, 이때 저층 트로올에 의해 어획된 어획물은 주로 게(Ovalipes punctatus)와 오징어(Photololigo edulis f. budo)였고, 이밖에도 약간의 쥐치(Thamnaconus modestus), 칼치(Trichiurus lepturus), 새우(Metanephrops thomsoni) 등이 어획되었다.

  • PDF

복분자(Rubus coreanum Miquel) 즙을 이용한 드레싱 제조의 재료 혼합 비율의 최적화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 정수지;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7-504
    • /
    • 2008
  • 본 연구는 새로운 드레싱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분자를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을 만들었을 때 최적의 혼합비를 찾기 위하여 혼합물 실험계획법(mixture design) 중 D-optimal design을 이용하였다. 샐러드드레싱의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복분자즙, 기름, 식초의 첨가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각각 $15.70\sim47.10%$, $23.50\sim39.20%$, $3.90\sim19.60%$로 하였다. 실험 결과를 모델링하여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점도, 적색도, 황색도, 총색차, 유화안정성과 관능검사 항목 중 색이 linear 모델로, 명도와 관능검사 항목 중 냄새,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quadratic 모델로 결정되었다. 모델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probability가 모두 0.05% 이내에서 유의성을 보여 모델로서 적합함이 인정되었다. 복분자즙을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의 최적 재료 혼합비율은 수치 최적화에서는 복분자즙 36.02%, 기름 26.48%, 식초 12.00%이었고,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desirability가 0.577에 해당하는 복분자즙 36.00%, 기름 26.44%, 식초 12.06%로 수치 최적화 점과 거의 일치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드레싱을 만들 때 복분자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드레싱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말똥성게 분획물에 의한 항 발암 및 항산화 효과 (The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Hemicentrotus pulacherrimus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 신미옥;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07-614
    • /
    • 2009
  • 본 연구는 말똥성게에 대한 항 발암 효과와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말똥성게 분획물의 항 발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와 암 예방 지표인 QR 유도 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모든 암세포주 HepG2, MCF-7, HT29 및 B16-F10에서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두 HPMH층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HepG2에서 측정한 QR 유도 활성 효과는 HPMB층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산화 효과 중 ROS 제거활성 측정결과에서는 HPMH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00 ${\mu}g/ml$에서 50%의 ROS 제거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와 비교하였을 때 거의 유사한 제거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ONOO^-$ 제거활성 역시 HPMH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ositive 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penicillamine의 $IC_{50}$값인 5.51 ${\mu}g/ml$ 보다는 낮았으나 15.14 ${\mu}g/ml$$IC_{50}$값을 나타내어 다른 분획층에 비해서는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질산염 제거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HPMH층이 가장 높은 제거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pH가 낮을수록,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제거활성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항 발암효과 중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는 HPMH층이 가장 높았고 QR 유도 활성 효과는 HPMB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는 ROS, ONOO- 및 아질산염 제거활성에서 모두 HPMH층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HPMH층과 HPMB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지며 말똥성게를 이용하여 항암관련 기능성 식품과 식품 저장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등의 개발가능성과 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야월층(半夜月層)의 지하수운동(地下水運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on the Movment of Ground Water of Banayweol Formation)

  • 김영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9권4호
    • /
    • pp.225-240
    • /
    • 1976
  • This study deals with the flow of bed rock ground water of Banyaweol Formation, which is presently cleared up as a laminar flow. The result obtained may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The Banyaweol Formation consists mainly of thin-bedded, green to blackish green shale, mudstone, and marl. The marl and mudstone alternatively occur with shale. The marl and mudstone form a aquifer of Banyaweol Formation. In this study, a group of aquifer is in convenience named as a aquifer zone. The aquifer occurs in lenticular form. The aquifer seems to be a type of artesian aquifer because it is covered with aquicludes, but it actually forms a unconfined aquifer because its piezometric surface stays under the lower aquiclude. The lowering of piezometric level is formed because of leakage of the ground water to the lower aquifer undersaturated. 2)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Banyaweol Formation's ground water body (K) is derived by using Dupuit's equation as the following ${\log}K=\frac{CK^2-dK+f}{aK-b}\;\(M=1.365(2H-s)s\\M={\log}1.956s{\sqrt{H}}r\)$ here, $$a=\sum_{1}M_iG_i$$ $$b={\frac{1}{2}log{\sum_{i}}Q_i{^2}$$ $$c=2{\sum_{i}}M_i{^2}$$ $$d=loge{\sum_{i}}M_{i}Q_{i}+2{{\sum_{i}}N_{i}Q_{i}$$ $$f=loge{\sum_{i}}Q_i{^2}N_i$$ If the measured values substituted for the above equation,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the aquifer is 4.1m/day. The coefficient of storge of the aquifer is $2.8{\times}10^{-4}$ if the measured values substituted for Theis's equation. Using the above constants, the filtration velocity of the aquifer is $2.1{\times}1O^{-1}m/day$and the daily flow quantity of the ground water is $847.38m^{3}/day$. 3)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me necessary for a circulation of ground water body, the contents of tritum contained in the ground water are measured as 2.3 T.U.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Before 1952,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ritium per year in groundwater was reported as 10T. u., taking it as the standard, the groundwater of the present study 26.25 years old. Therofore, the groundwater of the Banyaweol Formation is judged as an relatively old groundwate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ground water of Banyawol Formation is laminar flow as well as unconfined aquifer and ground water flow of relatively long time. 4) The nature, means of flow, and circulation of Banyaweol Formation's ground water body make it possible set up this ground water body as a ground water system.

