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loca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6초

눈 깜박임 화소 값 기반의 안면과 홍채영역 영상인식용 모듈설계 (Design of Image Recognition Module for Face and Iris Area based on Pixel with Eye Blinking)

  • 강민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홍채정보로 개인인증을 위한 USB-OTG(Uiversal Serial Bus On-the-go) 영상인식 모듈을 설계한다. 개인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스마트 폰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도록 스마트 기기를 안면주위의 여러 장의 안면영상을 획득 후, 눈 깜박임에 의한 화소 값 차로 안면과 홍채영역을 검색하는 영상인식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접한 눈을 뜬 영상과 눈을 감은 영상을 감지한 안면과 홍채 영상의 프레임 화소 값의 차이를 사용한다. 또한, 홍채 영역분할에 의한 동공과 홍채영역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방법을 활용한다. 제안한 빠른 홍채영역의 위치탐색은 눈 영역의 적정한 그리드 크기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안면과 홍채영역의 제한된 영역을 탐색하는 홍채인식 카메라 모듈의 USB-OTG 인터페이스 통한 인접영상의 프레임 차이에 의해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로서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가 홍채 인식을 위해 눈을 깜빡이지 않고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Estimation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of Carcass Traits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Populations

  • Baik, D.H.;Hoque, M.A.;Choe,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1호
    • /
    • pp.1523-1526
    • /
    • 2002
  • Genetic parameters of carcass weight (CWT), dressing percent (DP), cook loss (CL), eye muscle area (EMA), back fat thickness (BFT), and meat tenderness in terms of mastication (MAS), shear force (SFR) and penetration (PEN) in Korean native cattle were estimated in this study. Effects of sire, location and their interaction on these traits were also evaluated. Sire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 all the traits studied except for PEN. The CWT and DP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oth by location (p<0.01) and b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ire${\times}$location (p<0.05). The EMA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location but not by interaction effect between sire${\times}$location. All the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r_g$ and $r_p$) with each other except between CL and meat tenderness (negatively correlated). Moderate to high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CWT and other important traits were obtained; indicating that selection for CWT would lead to improve carcass quality. Heritability estimates were 0.64, 0.52, 0.37, 0.25, 0.19 and 0.18 for MAS, SFR, CWT, PEN, DP and EMA, respectively.

단계식 입력 체계를 이용한 시선 추적 기반의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 of Korean eye-typing interfaces based on multilevel input system)

  • 김호중;우성경;이건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7-44
    • /
    • 2017
  • Eye-typing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일종으로 시선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입력 체계이다. 눈동자의 움직임 이외의 물리적 행위를 필요로 하지 않아 거동이 어려운 전신마비 환자들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eye-typing을 위한 한글 기반의 인터페이스는 거의 제시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글 입력에 최적화된 eye-typing 입력 체계를 구현하였다. 우선 큰 잡음과 Midas touch problem으로 대표되는 eye-typing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 목표를 정립하였다. 잡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버튼의 크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단계식 입력 체계를 도입하였고 Midas touch problem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 영역 중간에 시선 보류 영역을 두었다. 다음으로 각 음절이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한글의 언어학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두 종류의 eye-typing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각각 자모 일체형, 자모 분리형 인터페이스로 정의한 두 인터페이스는 한글의 자모음을 유형화하여 단계적으로 입력하도록 구현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성능을 검증하기위해 한글 두벌식자판과 비교하고 입력 과정에서 시선의 동선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시한 인터페이스가 실용적인 eye-typing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어안 렌즈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기절동작 인식 (Development of a Fall Detection System Using Fish-eye Lens Camera)

  • 소인미;한대경;강선경;김영운;정성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97-103
    • /
    • 2008
  • 이 논문은 응급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어안렌즈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기절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거실의 천장 중앙에 위치한 어안렌즈(fish-eye lens)를 장착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은 뒤, 가우시안 혼합 모델 기반의 적응적 배경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전경 픽셀을 추출한다. 그리고 연결되어 있는 전경픽셀 영역들의 외곽점들을 추적하여 타원으로 매핑한다. 이 타원을 추적하면서 어안 렌즈 영상을 투시 영상으로 변환한 다음 타원의 크기 변화, 위치 변화, 이동 속도정보를 추출하여 이동과 정지 및 움직임이 기절동작과 유사한지를 판단한다. 실험 결과 어안 렌즈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 투시 영상으로 변환하여 타원의 크기변화, 위치변화, 이동속도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보다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 PDF

Recording and interpretation of ocular movements: saccades, smooth pursuit, and optokinetic nystagmus

  • Jin-Ju Kang;Sun-Uk Lee;Jae-Myung Kim;Sun-Young Oh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5권2호
    • /
    • pp.55-65
    • /
    • 2023
  • The ultimate role of ocular movements is to keep the image of an object within the fovea and thereby prevent image slippage on the retina. Accurate evaluations of eye movements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the oculomotor system and determining abnormalities therein. Such evaluation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enabling accurate diagnoses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lesions and discriminating from other diseas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ocular movements, and this article focuses on saccades, fast eye movements, smooth pursuit, and slow eye movement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types of eye movements used in evaluations performed in clinical practice.

