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point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6초

도화원도의 활용방안 (A Application Method of Plotting Original Data)

  • 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41-448
    • /
    • 2011
  • 최근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도화가 보편화 되었으며 이로 인해 지표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정확하게 획득하고 있다. 도화원도는 도화사가 지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작한 신뢰 있는 3차원 데이터이며 등고선과 표고점 이외에도 지형지물에 대해 3차원 좌표를 가지고 있는 점, 선으로 표현되었을 뿐 아니라 레이어로 분류되어 활용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도화원도를 이용해 정밀하고 정확한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치지형도에서 등고선과 표고점 레이어를 추출하였고 도화원도에서 Break Line을 추출하여 각각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이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해 주거지, 산지, 농경지, 제방 등 경사가 완만하거나 복잡한 지형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최적의 수치표모델이 제작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레이어를 삭제하면서 Break Line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도화원도에서 등고선과 표고점 레이어를 비롯해 8개의 도로 레이어 및 2개의 경계 레이어를 Break Line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더욱 정밀한 수치표고모델을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교차하거나 접하는 Break Line을 편집하여 복잡하고 변위가 급격한 지형에서 수치표고모델의 왜곡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Free Hand Insertion Technique of S2 Sacral Alar-Iliac Screws for Spino-Pelvic Fixation : Technical Note, Acadaveric Study

  • Park, Jong-Hwa;Hyun, Seung-Jae;Kim, Ki-Jeong;Jahng, Tae-Ah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6호
    • /
    • pp.578-581
    • /
    • 2015
  • A rigid spino-pelvic fixation to anchor long constructs is crucial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long fusion in spinal deformity surgery. Besides obtaining immediate stability and proper biomechanical strength of constructs, the S2 alar-iliac (S2AI) screws have some more advantages. Four Korean fresh-frozen human cadavers were procured. Free hand S2AI screw placement is performed using anatomic landmarks. The starting point of the S2AI screw is located at the midpoint between the S1 and S2 foramen and 2 mm medial to the lateral sacral crest. Gearshift was advanced from the desired starting point toward the sacro-iliac joint directing approximately $20^{\circ}$ angulation caudally in sagittal plane and $30^{\circ}$ angulation horizontally in the coronal plane connecting the 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 (PSIS). We made a S2AI screw trajectory through the cancellous channel using the gearshift. We measured caudal angle in the sagittal plane and horizontal angle in the coronal plane. A total of eight S2AI screws were inserted in four cadavers. All screws inserted into the iliac crest were evaluated by C-arm and naked eye examination by two spine surgeons. Among 8 S2AI screws, all screws were accurately placed (100%). The average caudal angle in the sagittal plane was $17.3{\pm}5.4^{\circ}$. The average horizontal angle in the coronal plane connecting the PSIS was $32.0{\pm}1.8^{\circ}$. The placement of S2AI screws using the free hand technique without any radiographic guidance appears to an acceptable method of insertion without more radiation or time consuming.

컴퓨터 비전 기술을 이용한 볼트 탭 형상 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olt Tap Shape Inspection System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 박양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03-309
    • /
    • 2018
  • 컴퓨터 비전 기술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인간의 눈의 기능을 기계가 수행 할 수 있도록 카메라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취득하고,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석하고 판별한 후 생산부품의 양품과 불량을 판별하는 부품 검사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볼트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볼트 탭의 유무를 컴퓨터 비전 기술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불량품을 선별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형상검사 방법으로는 라인 스캔방식으로 검사영역의 시작점과 끝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볼트 탭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원형 스캔방식으로 검사영역의 평균 밝기 값의 차이를 측정하여 유사도를 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두 종류의 볼트 탭의 검사 성능실험에서 총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분당 300개 검사가 가능하며, 완벽한 검사 정확도를 나타내어 생산라인에서 검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살색과 얼굴 특징들의 기하학적 제한을 이용한 얼굴 위치 찾기 (Face Detection Using Skin Color and Geometrical Constraints of Facial Features)