  • PDF

한국원료견질에 적응하는 자동조사 공정관리의 구명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eration Control with Automatic Silk Reeling Process to be responded for Korean Silk Cocoon)

  • 송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6
    • /
    • 1975
  • These studies were attempted to find out the optimum silk reeling system by use of automatic silk reeling machine to increase raw silk yield and reeling efficiency with various silk reelable cocoon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ilk reelability ratio(X)of the Korean cocoons during the last ten years was 61 per cent, beside 64.7 per cent in autumn cocoon and 57.3 per cent in spring cocoon. However, the ratio variation of autumn cocoons was larger than that of spring cocoons. 2.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coon filament breaks during its process and silk reelability level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The cocoons of both poor and good reelability evidenced "J" shape distribution on the filament break graph by the order of reeling cocoon end. Many bave breaks were found at the inner shell of the cocoons, or in case of poor reelability cocoons. 3. The morphology of broken cocoon ends during the process was classified into A, B, C, D, E and F types, The occurrence of B type was majority, but that of F type was minority among them. 4. In case of the cocoon cooking, H-type ion-exchanged soft water was better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Na and H-type ion exchanged neutral soft water for those of fair reelability, and alkaline (Na-type) soft water for those of poor reelability, respectively. 5. The modification of cooking water by mixing the above different types of water (50% Na-type and 50% H-type passed by standard natural water; 75% Na-type and 25% H-type passed by hard natural water; 25% Na-type and 75% H-type passed by soluble natural water) made higher yield of raw silk with tess breaks of thread. 6, In case cocoon ends groping water included sodium hexametaphosphate as much as 800 ppm. the groping efficiency and raw silk yield of cocoon was improved. The effect was pronounced in case of poor reelability cordons. 7. The most reasonable cocoon cooking and silk reeling condition for automatic silk reeling process were observed to be rather incomplete cook with good reelability cocoons and optimum cook with poor reelability cocoons succeeded by the reeling bath temperature of 45$^{\circ}C$, 8. The reasonable silk reeling velocities were observed to be about 150m per min.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120m per min. for fair reelability ones and 90 to 120m per min. for poor reelability ones. 9. In order to improve the raw silk yield of cocoons and reeling efficiency, the cocoon stand-by-ratio for reeling should be kept at the level of 40 per cent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or at 60 per cent for poor reelability ones beside necessary end found cocoon condition.

  • PDF

Effect of Corticosterone Administration on Small Intestinal Weight and Expression of Small Intestinal Nutrient Transporter mRNA of Broiler Chickens

  • Hu, X.F.;Guo, Yuming;Huang, B.Y.;Zhang, L.B.;Bun, S.;Liu, D.;Long, F.Y.;Li, J.H.;Yang, X.;Jiao,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175-181
    • /
    • 2010
  • The effects of corticosterone (CORT) administration on the weight of small intestine and the expression of nutrient transporter mRNA in the small intestine of broiler chickens (Gallus gallus domesticus) were investigated. One hundred and eight sevenday-old bird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comprising a control group (CTRL) and an experimental group (CORT). CTRL birds were fed a basal diet and the CORT birds were fed a basal diet containing 30 mg corticosterone/kg from d 8 to 21. At 21 d of age,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serum corticosterone level, small intestinal absolute wet weight and relative weight, and relative abundance of SGLT1, CaBP-D28k, PepT1 mRNA in the duodenum and L-FABP mRNA in the jejunum were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serum corticosterone level, liver weight and small intestinal relative weight (small intestinal wet weight/body weight) of CORT chickens were about 30.15%, 26.72% and 42.20% higher, respectively, than in the CTRL group (p<0.05). CORT birds had relative mRNA abundance of CaBP-D28k and PepT1 in the duodenum, and L-FABP in the jejunum which was 1.77, 1.37 and 1.94 fold higher, respectively, than in the CTRL group (p<0.05); the relative abundance of SGLT1 was 1.67 fold higher than in the CTRL group (p = 0.097). ADFI, small intestinal wet weight and length in CORT-treated broiler chickens was about 29.11%, 31.12% and 12.35% lower, respectively, than in the CTRL group (p<0.05). In conclusion, corticosterone administration lowered the wet weight but increased the relative weight of the small intestine and the expression of intestinal nutrient transporter mRNA of broiler chick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