참조점을 이용한 응시점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Detecting a Gazing Point Based on Reference Points)

  • 김성일;임재홍;조종만;김수홍;남태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50-259
    • /
    • 2006
  • The information of eye movemen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logy, ophthalmology, physiology, rehabilitation medicine, web design, HMI(human-machine interface), and so on. Various devices to detect the eye movement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are too expensive. The general methods of eye movement tracking are EOG(electro-oculograph), Purkinje image tracker, scleral search coil technique, and video-oculograph(VO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body the algorithm which tracks the location of the gazing point at a pupil. Two kinds of location data were compared to track the gazing point. One is the reference points(infrared LEDs) which is effected from the globe. Another is the center point of the pupil which is gained with a CCD camera. The reference point was captured with the CCD camera and infrared lights which were not recognized by human eyes. Both of images which were thrown and were not thrown an infrared light on the globe were captured and saved. The reflected reference points were detected with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ved images. In conclusion, the circumcenter theory of a triangle was used to look for the center of the pupil. The location of the gazing point was relatively indicated with the each center of the pupil and the reference point.

홍채 편심을 고려한 GRIN 수정체를 갖는 정밀모형안 설계 (Design of the Finite Schematic Eye with GRIN Crystalline Lens Considering Iris Eccentricity)

  • 김봉환;한선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64
    • /
    • 2011
  • 목적: 홍채의 편심이 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실안과 보다 유사한 GRIN 형태의 수정체를 갖는 정밀모형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방법: 기존에 설계되어진 Radial GRIN과 Spherical GRIN 형태의 수정체를 갖는 정밀모형안을 이용하여 홍채의 위치를 코 방향으로 0.5 mm 편심시켜 실제의 눈과 동일하도록 하였다. 광선 추적과 설계는 Optical Research Associates(ORA)의 Code V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설계한 모형안은 홍채 편심에 따라 실안과 비교하여 감소된 수차를 보여주고 있던 것을, 실안과 유사하도록 수차보정을 하여 정밀모형안을 설계하였다. 결론: 안광학계는 홍채가 편심된 회전비대칭계인 점을 고려하여, 홍채의 편심이 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실안과 보다 유사한 GRIN 형태의 수정체를 갖는 정밀모형안을 설계하였다.

A Research on Curved Display Comparing to Flat Display Regarding Posture, Tilt Angle, Focusing Area and Satisfaction

  • Ahn, Sung Hee;Jin, Byungki;Kwon, Sanghyun;Yun, Myung Hwa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1-202
    • /
    • 2014
  • Objective: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flat and curved displays with respect to location of focused points, postur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preferred tilt angles. Background: In order to avoid physical and eye fatigue caused by misplayed sitting posture, many studies have asserted that the display requires appropriate location, size and tilt angle as well as curvature.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results are varied in the extent. Method: Eye height data in sitting posture were collected from 30 participants. Participants selected the most comfortable viewing angle within the range from $0^{\circ}$ to $12^{\circ}$ while watching videos for both curved and flat display. Then, physical and eye fatigue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subjectively evaluated. Lateral diagram describing viewing display condition was set and used to develop linear models for expecting the preferred tilt angle. Results: Due to sitting in the natural viewing posture rather than upright, the eye height is lowered to about 4.6 centimeters, on average, for both display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ast, preferred angles for the two display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curvature vary the points focused. Two linear models as functions of sitting eye height are developed to expect preferred tilt angle for each display. Based on the result of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 curved display is statistically better than flat display.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flat and curved display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expect for the viewing posture. However, reasons for preferring curved display are not accurately factorized and the linear models are limited in the experiment condition such as size of display, distance between display and viewer and other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 studies on curved displays under more various conditions are required. Applic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se of the curved display in various way.

상대적인 위치지각의 왜곡: 참조자극의 위치가 왜곡에 미치는 영향 (Relative localization errors: The effect of reference location on the errors)

  • Li, Hyung-Chul
    • 인지과학
    • /
    • 제15권3호
    • /
    • pp.15-24
    • /
    • 2004
  • 추적 눈 운동 동안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표적의 위치는 표적 주위에 참조자극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일반적으로 눈 운동 방향으로 왜곡되어 지각된다. 본 연구는 안정적이고 정적인 참조자극이 존재하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표적의 참조자극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얼마나 정확하게 지각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참조자극에 대한 표적의 상대적인 위치가 왜곡되게 지각되었으며 상대적인 위치 지각 왜곡의 양상이 참조자극과 표적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변화하였다. 동일한 실험결과가 추적 눈 운동의 방향이 상이하거나 참조자극과 표적의 다양한 물리적인 거리 조건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가 위치지각에 관하여 제안된 기존의 이론에 의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 PDF

달 위상 변화의 시각화 자료에서 SBF 질문에 따른 예비교사와 초등학생의 시선 이동 차이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BF Question about a Visual Material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 고민석;양일호;김오범;임성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273-285
    • /
    • 2014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ye mov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about a visual material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Eye-Tracker was used for analysis for eye-fixation time and eye movement at the structure, behavior, function question on the visual materi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 checked the visual material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depending on the function questions and fixed eye-fixation on the moon of the behavior question concerned. On the contrary, elementary school student only checked function of the moon located in the upper part and eye-fixation focus was spread here and there regardless of the question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 gazed at the sun, earth and moon in a consecutive order depending on the questions to identify their spatial relations and checked location of the moon related to the question. On the contrar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did not view relations between earth, sun and moon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service teacher conjures up the mechanism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and confirms it in visual materials by visualizing change on the lunar phase model from earth's point of view whil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fails to take advantage of visual materials to visualize it from earth's point of view.