  • 조경민;홍기상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12호
    • /
    • pp.107-119
    • /
    • 1999
  • 일반적인 영상에서 얼굴의 위치를 찾아내는 문제는 넓은 응용 영역에도 불구하고 변형의 다양성 때문에 아직도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하는 주제이다. 표정, 방향, 회전, 크기, 성별, 나이 등에 따른 얼굴의 변형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형을 적절하게 고려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징 요소에 기반을 둔 방법을 사용하였다. 얼굴을 이루는 특징 요소들, 즉, 눈썹, 눈, 코, 입의 배치에 근거해서 얼마나 실제의 얼굴과 비슷한 배치를 이루는 가를 계산하여 얼굴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러한 작업에서는 특징 요소들을 정확히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 요소를 정확히 찾기 위하여 일반적인 에지를 찾는 방법대신 크기나 방향을 고려하는 조정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였고 특징 요소 기반 방법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변형 가능한 템플릿을 사용하여 검증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특징 요소 기반 방법을 영상 전체에 대해 적용하면서 검출률이 떨어지는 것을 고려해 본 논문에서는 칼라 영상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영역을 줄이고 검출률을 높이기 위해 변화가 다양한 살색을 찾을 수 있는 분석적인 살색 필터를 구성하였다.

  • PDF

Anthropometric Facial Characteristics of Adult Tae-eumin of Northern and Southern Lineage in the Korean Peninsula

  • Kim, Eun-Hee;Cho, Yong-Jin;Jung, Yee-Hong;Seo, Young-Kwang;Kim, Sun-Hyung;Lee, Soo-Kyung;Koh, Byung-Hee;Kim, Dal-Ra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6-95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external appearance measurements in subjects of different regional lineages as subgroups within the Tae-eumin Sasang grouping. Methods: We chose 51 Tae-eumin subjects diagnosed by Korean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doctors aided by voice analy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northern and southern lineages, by an expert on fa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lineages. We took pictures of their frontal and lateral views by Martin's method, measured projected length of face with the Facial Feature Measurement Program, and analyzed anthropometric facial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Results: Results show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First, the northern type of face has bigger measurements than the southern type on the frontal face. Second, the northern type of face has higher measurements of "height", which means distance from pupil to a specific measurement point, than the southern type on the frontal face. Third, on the frontal face,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hav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eyebrow, point of sellion, and eye. Fourth, on the side face,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have differences in lip, mandible and ear. Conclusions: We found our anthropometric facial measuremen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lineages to be in accordance with previous literature. Knowledg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lineages can be a hint in constitutional diagnosis when differentiation is clinically confusing.

  • PDF

디지털영상의 환상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llusion of Digital Image)

  • 최원호;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47-656
    • /
    • 2013
  • 시각 재현을 욕망했던 인류 염원은 선형적 역사의 발전 속에서 진보한다. 이때 지향점은 '눈'이었다. 목표지점이 설정된 후, 시각 이미지는 재현을 넘어 주체의 반영을 시도하고, 나아가 주체의 심급 속에 잠재되어 있던 욕망을 시각화하고자 했다. 물론 회화, 사진, 영화에서도 욕망의 무대로서 환상은 경험할 수 있었으나, 디지털은 환상 세계의 창조에 새로운 국면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체성과 무의식이 반영되어 환상이미지가 창조되는 디지털영상에서의 환상성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이미지는 이드 속에 저장되었던 이미지와 상상적 욕망이 시각화되는 통로로서 핍진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완벽한 환상의 무대로 창조함을 알 수 있었고, 자아와 초자아에 의해 억제되었던 이드를 부상시키면서 욕망실현에 대한 경험을 주체에게 부여하고 있었다.

뉴메리컬 프로젝션에 의한 3차원 탄성파 데이터의 영상화 및 해석 (Stereoscopic Imag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Seismic Data by Numerical Projection)

  • 정성종;김태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90-500
    • /
    • 1988
  • 천연가스나 기름의 매장 위치를 탐사할 목적으로 탄성파를 이용한 3차원 데이터를 수집, 처리, 해석해야하는 필요성이 요즈음 높아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적으로 수집된 3차원 탄성파 데이터를 해석하고 영상화시키는 한가지 기법에 대한 연구 결과이며 3차원 탄성파 데이터 해석에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생각된다. 3차원적 지하 구조물의 영상화는 2차원 영상을 스테레오쌍으로 만들어 겹쳐 봄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2차원 영상은 시각의 위치로부터 각점의 데이터 값을 프로젝션 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만 선택 처리 가능하다. 부분적인 선택 프로젝션은 외부에 나타나지 않은 구조라도 조사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2차원 영상의 실물화로 그들의 실재 위치를 밝힐 수 있다. 탄성파 신호는 양의 수로 크기가 주어져 있으나 포락선 함수를 구하여 프로젝션 함으로써 보다 저확한 깊이감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의 융합형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Head-Up Display 가상시나리오 구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fusion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base)

  • 김회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99-405
    • /
    • 2016
  •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는 차량내 정보 제공 디스플레이로서 운전자에게 운행시 필요한 정보들을 차량 윈도우를 통해 제공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초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수입차량 위주로 장착되었지만 점차 국산 중대형차량에도 장착되어 운전자에게 운행정보에 대한 편의성을 확보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지고 있다. 현재 출시되는 자동차들의 각 브랜드별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정보표시요소의 일관성 및 인터페이스가 한정적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기술형식으로는 도트 반사형 방식으로 적용되어 GUI의 적용방식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주행 중에 필요한 실시간 정보표시요소들을 도출하고, POI(Point of Interest) 관심정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개발되어지는 투명디스플레이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GUI가이드라인을 제공을 연구 목적으로 둔다.

Gaze Effects on Spatial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in Pointing to a Remembered Target

  • Ryu, Young-Uk;Kim, Won-Dae;Kim, Hyeong-Dong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29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gaze effects on spatial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during a pointing task. Subjects were asked to watch and point to an aimed target (2 mm in diameter) displayed on a vertically mounted board. Four gaze conditions were developed as combinations of "seeing-aiming" in terms of the eye movements: Focal-Focal (F-F), Focal-Fixing (F-X), Fixing-Focal (X-F), and Fixing-Fixing (X-X). Both the home target and an aimed target were presented for 1 second and then were disappeared in F-F and X-F. In X-F and X-X, only an aimed target disappeared after 1 second. Subjects were asked to point (with index finger tip) to an aimed target accurately as soon as the aimed target was remov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aze was found (p<.01) for normalized movement time. Peripheral retina targets had significantly larger absolute error compared to central retina targets on the x (medio-lateral) and z (superior-inferior) axes (p<.01). A significant undershooting to peripheral retina targets on the x axis was found (p<.01). F-F and X-F had larger peak velocities compared to F-X and X-X (p<.01). F-F and X-F were characterized by more time spent in the deceleration phase compared to F-X and X-X (p<.01).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central vision utilizes a form of on-line visual processing to reach to an object, and thus increases spatial accuracy. However, peripheral vision utilizes a relatively off-line visual processing with a dependency on proprioceptive information.

  • PDF

한국 시조문학의 존립기반과 그 본질에 관한 시고 (The originality in the basis and The Identity in Sijo)

  • 류해춘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19권1호
    • /
    • pp.63-84
    • /
    • 2003
  • 시조는 한국인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가장 잘 지닌 우리 민족의 정형시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에도 시조가 과거처럼 우리 문화에서 한국의 정형시로 주도적인 역할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ulcorner 이러한 시조의 존립기반에 대한 탐구를 확실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본고는 첫째로 민족문화로서 시조가 지니고 있는 정체성을 살펴보았고, 둘째로 국어교육으로서 시조가 지닌 역사적 지평인 주체성을 수행시키는 정책과 그 학습현장을 살펴보았으며, 셋째로는 창작되는 현대시조가 지닌 현대시로서의 독창성을 찾아내어서 각각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규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21세기 시조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고 그 존재기반을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시조에 관한 실용적 가치와 다양한 이해의 길을 온당하게 정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